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213 |
0 |
2014-05
526621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138 |
25 |
2015-12
1791138
1 백메가
|
49232 |
[일단 해결]윈도서버 UDP 0번 포트 막는법은? (3) |
김황중 |
2014-11 |
7905 |
0 |
2014-11
7905
1 김황중
|
49231 |
저렴한 IDC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
경박한시민 |
2010-05 |
10033 |
0 |
2010-05
10033
1 경박한시민
|
49230 |
리눅스에서 apache가 tcp6(ipv6)으로 잡혔는데.. (4) |
sprirea |
2014-11 |
31520 |
0 |
2014-11
31520
1 sprirea
|
49229 |
re: 제가 쓰는 것 (3) |
송상병 |
2017-01 |
4227 |
0 |
2017-01
4227
1 송상병
|
49228 |
아두이노 보드가 데미지를 받은거 같습니다. (3) |
오상훈 |
2013-05 |
9758 |
0 |
2013-05
9758
1 오상훈
|
49227 |
T7910 에 E5 2679 v4 장작 사용 가능 할까요? (4) |
죠슈아 |
2018-03 |
4757 |
0 |
2018-03
4757
1 죠슈아
|
49226 |
인터넷 속도는 잘나오는데 컴퓨터간 파일공유가 문제네요. (3) |
장동건2014 |
2014-11 |
9601 |
0 |
2014-11
9601
1 장동건2014
|
49225 |
바이러스?? 문제 (2) |
천안정성훈 |
2010-05 |
6974 |
0 |
2010-05
6974
1 천안정성훈
|
49224 |
회원님들 중에 gis 쪽 관련 프로그래머이자 qgis 나 파이썬 다루시는 분 좀 … |
가빠로구나 |
2018-04 |
3952 |
0 |
2018-04
3952
1 가빠로구나
|
49223 |
hp 노트북에 ssd 에 win7 설치방법 (7) |
이선규 |
2014-11 |
13891 |
0 |
2014-11
13891
1 이선규
|
49222 |
전해콘덴서하고 솔리드콘덴서하고 하는역할이 같나요? (8) |
김제l김용환 |
2020-08 |
4180 |
0 |
2020-08
4180
1 김제l김용환
|
49221 |
서버메인보드(GA-6LXSV rev1.2) 팬속도 조절 가능한가요? (5) |
밤신사 |
2016-02 |
5748 |
0 |
2016-02
5748
1 밤신사
|
49220 |
하드디스크 에러인가요? (5) |
임진욱 |
2010-07 |
7639 |
0 |
2010-07
7639
1 임진욱
|
49219 |
지포스 8500gt sli 구성 가능한가요? |
편한세상 |
2016-02 |
3353 |
0 |
2016-02
3353
1 편한세상
|
49218 |
c602 듀얼보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 (3) |
갓영구 |
2017-01 |
4683 |
0 |
2017-01
4683
1 갓영구
|
49217 |
965 itx 보드 cpu 쿨러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 (8) |
이종원 |
2010-07 |
8032 |
0 |
2010-07
8032
1 이종원
|
49216 |
사타확장 카드 구입하려고합니다 (2) |
장동건2014 |
2013-07 |
6198 |
0 |
2013-07
6198
1 장동건2014
|
49215 |
우분투 설치 하고 싶은데 어디서 다운 받아야 할가요? (3) |
이해하면오… |
2010-07 |
8911 |
0 |
2010-07
8911
1 이해하면오…
|
49214 |
lg에서도 ssd를 만드는군요. (8) |
장동건2014 |
2014-12 |
3978 |
0 |
2014-12
3978
1 장동건2014
|
49213 |
hp x58 메인보드 x5650 cpu 장착할려고하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 (14) |
석호 |
2018-04 |
6225 |
0 |
2018-04
6225
1 석호
|
3rd party repository 중에서도 RPMForge 와 EPEL, 이 두가지만 설정해줘도 웬만한 의존성 문제는 해결가능했습니다.
www 에서 받을려고 클릭하면 아무 반응없고..^^
단지 시행착오 없이 깔려면 자신이 깔아본 OS 쓰는게 정답인거 같아요. 나중에 방화벽 등 보안설정은
따로 해 주고..
또한 가장 중요한것은 나중에 yum install 이나 업데이트 하려면 중소업체꺼 쓰다간 싸이트 자체가 없어져서 못받더군요. 엔터프라이즈 버전이 좋긴한데 유로라..
CentOS 역시 엔터프라이즈 버전 마이그레이션한걸루 알고 있습니다.
다행히 daum ftp 사이트 에서도 rpm pkg 제공하더군요.
조금 독특하게 보안성 위주로 가겠다.. 고 하면 안녕리눅스도 좋습니다. (대신 패키지 버전이 좀 낮습니다.)
개인적으로 호스팅을 하려면 보안설정등 간단하게 하려면 sulinux가 편리하구요.
우분투 리눅스도 상당히 좋습니다.
일하면서 느끼지만, 소스 설치가 필요한 경우가 특수한 옵션이 필요하다거나 그런 경우인데, 90% 이상 그런 거 없이 책에서 소스 설치만 몇 십페이지 할애해서 적어놓으니 그거 따라하고 있더군요. 그렇다고 패치라도 열심히 하냐면...그것도 아니고...
요즘 나오는 패키지 중에 APM 이 한 방 설치 안되는 패키지는 없습니다. 그냥 어떤 배포판을 골라도 문제 없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MS 나 Apple 와는 달리 리눅스는 배포판을 만드는 것입니다. 내용물을 OS 제조사가 만드는게 아니라 여러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조합하고 거기에 안정성이나 성능튜닝한 코드 일부를 집어넣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이 코드들이 지적재산인 것이고, 이것과 유지보수를 합쳐서 비용을 받고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비용을 받고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업체가 거의 없어서 국내에서 RHEL 을 많이 쓰는 것이고, CentOS 는 RHEL 의 SRPM(상당수가 GPL 때문에 SRPM 제공해야 합니다) 을 이용해서 리패키징해서 배포판을 다시 만들어주는 것이라 구성이 99% 동일하기 때문에 개발용/테스트 용으로 많이 쓰다보니 보급이 많이 된 것이죠. SUSE 나 기타 리눅스 등이 안좋아서 RHEL 쓰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페도라는 주로 크리티컬한 상황이 아닌 데스크탑 환경에 촛점을 맞춰서 배포판을 구성하지만, 그 안정성 역시 높아서 연구실이나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서버군에 비해 버젼이 높은 것들로 구성이 되어서, 최신 기술이 필요한 사람들은 납품용으로 페도라 쓰기도 합니다. 동시대에 배포판이 나오면 버전 높은 순이 페도라>우분투>RHEL>데비안 쯤 됩니다. 김용운 님께서 어떤 분야에서 일하시는지 궁금합니다만, 최소한 국내에서는 성능의 무결성 때문에 페도라를 안쓰는게 아니고, 무결성이 의심될 정도로 허접하지도 않습니다. 물론 사소한 트러블이 나타날 확률이 유료 제품보다는 높겠지만, 그렇다면 FreeBSD 등이 더 대세가 되었어야 했겠죠.
아...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된 EPEL 등도 페도라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것입니다. 페도라가 불안하다면 EPEL 못써야 정상이죠.
마잔가지로 EPEL 역시 페도라 프로젝트에서 안정성이 검증된 것들만 EPEL 에 가는 것이 아니라, 페도라에 탑재되어서 장시간 문제가 없는 버젼을 택해서 CentOS 에 제공하는 것입니다. 개발자가 아무리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판단해도 실제 장시간 써보면 갖은 이유로 문제가 생길 여지는 있기 때문에 어쨌든 보수적인 배포판에서는 버젼을 최신 버젼보다 멀찍히 떨어져서 합니다. 이 역시 우분투와 데비안의 관계와 비슷한데, 그나마 페도라는 레드햇의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라는 것이라서 이런 식의 지원이 가능한 것이고, 레드햇이 직접 EPEL 을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말씀하신대로 RHEL 이나 CentOS 에 포함된 것만 검증되고 서버에서 사용될 정도의 안정성을 갖췄다면 EPEL 못쓰시는게 맞습니다. 페도라 프로젝트에 레드햇 직원분들도 많은 기여를 하지만, 회사 차원의 검증을 거치는건 아닐테니까요.
아래 김태기 님께서 말씀하셨듯이, 개발자들은 최신 기능이 필요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페도라나 우분투 서버를 써서 개발을 할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많은 기관에 납품을 해봤지만(개발자로써) 문제된 적도 없구요. 한국에 한정해서 말하면, 기관 납품시 RHEL 말곤 납품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유는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실 겁니다. 돈, 그리고 점유율이죠. 수세는 점유율 때문에, 우분투, 안녕, CentOS 등은 돈(정확히는 책임질 곳) 때문에 안됩니다. 그렇다고 그들의 성능이 문제되어서 납품 안되는건 아닙니다.
리눅스 좀 사용해 보셨거나 구글에서 영어 자료 찾아 보시는 것 부담 스럽지 않으면
우분투를 강력 추천드립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CentOS를 가장 많이 써서 네이버 같은 것에서 주로 정보 얻으시면
그냥 CentOS 설치 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강력하게 부하주면 패닉나는것도 똑같습니다. 그래서 전 버렸습니다.
처음엔 Su 리눅스가 빠릇하고 패키지화 잘되어 있고 좋았는데 64비트 이후로 버젼업도 안되고 이게 마지막 수순이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아마 리눅스도 대표적으로 몇개만 남고 점점 접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나 예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MS에서도 리눅스 공식 기술지원이라는걸 들어본적이 있었는지요.
가상화 때문에라도 이길을 택하는구나 생각했는데 아는 사람은 거의 없더라구요.
우분투는 정말 윈도우 업데이트처럼 업데이트 해주는거 보고 깜짝 놀랬습니다. 몇일 지나고 로그인 해보면 몇개 업데이트가 기다리고 있습니다?라는 메세지... 뭐야 이거 윈도우야?라는 생각을 여러번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CentOS 처럼 부하 막줘도 커널패닉은 떨어지지 않더군요.
어찌되었든 중요한것은 세월이가도 없어지지 않는 리눅스가 중요한듯합니다.
예전에 알짜.아시아.한컴.안녕.수.수세....무수히 많은 리눅스가 많았는데 요즘에는 더러 안보이고 커널버전도
뒤떨어지는듯합니다.
그래서 페도라를 가장 많이썼는데 지금까지 문제는 전혀 없었습니다.
제가 개발자인지라 항상 새로운것을 찿고 다니거든요.뉴질랜드에서 옥션짤때도 페도라4로했는데 잘만돌아가던데 그게 문제가 되나요?
중요한것은 소스컴파일할때 뭐뭐 라이브러리가 없어...맨날 구글 뒤지기 귀찮고 시간낭비인것 같습니다.
갤발한 프로그램이 잘 돌면 그것이 최상이 아니겠는지요?
페도라 9
ext4
페도라 10
넷빈스 6.1[12]
페도라 11
이클립스 3.4.2
넷빈스 6.5
파이썬 2.6
페도라 12
리눅스 커널 2.6.31
Php 5.3
페도라 13
사용자를 위한 SSD장치 인증
Java EE 6을 완전히 지원
페도라 14
페도라 15
커널 2.6.38
페도라 16
커널 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