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837 |
25 |
2015-12
179183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916 |
0 |
2014-05
5266916
1 정은준1
|
50356 |
우분투 설치된 vdi 파일을 실 hdd에 풀어서 리얼os로 사용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뭐… (2) |
겨울나무 |
2015-09 |
3825 |
0 |
2015-09
3825
1 겨울나무
|
50355 |
windows 2003에서의 unicorn이라는 게시판 사용 (1) |
x105 |
2009-04 |
6196 |
0 |
2009-04
6196
1 x105
|
50354 |
Usb cam 카메라를 cctv 로 쓰려는 데.. 적당한 녹화 프로그램이 있는지요? (9) |
시도니 |
2017-10 |
5650 |
0 |
2017-10
5650
1 시도니
|
50353 |
안녕하세요 인텔보드와 메모리 관련문제 입니다. (2) |
잔디 |
2009-04 |
5039 |
0 |
2009-04
5039
1 잔디
|
50352 |
[질문] 원룸 인터넷 공유관련 문의 (9) |
정은준1 |
2012-07 |
9230 |
0 |
2012-07
9230
1 정은준1
|
50351 |
윈도우즈10Pro 64Bit (3) |
배병렬 |
2016-09 |
4404 |
0 |
2016-09
4404
1 배병렬
|
50350 |
이 아답터가 볼트도 바꿔 주나요??? (7) |
Win31 |
2017-10 |
4504 |
0 |
2017-10
4504
1 Win31
|
50349 |
액정 구할곳좀... (3) |
황진우 |
2014-05 |
6693 |
0 |
2014-05
6693
1 황진우
|
50348 |
문자메시지를 PC에서 열어보는방법 (4) |
그린 |
2020-03 |
4813 |
0 |
2020-03
4813
1 그린
|
50347 |
시놀로지 이런게 가능할까요? (3) |
우주소년 |
2024-11 |
960 |
0 |
2024-11
960
1 우주소년
|
50346 |
스마트 어레이 p600 에러증상 문의드립니다. (5) |
이정찬 |
2009-05 |
6325 |
0 |
2009-05
6325
1 이정찬
|
50345 |
쿡 인터넷 R3004A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6) |
병맛폰 |
2012-07 |
9722 |
0 |
2012-07
9722
1 병맛폰
|
50344 |
Z820의 LSI SAS2308에 몇가지.. (7) |
파리대왕 |
2014-05 |
7572 |
0 |
2014-05
7572
1 파리대왕
|
50343 |
무료 팩스 수신 되는 좋은곳 없을까요??? (3) |
병맛폰 |
2012-07 |
12320 |
0 |
2012-07
12320
1 병맛폰
|
50342 |
AM2 TF7025 보드에 애슬론 64 x2 4000+ 장착 (4) |
자연인 |
2016-10 |
3804 |
0 |
2016-10
3804
1 자연인
|
50341 |
web서버 구축시 vip 의 l4 태우기 싫어서 2차도메인을 별도로 둬서 분산운영이 가능… (2) |
겨울나무 |
2016-10 |
5404 |
0 |
2016-10
5404
1 겨울나무
|
50340 |
TYAN 보드 파워 연결 방법 문의 드립니다. (3) |
박철 |
2009-06 |
6647 |
0 |
2009-06
6647
1 박철
|
50339 |
IDC를 옮길수 없는 상황에서 최소한의 보안대책이 궁금합니다! |
Noman |
2015-10 |
3564 |
0 |
2015-10
3564
1 Noman
|
50338 |
ddr3 16GB를 사용할수 있는 노트북? (8) |
NiteFlite9 |
2017-11 |
5718 |
0 |
2017-11
5718
1 NiteFlite9
|
50337 |
HP Chassis fan not detected 오류 해결~! |
꿀땡이 |
2019-02 |
6321 |
0 |
2019-02
6321
1 꿀땡이
|
네트웍을 잘 모르나 L4로 바꾼다고 나아질 것 같아보이지 않습니다.
L4는 최소 돈 천만원 이상입니다.
장비값과 셋팅값이 따로 존재합니다.
음 L2는 시스코 SG300-28 로 달았으며 지빅사서 광으로 나갑니다.
분산 서버가 필요한 것은 공정관리서버와 그룹웨어서버 입니다.
L4 가 해결책이 아니라면 흑흑
L4는 웹서버의 부하를 나눠주는 역활만 하는데, 웹서버는 부하 안걸립니다.
L4는 ERP 등을 쓰는 것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L4는 웹서버의 트래픽이 400-500mbps 이상 나오거나 감당하기 힘든 숫자의 동시접속자가 있을 때 쓰는 것인데
둘 다 해당사항이 없을 것 입니다.
DB서버는 L4 안씁니다.
DB서버는 분산처리를 하거나 insert하는 Master와 Query를 하는 Slave를 나누는 형태로 부하를 나눕니다.
튜닝과 성능개선은 어디에서 부하가 걸리는지 그것을 찾는 것이 우선이고
그것은 추측이 아니라, 명확한 데이타를 가지고 해야 합니다.
지난번에 다른 분들 의견도 스위치나 케이블 문제 아니라고 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공정관리시스템에 운용중인 DB가 어떤것인지 모르겠으나 그에 따라 DB서버를 재구성하거나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과거 원문을 고려해볼 때 반드시 DB서버를 로드밸런싱 해야하는 이유가 있을지 사실 의문스러운 상태인 것 같습니다.
또한 현재 파악해봐야 할 문제점은 회사에서 제기한 DB서버의 SQL 쿼리문일 것 같은데요.
다양한 시각에서 어느 한쪽은 문제가 없다는 가정으로 서버에 발생하는 병목현상과 트랜잭션이 많을 때 느려지는 이유를 파악하시려면 서버쪽에서 먼저 파악해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이것저것 고민하지 않고 L4를 도입하시는 것은 무리수가 있을 것 같네요^^;
저도 과거에 작성하신 원문을 읽어봤습니다만, 네트웍 장비의 교체는 아무 의미없는 행동이라 보여집니다. 케이블을 더욱 그렇구요..
지금 가장 먼저 할 작업은
1. DB서버에 충분한 공간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2. DB서버의 메모리와 CPU사용률을 체크한다.
3. DB서버의 로그파일 크기를 확인한다.
4. DB서버의 필요없는 데이터를 삭제한다.(백업 후 작업 필수)
5. DB서버의 슬로우쿼리를 체크한다.
6. DB서버의 세션 open/close를 체크한다.
등등이며, DB서버의 문제라 판단합니다.
1.DB서버에 충분한 공간이라면 무엇인가요? 하드디스크는 많이 남아있습니다.
2.메모리와 CPU사용률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메모리는 16기인데 32비트 운영체제 서버 2012입니다.
3.로그파일크기는 15.6기나 됩니다.
4.필요없는 데이터를 삭제해보았습니다. 용량은 5.6기가정도이나 하루가 지나니 다시 15.6기가로 오릅니다.
5.슬로우 쿼리는 또 뭐지요?
6.오픈 클로즈 체크해보았습니다. 이상없으며 노락을 한상태입니다.
그리고...강윤호, 이진범 님 댓글에 반박을 하면...
웹서버도 사용자 요청이 많으면 L4 을 쓰며, 꼭 요청이 많지 않더라도 장애대비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상용 서비스라면 거의 필수입니다. 질문자의 전 글을 읽어보지 않아 그룹웨어인지 뭔지 잘 모르겠지만, 그룹웨어도 L4 로 클러스터링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DB 역시 Master-Slave 가 아닌 Master-Master 의 경우 L4 나 Reverse proxy 등을 구성해서 접속합니다. 2CPU 에서도 쓰는 걸로 아는 Maria DB 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Galera Cluster 도 Master-Master 방식입니다. 또한, DB 에 Sharding 기능이 없거나 이를 응용프로그램에서 구현했을 경우 Shading 처리를 위해 L4 나 reverse proxy 을 앞에 두는 경우 역시 존재합니다.
질문하신 분의 이전글을 읽어보면 엉뚱한 곳을 계속 파고 계셔서.. 지금 상황에서는 L4를 도입하는게 우선이 아니라는 뜻인데... 저도 뒤에 읽어보니 오해하기에 딱 좋습니다. ^.^;
그거 안하면 뭘 하든 결과는 같습니다.
공장 장비의 경우 넣어주는 트래픽양이 아주 작고 빈도도 드문드문이라서
R210-II급 서버 1대로도 부족함이 없어야 합니다.
답답하면 답답한 사람이 프로그램 배워서 수정해야 하는데
돈으로 가능한, 쉬운 답을 찾으려니 그런 것 입니다.
원래 개발자는 아니지만, 답답해서 간섭하다가 보니 DBA 수준이 됬어요^^
서버가 1대 같은데, L4라니... 갑자기 멘붕이 왔어요.
질문이 차포와 전후의 인과를 다 떼어버려서 누구나 다 오해할 상황이어요.
공정장비는 1초 단위로 signal을 보내는 경우도 드물고 가끔 text로 몇글자 보냅니다.
그것을 DB에 넣는데, delay가 생긴다면 케이블이 아닌 프로그램을 봐야하는 상황인데
L2 스위치 교체했고 (요즘은 꽃개나 CISCO나 성능이 그게 그것 입니다...)
케이블도 최신거로 갈이를 했고 (공장에서 서버실까지 거리가 얼마인데요...)
스위치의 문제로 한번 더 인식해서 이번에는 L4를 한다고 하니...
공정 모니터링 서버의 경우 L4로 2중화 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서버를 점검한다고 공장을 세우거나 할 수 없기 때문에
AA를 이용해서 이중화를 해야 하는데...
그런 상황까지 가려면 갈 길이 아주 많이 먼 신입 입니다^^
MS-SQL 서버의 이중화. 공부할 것이 아주 많죠.
이중화를 안하면 무슨 일이 생기는지, 삼성카드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에 R620을 추가로 구매한 이유가 R620 2대로 AA Cluster를 만들기 위해서이고
미크로틱의 L4 load balancing과 reverse proxy를 그래서 공부하고 있고,
이중화 안된 회사 서버도 어제 1시간 정도 서비스를 멈춰서 (DB서버장애) 고생했습니다.
나중에 궁금한 것은 많이 물어보겠습니다.
어디 의뢰해서 배우고 싶어도 배울 곳이 없더라구요.
정말 L4에대해서 잘아시는것같습니다.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흑흑
일단 L4 에 관련된 부분 및 L2 와 네트워크 케이블 등의 고민을 해보신 것으로 보아
컨설팅 또는 근처에 관련된 업체의 컨텍 포인트가 필요하실 것 같아 자세한 내용은 쪽지로 보내드렸습니다.
MS-SQL을 운용하는 서버입니다.
이 질문은 과거글에서 쭉~ 이어지는 질문의 연장이고,
과거 비슷한 류의 개발 경험으로 봐서...
문제는 서버 튜닝과 프로그램, DB튜닝인데 스위치교체, 케이블교체 등등을 하고 있구요.
그거 해봐야 사실 아무런 영향 없거든요.
웹서버의 경우에도 트래픽이나 세션이 늘어난다면 L4 써야 하고 지금 쓰고 있습니다.
적정한 댓수의 서버를 유지하는 이유도 말씀하신 것처럼 장애발생시 쉽게 빼고 넣고 하기 위해서구요.
장애가 생기면 해당 장비를 L4 pool에서 빼고, 복구후에 다시 넣어줍니다.
1대만 웹서버를 돌리면, 장애시 대처할 방법이 전혀 없습니다^^
2개의 서버가 문제가 발생됩니다. 방화벽사용량을 측정하면 1.9k 나오며. 조회수를 조사한결과 하루에 860만건의 데이터가 들어오고 빠져 나갑니다.
하루 860만건이 들어오면, DB문제입니다.
회선이나 스위치 문제 아닙니다.
860만건이 매일 들어오는데,
그것을 가져다가 쓰는 경우에 엄청난 select 부하가 걸릴겁니다.
요즘 말하는 Big Data에 해당하는 것인데,
5일치 데이터만 거의 5천만건이라 이것이 쌓이게 되면 어지간한 DB 서버는 감당을 못합니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와 그것을 가져다가 가공하는 서버를 분리해야 하고,
memcache나 redis 등의 메모리 db들도 적절하게 써야 합니다.
매일 860만건이면, 튜닝으로도 감당하기 어려운 그런 수준 입니다.
실제로 현장에선 많이들 쓰고 있구요...
본문내용을 봐서는 위에 많은분들의 말씀처럼... 튜닝이나 컨설팅을 먼저 받으셔야할듯 합니다.
장비 떄려박아봤자 기초가 좋지 않으면 효과 못봅니다...
1.DB서버에 충분한 공간이라면 무엇인가요? 하드디스크는 많이 남아있습니다. =문제없음
2.메모리와 CPU사용률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메모리는 16기인데 32비트 운영체제 서버 2012입니다.
문제없음 디스크io에 대한 사항이 없음.
3.로그파일크기는 15.6기나 됩니다.
=여기서부터 의문이 생김니다.
4.필요없는 데이터를 삭제해보았습니다. 용량은 5.6기가정도이나 하루가 지나니 다시 15.6기가로 오릅니다.
=데이타가 10기가가 하루에 불어나면 로그화일도 거의 같이 불어나죠..더 큰 수로..
데이타를 삭제하는것보다 로그파일을 하루에 한번식 축소쿼리 혹은 풀백업을 받으시면 mssql은 로그파일을 줄여줍니다..
문제를 진단해 보면 단기간에 많은 oltp데이타가 들어오고 있고 분명히 FA프로그램 구조상 CS로 구조로 되있을겁니다. 중간에 미들웨어가 없으므로 디비에 입력쿼리 때려넣고 있고 메모리에 데이타 올리고 하드디스크를 잡아 먹으면서 로그파일 생성하면서 입력대기 하고 잇어서 느린거죠...
방법은 위에서 제시한대로 디비구조를 개선하고 프로그램도 개선해야 하는데
개발업체는 이거 개선할만한 능력도 없다는데 한표 던짐니다..
메모리 증설하고 메모리디스크로 증설하는데 한표 던집니다..=>물론 단기간 효과만 볼뿐이지만요..
mssql 튜닝은 http://sqlroad.com 에 가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