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시스템이 적당할가요?

   조회 4343   추천 0    

주용도는 제품. 모델링및렌더링입니다. 맥스와 라이노
카티아와 케드. 프로이 정도 사용하지만 랜더시 키샷이나 브이레이를. 쓰는편입니다. 간단한조형물 도로시설물 각종금속구조물등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e3-1230v2. 쿼드로4000. Sli. 16g램의시스템사용중인데.  욕심이있어코어수가많은 중고제품생각중입니다 x5650. 2Cpu와. E5-2650 싱글중 하나를생각합니다. 가성비가 어느것이좋을가요?  브이레이와 키샷 을할경우어느것이좋을가요?  코어수로 밀어붙이는게 좋을가요?
흥얼거리며 소리를 듣고 소리를 하는것을 좋아하면 지금은 살아 있는것이다. 아래광고를 클릭해주시면 2cpu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말씀하시더라고요.. ↓ ↓ ↓ ↓ ↓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4-03
캐드인지라 클럭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신홍철 2014-03
말씀하신데로 케드는 어차피 3d 모델링이답답해 도면작성용이다보니
클럭빨인것같습니다 다중코어 지원한다해도 도면 작성시 90년대도스버젼부터 2d만사용하다보니 막쓰는컴에도원활하더라고요 금액때문에 771로갈가했으나 771워크는발열도많다고하고 하하 100만원정도의 중고워크생각중입니다. 브이레이가 코어빨인지 클럭빨인지. 궁금하네요
신홍철 2014-03
벤더중고는 as때문에 걱정될듯합니다
말짱황 2014-03
e5- 에 한표 던저 봅니다....
     
신홍철 2014-03
그렇겠죠?  보드자체가다르니
회원K 2014-03
서버에서 써본 느낌은 x5650은 E3 보다 못하다는 것 입니다.
램을 32G로 늘리고, CPU는 1280 v2 정도로 바꾸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가시려는 시스템은 현재 E3보다 성능이 더 낮다고 봅니다.
신홍철 2014-03
그렇군요. 2cpu로간다해도 좋다는느낌없을가요?
자주 겪는 고민입니다.

모델링과 렌더링.. 이건 시스템을 분리하는게 맞습니다.(예산이나 공간 등등이 문제겠지요..)

모델링은 클럭이 깡패이고.. 브이레이같은 렌더러는 코어가 깡패입니다.

예산범위가 100만원 내외시라면 E3가 나을듯합니다.
     
신홍철 2014-03
역시 분리 하는게 맞군요... 머리 갯수 빨 렌더로 해야 겠군요 ..
박문형 2014-03
좋은 느낌이 날려면 최소 3Ghz 이상의 듀얼 시스템으로 가야 하는데

새제품 씨피유만 가격이 후덜덜하지요??
LovelyJubbly 2014-03
김영기님 말씀처럼 모델링과 랜더링을 분리 하시는 게 좋습니다.

모델링에서 속도 향상을 원하시면 클럭이 높은 시피유를 사용하시거나 VGA를 업그레이드 하시는 게 좋고
랜더링은 대부분 코어 많고 램 많은 게 좋습니다.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릅니다만 일반적으로 멀티 스레드 지원하는 프로그램일 경우
모델링의 경우에는 평균 1230v2 쪽이 Xeon X5650 듀얼보다 20~30% 가량 성능이 높고
랜더링의 경우는 반대로 X5650 듀얼로 가시는 게 두배 이상 빠릅니다.

다만 구형 프로그램으로 싱글 스레드만 지원 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에도 1230v2가 빠를 듯합니다.

E5 2650은 싱글일 경우에는 돈낭비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홍철 2014-03
역시 렌더링은 머리수가 중요하겟죠?  감사합니다.
김진관 2014-03
Z620 모델입니다.. E-2609,4GB,500GB HDD  NO Grphics,


QnA
제목Page 2043/5706
2015-12   1666537   백메가
2014-05   5131797   정은준1
2018-05   4358   이건희
2021-01   4358   Sikieiki
2016-06   4358   만년초보
2014-03   4358   아름다운노을
2014-04   4358   무좀함대
2015-07   4358   Korokoro
2019-07   4358   NGC
2018-11   4358   Nikon
2020-03   4358   풀로드시스템
2017-07   4358   정연
2016-04   4358   stone92김경민
2018-04   4358   송주환
2016-02   4358   깜박깜박가
2015-12   4358   윈도우10
2016-09   4358   호박고구마
2021-03   4358   DeepSky
2014-02   4358   빠시온
2018-02   4359   스무프
2016-05   4359   나파이강승훈
2014-07   4359   토이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