네트워크 구성 질문

shuni   
   조회 3634   추천 0    

안녕하세요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려 하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구성은 다수 10대 이상의 컴퓨터가 각각 외부망에 100Mbps연결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시뮬레이션 서버 역시 서로 다른 외부망에 100Mbps연결을 통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 작업을 하게 되는데요. 이때 대역폭(100메가)의 문제로 화면 딜레이가 생겨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

경험상 기가비트 접속을 통하여 원격접속을 하면 좀더 쾌적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외부 인터넷 사용시 컴퓨터가 독립적으로 100Mbps의 연결을 할 수 있으면서, 내부망(서버 접속)은 기가비트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요?

흔히 스위치허브에 하나의 외부망을 연결하여 외부망 접속시 하나의 외부망 내역폭을 나누어서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보았지만, 기존 독자적인 연결을 모두 보장해 주면서 내부망에서의 기가비트 통신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4-02
외부망을 기가비트로 할수 있는 곳은 한정되어 있으며 가격도 비쌉니다.

내부 허브만 기가비트로 올리면 우선될 것 같아 보입니다.

자세히 할려면 네트웍 망도가 필요하겠죠?
     
성훈 2014-02
외부망은 100메가 라인들을 그대로 사용했으면 합니다.

각 컴퓨터 마다 연결되어 있는 독립적인 100메가 라인들을 외부망으로 사용하되, 내부망만 기가비트로 연결이 가능한지를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피투성 2014-02
컴퓨터 마다 기가비트 카드를 추가하여 외부망과 내부망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것이 원하시는 요건 충족에 최상일듯 합니다. default gateway는 외부망 nic 쪽에 설정하고 내부망 nic은 따로 gateway 설정하지 않고 subnet 조정으로 제어하면 됩니다. 여분 nic port 조사해서 컴마다 필요한 nic 구매, 랜 케이블 공사, 16~24 port 정도되는 기가비트 허브만 있으면 될 듯합니다.
     
성훈 2014-02
물리적인 랜포트를 모든 컴퓨터마다 추가하지 않고는 불가능하겠죠...?

답변 주신 내용처럼 한다고 할때, 내부망 nic의 경우 ip주소는 어떻게 될까요?

L2에서는 mac어드레스로만 라우팅을 해준다고 알고 있지만, 각각의 nic에 ip가 잡히지 않더라도 서로 통신이 가능한가요?
          
우기석 2014-02
내부망 IP는 사설 동일 IP 대역을 아무거나 선정해서 (192.168.x.x 등) 주시면 됩니다.
컴퓨터끼리의 통신을 내부망으로 원활하게 하시려면, 컴퓨터에 route add 로 방향 설정해 주시면 되구요.


QnA
제목Page 1310/5708
2014-05   5141287   정은준1
2015-12   1675921   백메가
2014-06   3640   인초리
2021-04   3640   하늘위의하늘
2018-05   3640   전설속의미…
2018-07   3640   강호형
2022-01   3640   미친감자
2014-03   3640   빌더짱
2015-11   3640   송승화
2020-01   3640   아자아자아자
2014-06   3640   김세현78
2019-05   3640   낭만케이
2020-05   3640   하나비
2019-05   3640   스캔l민현기
2020-04   3640   허영진
2023-06   3640   AMD2CPU
2020-04   3641   수퍼싸이언
2015-08   3641   아름다운노을
2018-04   3641   Sikieiki
2016-07   3641   맑은부철
2015-09   3641   전설속의미…
2015-03   3641   EYESS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