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지에서 서버의 윈도우 부팅 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질문

전기맛   
   조회 6180   추천 0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거주하고 있는데요, 한국 집에 서버를 두고 싶습니다. 목적은 백업, 웹 서버, openVPN 서버 입니다.

문제는! 1년에 몇 번 안들어 가는데, 서버에 문제라도 발생하면 물리적으로 손 쓸 방법이 없다는 거에요.

만약 부팅 장애 시 매우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질문의 요지는,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면 원격지에서 완전한 관리를 할 수 있는건가요? 입니다.

서버를 저전력 + 팬리스로 구성하려고 하는데 하이퍼바이저가 얼마 만큼의 자원을 차지하는지 가늠할 수가 없습니다..

Hyper-V 와 ESXi 둘 중에 어느 것이 자원을 덜 먹는지 궁금합니다.

하이퍼V를 사용하면 VHD를 사용하니 관리상 매우 편리할 것 같고.. ESX는 잘 모르지만 워크스테이션처럼 스냅샷 기능이 되지 않을까 하는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HP의 ILO 등이 더 적합한 기능입니다. 그러나 장비 장애의 경우 소프트웨어 문제와는 달리 직접 가서 해결을 해야하는게 문제죠.
     
전기맛 2014-05
와 이거 대박이네요!! 다리가 후들거립니다.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회원 2014-05
저전력에 백업, 웹서버, vpn만 목적이라면 나스가 나을 것 같습니다. 접속은 ddns 이용하고 정전대비는 ups로...
     
전기맛 2014-05
NAS의 부가기능이.. 될건 다 되는군요 ^^ 감사합니다!
말짱황 2014-05
원격지 서버를 관리 하기 위해서는 전기 상태가 좋아야됩니다.
접지상태가 좋아야되고요.
AVR,UPS 등 설치를 해야됩니다...
다음은 서버를 저전력으로 꾸미시고요.
하이퍼든 exsi든 사용하기 나름이다고 봐집니다..

라이센스 문제가 없다면 전 Hyper-v 추천합니다...
     
전기맛 2014-05
개인용도로 사용하는거라 UPS 까지는 무리네요..

말짱황님 덕분에 이왕 익혀야 하는거 Hyper-V로 결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익명 2014-05
기본적으로....
하드웨어 문제가 안생긴다는 가정하에
전기와 인터넷이 원격지의 컴이 제대로 연결되어만 있다면
hyer-v 코어모드나 esxi 젠 등등...
모두 사용방법은 동일합니다.

서버가 켜져도
서버 주변에 있는 모든이는 컴터 화면을 연결하여도 키보드의 어떤키를 눌러도
서버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서버의 하드웨어가 정상일때라는 가정하 입니다.

물론 관리는 모두 원격지에서
하이퍼브이 메니져. v센타. 젠센타등의 프로그램으로 관리를 하므로
위에서 언급한 ilo 같은 ipmi 기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어쩌면 이게 더 편할수도 있으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 다운 현상이 생길경우
누군가는 재부팅을 해줘야 하므로
이런경우는 ipmi 기능이 있으면 좋다라고 말할수도 있습니다.
     
전기맛 2014-05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결국,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면 원격지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는 해결이 가능한 거군요.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QnA
제목Page 3193/5731
2015-12   1793630   백메가
2014-05   5268613   정은준1
2015-06   33938   뚜뚜김대원
2018-10   4869   Nikon
2011-10   6977   정의한
2016-07   3915   전직P연구원
2018-10   4143   팔코
2021-03   3247   pdahn
2011-11   7258   김건우
2019-12   2133   이대희
2015-06   4420   김건우
2015-06   4744   네버썸머
2014-02   4293   Won낙연
2014-02   8632   신성공
2014-02   14388   metaljw
2015-06   4264   아마카시
2022-11   2250   신우섭
2022-11   2134   서울I김동수
2014-03   5585   블랙칼라워커
2016-07   4830   COMMASTER
2022-11   2483   화란
2012-01   5367   정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