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268 |
0 |
2014-05
514126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905 |
25 |
2015-12
1675905
1 백메가
|
83847 |
무선 관련된 원론적인 질문입니다. 소출력 무선기기에서의 감도의 차이에 대한 궁금… (1) |
백남억 |
2015-02 |
3869 |
0 |
2015-02
3869
1 백남억
|
83846 |
보급형 nvme ssd 성능 최대한 가능한 pci-e 카드는 몇배속 제품이어야 할까요? (7) |
겨울나무 |
2021-01 |
3869 |
0 |
2021-01
3869
1 겨울나무
|
83845 |
메모리에 조그만한게 떨어졌는데 괜찮을까요 (9) |
슬러그 |
2016-09 |
3869 |
0 |
2016-09
3869
1 슬러그
|
83844 |
거실에 놓을 3.5 하드 6개 장착 가능한 이쁜 케이스 추천 부탁드려요. (9) |
카머 |
2018-03 |
3869 |
0 |
2018-03
3869
1 카머
|
83843 |
보물섬에 지나가다가 본 DAC인데.. 맞나요?.. (16) |
송진현 |
2017-04 |
3869 |
0 |
2017-04
3869
1 송진현
|
83842 |
HP nc364t 렌카드 lp 브라켓 어디서 구할대 없을까요? (2) |
Ness |
2015-05 |
3869 |
0 |
2015-05
3869
1 Ness
|
83841 |
슈퍼마이크로 보드 고주파음?? (9) |
Ansyncic |
2017-04 |
3869 |
0 |
2017-04
3869
1 Ansyncic
|
83840 |
thunderbolt 문의드립니다. 고수님들 한 번 보아주세요. (35) |
명랑 |
2022-11 |
3869 |
0 |
2022-11
3869
1 명랑
|
83839 |
미크로틱 질문입니다. (10) |
빠시온 |
2017-03 |
3869 |
1 |
2017-03
3869
1 빠시온
|
83838 |
에뮬렉스 OCE11102 카드장착시 IRQL_NOT_LESS_OR_EQUAL BSOD가 발생합니다. (17) |
NaN |
2023-04 |
3869 |
0 |
2023-04
3869
1 NaN
|
83837 |
사용하는 하드가 ST2000NM 0011 입니다. (4) |
머라카는데 |
2016-03 |
3869 |
0 |
2016-03
3869
1 머라카는데
|
83836 |
공유기 질문 입니다. (2) |
yuno |
2016-06 |
3869 |
0 |
2016-06
3869
1 yuno
|
83835 |
xpenology를 사용해서 webdav 접속성공을 하였는데... 문제가 하나 생기네요... (1) |
마통 |
2017-01 |
3869 |
0 |
2017-01
3869
1 마통
|
83834 |
오일 컴파운드 문의드립니다. (3) |
캥거루 |
2016-06 |
3869 |
0 |
2016-06
3869
1 캥거루
|
83833 |
글 제목 옆에 느낌표는 무엇인가요? (4) |
이건희 |
2018-05 |
3869 |
0 |
2018-05
3869
1 이건희
|
83832 |
dell t5500 에 쓸만한 raid 컨트롤러 ..문의.. (6) |
MeeNs |
2015-12 |
3869 |
0 |
2015-12
3869
1 MeeNs
|
83831 |
OS 딱지 관련 문의 (11) |
Nikon |
2018-07 |
3869 |
0 |
2018-07
3869
1 Nikon
|
83830 |
ECC SODIMM 일반램 구분방법..???? (9) |
찬서아빠 |
2021-01 |
3869 |
0 |
2021-01
3869
1 찬서아빠
|
83829 |
부팅시 첫화면에서 멈춤 증상 (1) |
푸이잉잉 |
2019-08 |
3869 |
0 |
2019-08
3869
1 푸이잉잉
|
83828 |
iLO 이상점에 대해 여쭈어 봅니다. vpn에서 접속시 iLO 접속 불가 문제 |
철이님 |
2018-02 |
3869 |
0 |
2018-02
3869
1 철이님
|
그냥 프로그램단에서 양쪽에 다 수정하는건 안 되나요??
현장에서 트리거를 별로 안 좋아 하는 이유는
버그 트레킹이 힘들어서 입니다.
A db의 테이블이 단독으로 입력/수정/삭제 가 없다면 view도 고려 대상에 넣으시면 됩니다.
한가지 더 들자면 데이터의 Tranaction 양이 많지 않다면 트리거에서 Update , Insert , Delete에 대한 모든 내용을
같은 모양새의 테이블을 만드시고 나머지 정보를 넣어 주시면 됩니다. 이 테이블은 백업용 이고 실제로 연동 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트리거도 같이 포함 하셔야 겠지요. 여기서 함정이 하나 있는데 데이터의 변경 내용중 사용자 정보가 들어가야 한다면 트리거가 아닌 프로시저로 합니다.
예를 들자면 이거지요 아무개 사용자가 언제 무슨 자료를 변경 하였다. 이러면 컬럼이 3가지가 추가가 되나 트리거에서는 그 정보를 받아다 넣기가 곤란 합니다. 이런 경우는 차라리 프로시저로 처리 합니다.
프로시저로 처리 한다는 말은 프로그램에서 직접 처리 해야 한다(직접 호출)고 보시면 되고 이건 프로그램 소스 수정이 불가피 합니다.
다만 단순 변경 부분을 직접 적용 해도 상관 없다면 링크 서버를 이용하여 트리거로 처리 합니다.
안그러면 인터페이스가 따로 필요 하게 처리하는것이 필요하나 역시 소스 수정 및 컬럼 추가 없이는 테이블 전체 검색 하기 때문에 업무에 지장을 초래 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은 트리거나 프로시저가 더 적절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