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12 |
0 |
2014-05
514111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7 |
25 |
2015-12
1675767
1 백메가
|
83847 |
중형 교회 네트워크 구축 질문(초보-도와주세요 ㅠ) (40) |
shaner |
2022-03 |
3866 |
0 |
2022-03
3866
1 shaner
|
83846 |
제 요구 조건에 맞는 PC/Workstation이 있을까요? (17) |
욕심쟁e |
2020-01 |
3866 |
0 |
2020-01
3866
1 욕심쟁e
|
83845 |
놋북 부팅 문제... (8) |
리리동 |
2019-08 |
3866 |
0 |
2019-08
3866
1 리리동
|
83844 |
ebay에서 다른 물품을 보내고 자기네 잘못이 아니랍니다. (4) |
김호성 |
2016-06 |
3866 |
0 |
2016-06
3866
1 김호성
|
83843 |
윈도우10에서 램슬롯은 무조건 4개로 뜨나요? (3) |
영산회상 |
2021-02 |
3866 |
0 |
2021-02
3866
1 영산회상
|
83842 |
ibm86서버 메모리 문의 합니다. (1) |
초보IT |
2018-01 |
3866 |
0 |
2018-01
3866
1 초보IT
|
83841 |
와이파이가 4G 보다 느리나요? (5) |
편한세상 |
2015-12 |
3866 |
0 |
2015-12
3866
1 편한세상
|
83840 |
visual studio Team 기능 되나요? (4) |
무아 |
2018-09 |
3866 |
0 |
2018-09
3866
1 무아
|
83839 |
[질문]스토리지에서 Hot Spare 기능에대해 질문드립니다. (2) |
wiseman |
2018-05 |
3866 |
0 |
2018-05
3866
1 wiseman
|
83838 |
네트워크 문제 일까요? USB 3.0 이더넷 포트가 문제일까요 (3) |
남극곰 |
2017-05 |
3866 |
0 |
2017-05
3866
1 남극곰
|
83837 |
z620에 하드를 추가하려면 어떻게 하면되나요? (5) |
명랑 |
2019-08 |
3866 |
0 |
2019-08
3866
1 명랑
|
83836 |
레노버 노트북 아덥터가 이런 현상으로 불안한데요. 수리 방법이 ? (2) |
신은왜 |
2017-10 |
3866 |
0 |
2017-10
3866
1 신은왜
|
83835 |
노트북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9) |
문현식 |
2014-07 |
3867 |
0 |
2014-07
3867
1 문현식
|
83834 |
무선 관련된 원론적인 질문입니다. 소출력 무선기기에서의 감도의 차이에 대한 궁금… (1) |
백남억 |
2015-02 |
3867 |
0 |
2015-02
3867
1 백남억
|
83833 |
어떤게 GND선 인가요? (4) |
회상2 |
2021-01 |
3867 |
0 |
2021-01
3867
1 회상2
|
83832 |
트렁크 열고 가구 실을 때 팁이 있을까요? (2) |
반성만 |
2018-10 |
3867 |
0 |
2018-10
3867
1 반성만
|
83831 |
USB 외장하드 spin-up (6) |
cjsrbc |
2020-11 |
3867 |
0 |
2020-11
3867
1 cjsrbc
|
83830 |
xpenology를 사용해서 webdav 접속성공을 하였는데... 문제가 하나 생기네요... (1) |
마통 |
2017-01 |
3867 |
0 |
2017-01
3867
1 마통
|
83829 |
[채굴장] 기본적으로 어떤것을 신경써야 할까요.? (7) |
나너우리 |
2017-07 |
3867 |
1 |
2017-07
3867
1 나너우리
|
83828 |
스맛트워치(또는밴드) 유용한가요? (4) |
김건우 |
2016-01 |
3867 |
0 |
2016-01
3867
1 김건우
|
그냥 프로그램단에서 양쪽에 다 수정하는건 안 되나요??
현장에서 트리거를 별로 안 좋아 하는 이유는
버그 트레킹이 힘들어서 입니다.
A db의 테이블이 단독으로 입력/수정/삭제 가 없다면 view도 고려 대상에 넣으시면 됩니다.
한가지 더 들자면 데이터의 Tranaction 양이 많지 않다면 트리거에서 Update , Insert , Delete에 대한 모든 내용을
같은 모양새의 테이블을 만드시고 나머지 정보를 넣어 주시면 됩니다. 이 테이블은 백업용 이고 실제로 연동 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트리거도 같이 포함 하셔야 겠지요. 여기서 함정이 하나 있는데 데이터의 변경 내용중 사용자 정보가 들어가야 한다면 트리거가 아닌 프로시저로 합니다.
예를 들자면 이거지요 아무개 사용자가 언제 무슨 자료를 변경 하였다. 이러면 컬럼이 3가지가 추가가 되나 트리거에서는 그 정보를 받아다 넣기가 곤란 합니다. 이런 경우는 차라리 프로시저로 처리 합니다.
프로시저로 처리 한다는 말은 프로그램에서 직접 처리 해야 한다(직접 호출)고 보시면 되고 이건 프로그램 소스 수정이 불가피 합니다.
다만 단순 변경 부분을 직접 적용 해도 상관 없다면 링크 서버를 이용하여 트리거로 처리 합니다.
안그러면 인터페이스가 따로 필요 하게 처리하는것이 필요하나 역시 소스 수정 및 컬럼 추가 없이는 테이블 전체 검색 하기 때문에 업무에 지장을 초래 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은 트리거나 프로시저가 더 적절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