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479 |
0 |
2014-05
526547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453 |
25 |
2015-12
1790453
1 백메가
|
49042 |
부팅 못하는 메인보드 문제 - 슈퍼마이크로 A1SRi-2758F (6) |
제온프로 |
2021-07 |
6650 |
0 |
2021-07
6650
1 제온프로
|
49041 |
pc 고장증상 문의 합니다. (5) |
고기 |
2017-10 |
4105 |
0 |
2017-10
4105
1 고기
|
49040 |
랩탑은 역시 작아요. 작은 건 싫(!?!)어요.. (12) |
여주농민76 |
2021-07 |
3776 |
0 |
2021-07
3776
1 여주농민76
|
49039 |
asus공유기 RT-AC87R 무선인터넷이 5G만 보이고 2.4G가 안보입니다. (10) |
다온 |
2023-02 |
2385 |
0 |
2023-02
2385
1 다온
|
49038 |
BMC IP세팅이 순서가 있을까요? (22) |
항공모함 |
2024-11 |
1127 |
0 |
2024-11
1127
1 항공모함
|
49037 |
윈도우 98 se iso 다운로드 (4) |
전진 |
2019-01 |
5704 |
0 |
2019-01
5704
1 전진
|
49036 |
opnsense 설치법 바꼈나요?? (2) |
행복하세 |
2023-02 |
2716 |
0 |
2023-02
2716
1 행복하세
|
49035 |
2cpu 접속이 힘드네요... (2) |
숟갈 |
2012-07 |
5481 |
0 |
2012-07
5481
1 숟갈
|
49034 |
안녕하세요. GA-965P DS3 rev 3.3 보드에서 제온 1333CPU사용시 FSB 하락문제 (3) |
e5472 |
2014-06 |
15628 |
0 |
2014-06
15628
1 e5472
|
49033 |
한/영 변환이 안되게끔 락을 가는방법 없나요? (윈10) (11) |
어훕 |
2023-03 |
2467 |
0 |
2023-03
2467
1 어훕
|
49032 |
storj 를 백업용으로 쓰려는데 질문드립니다. (코인아님) (3) |
검은콩 |
2024-12 |
812 |
0 |
2024-12
812
1 검은콩
|
49031 |
1366 듀얼보드와 케이스 파워.. (7) |
2CPU최주희 |
2014-06 |
4953 |
0 |
2014-06
4953
1 2CPU최주희
|
49030 |
Cmd가 안열립니다.. (3) |
반가워요우 |
2024-12 |
1166 |
0 |
2024-12
1166
1 반가워요우
|
49029 |
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cpu를 사용할때… (5) |
analogue김… |
2009-06 |
6207 |
0 |
2009-06
6207
1 analogue김…
|
49028 |
이거 배로 운송하면 싼가요? (4) |
강한구 |
2016-10 |
4147 |
0 |
2016-10
4147
1 강한구
|
49027 |
웨스턴디지털 병행수입 하드 RMA어떻게 할 방법없을까요? (3) |
최모씨 |
2012-08 |
8301 |
0 |
2012-08
8301
1 최모씨
|
49026 |
Dell T420 타워서버에 Win7 또는 Win8 설치 성공하신분 계신가요? (1) |
테돌아이 |
2014-06 |
4804 |
0 |
2014-06
4804
1 테돌아이
|
49025 |
[비컴] 공구류 추천부탁드립니다. (5) |
잔디 |
2021-08 |
3198 |
0 |
2021-08
3198
1 잔디
|
49024 |
SSD 업그레이드 후 부팅시 에러 (2) |
서정욱 |
2012-09 |
7912 |
0 |
2012-09
7912
1 서정욱
|
49023 |
하스웰보드와 하스웰리프레시 CPU (12) |
2cpumem |
2015-10 |
5242 |
0 |
2015-10
5242
1 2cpumem
|
일단 해보셔야합니다... ^^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은곳은 습도도 높아서 부식속도가 빠릅니다)
귀찮더라도 납땜 & 수축튜브 강추합니다
양쪽에 랜선 끼우는 그 노란색 커플러는 최악의 선택입니다. 정진우님 말씀대로 표면부식과 먼지 유입등으로 접촉저항이 증가하고 나중엔 속도 반토막 또는 링크 두절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장마철엔 더 심해지죠. 처음엔 괜찮습니다만 기가비트 링크가 그렇게 쉽게 유지되는 건 아닙니다. 링크는 기가비트라도 손실이 많아서 전송률이 뚝 떨어질 수 도 있고요.
1. 케이블 전체를 새로 포설한다.
2. 클림핑 방식의 커플러를 사용한다(이건 양쪽에서 랜선을 찍듯이 구리선을 직접 찍어서 연결됨)
2가닥씩 찍는 것도 있고 8가닥 전체를 한꺼번에 찍는 것도 있음.
3. 납땜하고 수축튜브+고무테이프로 마무리한다.
정도가 해법입니다만... 그냥 1번이나 2번 추천합니다. AT&T 기사에게 CAT5e 8가닥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했는데 이것 저것 해 보다가 배선 구조를 이해 못해서 포기. 결국 제가 지하실에서 연결하다 포기한 선을 이렇게 클림핑 커플러로 거실과 PC룸을 연결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전체 길이는 대략 25M쯤 되는데(거실에서 지하를 거쳐서 다시 PC룸으로...) 10M 쯤에 커플러로 연결되어 있고 속도도 5개월 지난 지금도 꾸준히 90MB/s 이상 나와주고 있습니다.
먼 거리가 아니라면 재포설이 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