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공유기능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한 상태고요.
현재 네트워크 구성이
100M공유기-----1G스위치허브--------서버
└-----데스크톱
이런식으로 되어있습니다.
데스크톱에 64g ssd 1개 달려있고 서버에 하드들을 다 달아두고 raid10에 ssd를 캐쉬로 추가하고 사용중입니다.
게임이나 프로그램 설치등을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물리고 서버 하드에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파일 전송속도는 초당 100M까지 전송됩니다.
윈도우8부터는 별다른 지식 없이도 이더넷 카드 연결한만큼 속도를 뽑아준다고해서 테스트겸 싸구려 리얼텍 기가빗 랜카드를 2개 사서 달고 연결해봤는데 생각대로 안되네요.
100M공유기-----1G스위치허브--------서버
ㅣ ㅣ
└-----데스크톱
처음엔 이렇게 추가한 랜카드끼리 다이렉트로 연결했더니 인터넷 조차 안되네요...
100M공유기-----1G스위치허브 ========== 서버
└========데스크톱
다음엔 이렇게 허브에서 2개씩 연결했더니 인터넷은 잘되는데
파일전송을 해보았더니 서버쪽은 랜카드 2개를 골고루 써서 전송하는거 같은데
데스크톱쪽에서 새로 꼽은 싸구려 랜카드만을 써서 전송을 하느라 속도가 초당 60M로 팍떨어져서 전송하네요.
질문의 요지는 2가지입니다.
1. 데스크톱에서 랜카드 둘다 사용해 전송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2. 스위치 허브가 기가빗인데 선 2개를 허브를 통해 다 연결해도 제대로 작동할시에 최대 전송 대역폭을 다 사용할수 있나요?
아니면 첫번째처럼 랜선 1개는 다이렉트로 연결을 해서도 별 문제 없이 사용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
리붓하니 1번의 문제는 해결 되었네요..
근데 문제가 기가빗허브의 한계인지 전송속도가 결국엔 115M/s 정도가 최고네요.
이럴땐 역시 1개를 다이렉트로 연결하는 수밖에 없나요?
서버와 데스크톱을 직접 연결할때 보통 cat6 랜선을 사용했는데 크로스 케이블로 해야되나요?
그런데 1개를 직접 연결해도 그 대역폭이 + 가 되는것이 아니라 어느 한쪽만 이용하지 않나요?
또 인터넷이 먹통되는 현상이 나타날거 같은데...
티밍이나 본딩? 정확히는 모르지만 그걸 랜카드 및 공유기 둘다 지원해야 115 mb 를 넘을수 있을거 같습니다만..
다중 게이트웨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NIC2개 중에 게이트웨이는 하나만 넣는게 맞습니다.
SMB 멀티채널은 UNC 경로 찾으면서 자동으로 알아서 SMB MultiChannel 패스를 맺습니다.
Get-SmbConnection , Get-SmbMultichannelConnection 파워쉘 cmdlet으로 패스를 확인하실 수 있고요.
개인적으로 똑같은 환경 (windows server + windows 8.1)에서 테스트 했을 때,
Win8.1의 intel EEPRO ET 듀얼포트 에서는 정상적으로 2G 대역폭이 나왔지만,
rss(recevie side scale)을 지원하지 않는 nic (리얼텍,내장보드)와 ET를 묶었을때는 2G 트래픽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get-smbservernetworkinterface 하시면 NIC 인터페이스가 RSS를 지원하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get-smbservernetworkinterface 를 쳐보니 RSS가 false로 나오네요.
테스트삼아 4천원짜리 랜카드 구입해서 해봤는데
잘알아보고 인텔 듀얼포트로 구입해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