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서버용 CPU 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조회 4328   추천 0    

동시접속자는 40-50 명 정도 입니다. 보드는 1150 보드에 z87 칩셋입니다.
동시 접속자 수가 많아지면은 컴퓨터 자체가 버벅이는데 이게 씨피유 사양하고는..
 
전혀 다른 문제 인지요? 아니면 씨피유도 중요한 요소 인지요??
또 다른 파일 서버를 하나 조립을 할려고 하는데 씨피유를 한번 팬티엄급으로
 
낮춰볼까 하고 있습니다. 씨피유 사양은 크게 타는게 아니라고 하는게 제가 생각해도 맞는 말이고
nas 들을 보면은 씨피유 자체는 아주 저사양인데 말이죠..
 
도시접속자수가 많아 지면 버벅이는건 하드나 칩셋의 문제겠죠?
아니면 씨피유영향도 있을까요?
 
정말 컴퓨터 하드웨어는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려워져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파일서버는 CPU보다 디스크I/O가 중요합니다. (리소스 모니터 띄워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동접 40~50명 정도라면 레이드 구성을 진지하게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춘고 2014-05
그래야 할까요? 확실히 말씀대로 디스크 가 제일 큰 요소군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김성은 2014-05
시피유영향도 있지만 어느정도만 되면 윗분말씀대로 io가 문제죠 그래도 펜티엄급은 조금 부족하지 않을까 합니다
     
춘고 2014-05
그렇겠죠? 저도 역시 그래서 팬티엄은 왠지 꺼려지더군요
떠돌이늑대 2014-05
네트웍과 디스크부분을 살펴보시는게 어떨런지요?
예산에 따라서 적절한 분배를 한다면 펜티엄급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춘고 2014-05
정말 이건 컴은 정말 무한하게 공부를 해야 하는거 같습니다.
네트워크 부하도 항상 풀이지만.. 디스크 부분이 제일 지금 문제 같아 보여요
박문형 2014-05
레이드카드가 필수로 보여집니다만

캐쉬달린 레이드카드여야 합니다.

캐쉬가 달린 것과 안 달린 것의 성능차이는 하늘과 땅차이이고
가격차이도 많이 납니다.
     
춘고 2014-05
그렇더군요 . 지금은 레이드 카드를 그냥 채널 확장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는데
레이드를 걸어야 할까요?
김준연 2014-05
일반적으로 점검을 해봐야 하는 것은 CPU 점유율,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I/O, 네트워크 사용량입니다. 이들은 모니터링 툴(윈도우  서버라면 리소스 모니터 등)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의 경우 캐시된 용량이 있을 수 있어 단순히 남은 용량만 보는 것이 아니지만, 나머지는 어느 정도 숫자로 바로 상황이 드러납니다.

지금 예상으로는 파일 서버 이외의 다른 용도를 PC에 부여하지 않고 있다면 CPU 점유율이나 메모리 용량 부족보다는 디스크 I/O의 한계나 네트워크 대역폭 부족 가능성 가운데 하나가 크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다른 분들께서 지적하신 디스크 I/O가 문제 0순위입니다. 이것은 아예 스토리지를 액세스 타임이 적고 전송 속도가 빠른 SSD같은 저장장치로 교체하거나, 하드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는 줄일 수 있습니다. RAID 컨트롤러는 싼 것으로도 당장 효과는 있지만 캐시가 들어가고 용량도 충분한 것이 성능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저장장치의 수가 늘어나고 RAID 처리가 복잡해질수록 효과가 커집니다.
     
춘고 2014-05
아~ 정말 너무 너무 고려할것도 많고 고수님들 보면은 정말 대단하시다는 말뿐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기왕 2014-05
CPU는 2GHZ 초반이면 충분한것 같은데요.
네트워크도 문제될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987/5708
2014-05   5139471   정은준1
2015-12   1674022   백메가
2014-12   4333   백봉준
2016-08   4333   sffbig
2020-12   4333   이영규
2014-09   4333   김민철GC
2014-01   4333   금콩커피
2014-05   4334   김건우
2016-04   4334   이규민
2015-03   4334   김건우
2017-01   4334   김황중
2021-06   4334   Tails
2017-04   4334   minguss
2016-07   4334   NeOpLE
2016-07   4334   정은준1
2016-02   4334   epage
2016-10   4334   nick네임
2007-03   4334   김두홍
2014-12   4334   아마데우쓰
2015-09   4334   Merteous
2018-06   4334   KimKunwoo
2018-03   4334   블랙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