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먼소린가요?

Nikon   
   조회 4384   추천 0    

웹하드는 쓰지도 않는데 자유게시판에 분양글올렸더니 갑자기

이창이 뜨면서 고객한테 프로그램을 지우라마라...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말짱황 2014-04
그러게요....

이상하나요.
박문형 2014-04
저거
어느 정도 트래픽이 넘어가면 저 메세지가 뜨는 것 같습니다.

LG U+ 쪽은 저런거 없습니다.
     
Nikon 2014-04
저희 아파트는 관리사무소랑 KT랑 무슨관계인지 KT만 광랜이 들어와서 바꿀수도 없고 참...
SK 사용했었는데 전아파트에서 이곳으로 이전하려고 했더니 선을 못내리게 한다네요
          
김선동 2014-04
요전에 아파트 외벽쪽으로 광선이 들어왔엇는대 부녀회에서 냅다 자르더라구요...

그리고 나서 티비 안나온다고 굵직한 동축 케이블 외벽으로 포설.... 키야...
          
user 2014-04
SK 쓰고 시프시면 동네 주민과 상의하셔서 대략 2평정도의 공간과 전력선 인입과 관련한 시건장치 구비한 공간을 사용하는것을 허가 받으시면 됩니다.

다른말로 SK쪽에서 그만한 영업을 못했거나. 영업할만한 메리트가 없으니 안들어오는것이고요.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100세대 이상 5개의 실가입자가 있어야 장비 인입을 해준다는 등의 조건이 있습니다.
부녀회에 80만원을 지급한다. 혹은 관리실에는 무상 인터넷을 공급한다 는 그런 서비스도 제공하기도 하고요..

다시금. 반상회 열고 세대의 과반수 이상 주민들에게 장비 설치가 가능한 시건장치되어있는 밀실을 사용하겠다는 허가를 구하시면 됩니다.
               
Nikon 2014-04
sk를 꼭찝어 쓰고싶은건 아닌데 지난번에는 와이파이가 느려져서 문의했더니 요즘에는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많이써서 그런다는 답변을. ..
user 2014-04
고갱님의 PC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트래픽때문에 같은 스위치 및 같은 동네 주민들이 ISP로부터 제공받아야할 서비스의 품질에 지대 영향을 받을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안으십니까?

비단 웹사이트에 게시물 하나 올렸다고 저 메세지를 띄우진 안습니다. 지금까지 누적된 트래픽을 두고 이야기 하는것이니 비정상 가입자로 분류되어 MAC 차단되기 전에 PC점검 꼭 받으시길 권합니다.
     
Nikon 2014-04
걱정안하셔도 될듯합니다.
김윤술 2014-04
제가 한번 KT에 민원을 넣었습니다. 우리지역 일대 망에 웹하드 트래픽 찾아서 어떻게 조치해달라고...
핑이 10에서 30까지 들쑥날쑥 하길레 스팀이 아주 받혔던 그날이 있었습니다. 그전엔 평소 1-2 였거든요.
1년전에 민원넣고 난후 몇달후에 저런 액션이 나오더군요. 고장접수 받은 직원이 이 설명을 해줬더니 본사에 올려보겠습니다 하더니 저런 공지가 흐흐흐흐.
솔직히 웹하드 프로토콜 쓰레기입니다. 만든사람 죽여버리고 싶을정도에요.
울회사 6명은 저 프로그램 깔린줄도 모르고 백본 뻗어버리게한 원인이라고 짤렸습니다. 재수없게 희생 타겟이 된건데 몇억 손해배상 한다고 하니 사람을 먼저 짜르더라구요.
제가 관리하는 회사 방화벽에는 아웃바운드 서비스포트 아닌건 전부 차단한답니다.
     
user 2014-04
그렇죠. 이런분들 계시니까. 박민규님 같은분들 생겨나는겁니다.

다시금 저희 회사에서도 시도떄도 없이 인터넷 느려지고 그룹웨어 안들어가지 짜증납니다..
또 서버가 구식이라는둥 부터해서 부서끼리 쌈도 납니다.

그 좀비 PC찾아서 아주 본때를 보여줘야하는데.. ..
박문형 2014-04
약 7-8년전에 100기가 정도를 하루정일 업로드 해도 KT에서는 저런 메세지 안나왔었습니다.

다운로드도 마찬가지고요.

지금은 여러가지로 걸리는게 많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우리 집에는 약 4가지의 인터넷을 입맞에 맞춰서 사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아파트에 들어오는 장비는 하나인데 4군데 업체 (SK,KT,LG U+, 지역케이블)이 공동으로 사용합니다.

가끔 문제가 있는데 설치기사중에 신입들은 선이 어떻게 포설이 되어 있는지 잘모르고 가끔 남의 집선을
짤라먹는다는 것입니다.
     
김윤술 2014-04
7-8년전의 웹하드는 TCP 소켓 기반의 다운로드 형식이였습니다. 그당시는 UDP 프로토콜로는 데이터를 태우지 않았거든요. 그러나 요즘거는 P2P보다 더 심하게 UDP 트래픽을 일으키게 하여 문제를 일으키는겁니다.
UDP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캐시 기반으로 송수신되서 용량이 아주 적은 텍스트기반이나 인증프로토콜에 이용됩니다. 하지만 저렇게 큰 데이터가 무작위로 송수신되면 같은 일대 망이 아주 죽고싶다고 난리를 칩니다. 나중에 시간이 흘러 웹하드 프로토콜과 그리드 통신이 불법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QnA
제목Page 2009/5708
2015-12   1677383   백메가
2014-05   5143186   정은준1
2019-12   4381   전산직딩
2015-09   4381   윈98
2017-06   4381   쿠르
2020-04   4381   공백기
2017-08   4381   umtie
2018-01   4381   맙소사
2019-04   4382   화란
2019-04   4382   류넨아이스
2012-12   4382   GoodWolf
2016-07   4382   행복하세
2020-09   4382   oizi
2014-01   4382   장동건2014
2015-10   4382   bigmaster
2016-12   4382   예관신규식
2017-02   4382   뉴레기
2016-09   4382   경박한시민
2016-01   4382   치아가
2017-02   4382   LINKINPARK
2018-06   4382   쌍cpu
2019-03   4383   신은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