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791 |
25 |
2015-12
177779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876 |
0 |
2014-05
5252876
1 정은준1
|
51035 |
4k 지원 하는 글픽카드 중에... (3) |
배병렬 |
2016-08 |
3931 |
0 |
2016-08
3931
1 배병렬
|
51034 |
수도권에서 가족 모임하기 괜찮은 리조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
땅땅 |
2017-08 |
3816 |
0 |
2017-08
3816
1 땅땅
|
51033 |
LG 모니터 LED 22en43 듀얼 모니터 관련 .... (혹시나 동일한 경험 가지고 계시는지) (2) |
구리구리 |
2021-05 |
3410 |
0 |
2021-05
3410
1 구리구리
|
51032 |
엑셀 사용시 하드웨어 문제? 엑셀버젼 문제? 어떤 문제 일까요? (1) |
무쏘뿔처럼 |
2023-01 |
1995 |
0 |
2023-01
1995
1 무쏘뿔처럼
|
51031 |
샌디브릿지 vs 불도져 3d max 랜더타임 차이가 얼마나 날까요? (3) |
로그아웃 |
2012-03 |
5812 |
0 |
2012-03
5812
1 로그아웃
|
51030 |
윈도우 서버 관리용 스크립트에 대한 책이 있을까요? (1) |
정의석 |
2014-04 |
3930 |
0 |
2014-04
3930
1 정의석
|
51029 |
모니터 깨짐현상이 나타나는데 어디가 불량일까요? (12) |
다온 |
2015-08 |
6042 |
0 |
2015-08
6042
1 다온
|
51028 |
[해결됨]DELL R630 / iDrac에서 RAID Rebuilding 상황 확인하는 방법 (4) |
프로시아 |
2023-01 |
3735 |
0 |
2023-01
3735
1 프로시아
|
51027 |
2K, 4K HEVC 인코딩 지원하는 그래픽카드, 거의 없나요? (2) |
윈도우10 |
2015-08 |
6051 |
0 |
2015-08
6051
1 윈도우10
|
51026 |
필요하다. 나는 절실히 도움이 !! (10) |
PCMaster |
2017-09 |
4684 |
0 |
2017-09
4684
1 PCMaster
|
51025 |
SAS 하드 사용하기 (3) |
머라카는데 |
2018-12 |
3159 |
0 |
2018-12
3159
1 머라카는데
|
51024 |
Dell T340에 Win10을 설치했는데 드라이버 하나가 안올라옵니다 (9) |
배상0원 |
2020-02 |
3195 |
0 |
2020-02
3195
1 배상0원
|
51023 |
손전등 소켓? 관련 질문 드립니다 (6) |
철슈 |
2016-09 |
5299 |
0 |
2016-09
5299
1 철슈
|
51022 |
이런 아톰 보드는 어디에 연결해서 사용하죠? (3) |
유호준 |
2012-04 |
6166 |
0 |
2012-04
6166
1 유호준
|
51021 |
centos7 에 vsftpd ftp_data_port설정관련문의 (3) |
서울사람 |
2017-09 |
7509 |
0 |
2017-09
7509
1 서울사람
|
51020 |
usb3.0 타입의 2.5인치 외장하드케이스도 전원을 많이 먹는게 있는거 같습니다... (5) |
김건우 |
2018-12 |
3535 |
0 |
2018-12
3535
1 김건우
|
51019 |
mrtg 값... 구할때.. (3) |
짱짱맨 |
2024-10 |
1052 |
0 |
2024-10
1052
1 짱짱맨
|
51018 |
SAS 하드 관련 (4) |
지존 |
2012-05 |
5857 |
0 |
2012-05
5857
1 지존
|
51017 |
hyper-v 2012 core server버젼이 무료인가요? (4) |
이재용입니다 |
2014-04 |
3835 |
0 |
2014-04
3835
1 이재용입니다
|
51016 |
윈도우7 단축키 질문드립니다. (6) |
Carolus |
2016-09 |
5845 |
0 |
2016-09
5845
1 Carolus
|
어짜피 네트워크는 양방향 통신이기에 어떤놈을 중앙으로 지정을 하는것은 사용자 마음입니다..
중앙에 두는 컴을 보통 서버라고 합니다.
서버에 연결하여 사용할 목적이 파일인지 아니면 데이터 자료를 읽고 쓰고 하는것인지에 따라 조금씩은 차이가 납니다만.
만약 파일이라고 하고.
파일 용량이 개당 10메가 이상이라고 할때네응 모든 네트워크가 기가포트에 허브업링크는 10기가포트 정도의 구성을 하셔야 원할할듯 합니다.
하드디스크는 레이드를 구성하시면 동시에 읽기를 하든 쓰기를 하든 문제가 많이 줄어 듭니다.
메모리는 그다지 많이는 필요가 없을듯 합니다.
시피유는 E3 정도 이면 되고요..
이것이 아니고 데이터 베이스 자료를 입력한다고 하면.
메모리가 많아야될것입니다.
하드 레이드는 필수이고요.
시피유는 E3 끝판왕 정도면 될듯 합니다.
통신포트는 1기가 포트에 허브업링크도 1기가면 충분 합니다.
100메가 스위치나 랜카드로 충분히 가능하네요 24포트 허브면 업링크하나 제외하면 최대 23개의 포트를
사용가능하니 23 * 4 + 19 = 111개까지 가능하네요 최대 보통 허브 하나당 몇개의 포트는 여유를 두는게
좋은데 그러면 5개정도 되는거 같네요
중앙에 놓일 컴은 요구 사항이 좀 되겠네요 io성능이 좋아야 할거 같은데 총 건수에 따라 용량이나 성능이
좌우될듯 싶네요
select, update,insert,delete 등의 조건에 따라 요구수치나 성능이 달라져서 이건 전문가도 계산하기
아주 까다롭고 어려운 내용이네요
작업량이 정해져 있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으면 쿼리 조건이나 초당 i/o등에 따른 성능 튜닝도 필요하고
인덱스 조정이나 사용되는 db서버에 따라 메모리사용량도 달라질거니까요
그냥 이렇게 글로 쓸 내용이 아닌듯 합니다.
전문가에게 맡기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어짜피 서비스가 뭐하냐에 따라 중앙을 타고 갈지 외부로 나갈지 결정하게 됩니다. 이런구조는 고민할 사항이 아닐거 같아요.
각 컴퓨터에 VLAN으로 나눈 네트워크를 할당하고 트렁크쪽을 서버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자료의 중요성에 따라. - 적어도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항상 동작하고 있어야 업무가 진행 된다면,
전문가에게 맡기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