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서버 구축 질문 드립니다..

   조회 6197   추천 0    


사실 raid 게시판에도 올리긴 했는데.. 검토시간이 너무 촉박하여.. ㅠㅠ Q&A 질문 드리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회사에서 파일서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RAID 기초지식이 부족하다보니.. 질문을 드리고자 글을 올립니다.

# 배경

1. 기본 배경은 2U RACK TYPE 서버에, SATA LFF 내장 디스크 12개를 꽉 채워서 SMB 서비스용 파일서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usable 약 15TB 정도)

2. 클라이언트는 300대 정도 되며, 일반 PC의 사용자들이 부서별 공유폴더를 SMB로 접근하여 사용합니다.

3. 파일의 80%는 문서 파일 입니다.


# 여기서부터 질문 입니다..

1. RAID 구성시, 반드시 같은 모델의 HDD로 구성해야 하나요?

   > 그렇다면, HDD가 단종된 후 운영서버에서 HDD가 FAIL되면 어떻게 구하시는지요? 용량이 같은 아무 HDD나 넣어도 상관 없나요? 


2. HP DL380e에 번들 3TB SATA 하드가 개당 100만원이 넘던데, 너무 비쌉니다..!

  > 시중에 3TB NAS 전용 SATA HDD를 30만원에 구해와서 꽂아도 잘 작동할까요?


3. 2~3TB SATA * 10개 정도 RAID 6구성하면, sequential read & write가 약 800MB/s 정도 나오던데,

  > HP DL380에 기본으로 달린 P420 raid 컨트롤러가 이정도 전송률을 뽑아줄까요?


4. RAID 카드 캐쉬가 512M부터 ~ 2G까지 다양하던데,

  > LFF 12개 RAID 6구성시 p420 1G로 충분할까요? HP 410, 420 시리즈가 RAID 카드 중 어떤 등급인지.. 궁금합니다.. 쓸만한가요?


5. 위 구성의 서버를 윈도우 파일공유(FSRM)으로 SMB 공유를 하려고 합니다..

   > 네트웍이 10Gbe로 구성만 되어있으면,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디스크 전송률 800MB/s로 데이터를 뽑아갈 수 있을까요?


6. Windows 소프트웨어 iSCSI 타겟을 생성해서, 다른 서버로 서비스해도 800M씩 실제로 서비스가 가능한까요? (물론 아무런 다른 오버헤드가 없다는 가정하에..)


7. Windows 2012 내장 Server Backup이 데이터 중복제거 기능이 기본탑재라 참 좋은 것 같은데..

  > 파일서버에 관한 백업방안이 참 고민됩니다.. 혹시 좋은 방안 있을까요?


8. RAID6가 느리다던데.. 파일서버로 비추라고 합니다.. 정말 극악인가요?


NETAPP이나 EMC의 Entry Level 스토리지도 검토중인데, 비용대비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드네요. 엔트리로 15TB 구축하는데 2~3천만원씩 달라는데.. 한숨 나오더라구요..


참 질문이 너무나 많죠?

예전부터 눈팅은 했었는데 의지할 곳이 2cpu 밖에 없네요.

담당자로서 잘 검토해서 좋은 성능의 서버를 저렴하게 도입하고 싶은데, 몇 마디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4-06
A1 : 같은모델 같은 펌웨어가 재일 좋습니다.
그 하드가 단종될 쯤이면 그 서버는 2번쯤 새모델이 나왔을 것입니다.
3년 정도 쓰고 다른 서버로 이전 하던지 전체 백업후 하드를 통째로 교환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A2 : 재대로 동작 안합니다. 벤더 서버의 하드에는 벤더사의 전용 펌웨어가 들어 있습니다.
      그 펌웨어는 하드의 제조사가 달라도 용량이 같고 호환된다고 하면 호환되게끔하게 하는 것입니다.
     
브로콜리D 2014-06
부분답변 감사드립니다.. SATA 하드를 백만원씩 팔던데.. 순정하드를 사야하는거군요. ㅠㅠ
박문형 2014-06
조립서버로 가시면 하드가 싸집니다만 감가상각이나 관리라는 측면이 골치겠죠.

참 벤더사의 하드는 조립서버에서의 엔터프라이즈 하드입니다.
기업용이 기본으로 들어가 있는 것이죠.
AKs 2014-06
1. 그래서 처음 구매할 때 또는 시간이 약간 지난 후 디스크 가격이 싸지면, 단종되기 전에 여분으로 몇개 사 놓습니다. 저는 10%정도 여유수량을 구매해서 케비넷에 킵해 두고 있습니다.
2. G7이면 그럭저럭 돌아가구요, G8은 자기네꺼 아니면 뱉아내거나 팬이 미친들 돌거나.. 그렇습니다.
3. RAID-6는 비추... 리빌딩이 너무 느려요... 그냥 RAID-5 + Spare하시고, 최소한 한달에 한번 이상 체크하세요
  SATA 12개로 800MB는 안나올껄요... 파일 크기도 작을테니... 퍼포먼스는 더 떨어집니다.
4. 1기가면 대충 쓸만합니다.
5. 그속도 안나옵니다.
6. iSCSI뷸륨은 공유 안되는거 아시죠?
7. 똑같은거 2개 사서 Rsync거세요. 제일 싸게 먹힙니다.
8. 빌드 또는 리빌드에서... 걸어놓고 주말 이틀 보내고 출근해도 계속 리빌딩중인 시스템을 보시게 됩니다.

.... RAID-6가 나쁘다는건 아니구요... 경험상 가성비가 좀 떨어진다고 할까요.....
     
브로콜리D 2014-06
그렇군요.. RAID-6 나쁜넘이군요 ㅠㅠ
클라이언트가 Win7인데 SMB 2.1까지 지원하더라구요.. 1Gbe(100MB/S) 정도는 나오겠죠?;
          
글쎄요...많이 붙으면 300Mbps 속도도 어렵지 않을까요..
싸고 좋은것은 없습니다.

예산이 제대로 확보되지않은 상태에서 스토리지(특히나 크리티컬한..)도입은 담당자나 관계된 사람들이
제대로 고생하는 일이 될겁니다.

고려해야할 예산중에 백업장비 보유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을 대부분 고의던 실수던 누락시킵니다. 이는 하드웨어적인 장애뿐 아니라 데이터 손실로 바로 이어지는 문제입니다.

전체적인 질문을 보니, 적은 예산에 최대용량+최대성능을 추구하시는듯합니다. 혹시 스토리지 도입의 책임자이시면 예산부분을 더 확보하시고 진행하시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스토리지도입 = 데이터의 안정성 보장 + 네트워크를 통한 무한 성능 향상 + 장애 해결  로 생각하신다면 큰 오해입니다.

예산부분과 네트워크등 기반시설, 사용자들의 인식수준 등을 충분히 고려하셔서 진행하도록 하세요. 잘못하면 돈을 돈대로 들이고, 활용도 못하고, 추후에 데이터 소실의 책임을 감당하시는 일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브로콜리D 2014-06
소중한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현재 저에게 스토리지 HW 선택은..
1. 서버 내부 디스크 베이를 FULL로 쓰느냐,
2. NETAPP/EMC 같은 이중화 전용 스토리지를 구입하느냐 중, 택1로 보이는데..
HDD등 모든 파츠를 벤더 순정으로 유지보수한다면 서버 내부 디스크베이를 파일서버로 써도 괜찮을까요?
운영 스토리지의 재해를 대비해, 동일장비로 디스크 백업을 함께 도입할 예정입니다.
꼭 전문적인 NETAPP 전용 스토리지를 사야하는지.. 비용차이가 크다보니 너무 고민이 됩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으시겠지만..
저는 NetApp 사용하시길 강력하게 권합니다.
300명의 클라이언트가 붙으면 별별문제가 시도때도없이 일어납니다. ^^

EMC나 NetApp을 몇대밖에 써보지 못했지만..
기업의 중요자산인 자료를 담는 스토리지를 구성할 때, 비용보다는 안정성과 사용시 문제점이 없는 제품으로 구성하시라고 꼭 권해드립니다.  2천만원정도면 그닥 비싼거 아니라고 봅니다.
서버로 잘못 구성하시면 비용이 이중으로 들어갑니다.
제가 보기에는 300명 붙으면, 클라이언트 당 1G 속도의 30~40% 정도 나오면 잘 나올것으로 생각합니다.

서버업체가 전문스토리지 업체를 인수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속도와 처리량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제 판단이긴 하지만.. 300명의 사원을 보유한 업체라면 2천만원 정도의 비용은 투자하시는것이 맞습니다.
30명이면 당연히 서버베이스로 가셔야죠..
그리고, 도입잘못하면, 그 장비 문제날때마다 욕먹을 각오하셔야 합니다. ^^
강승훈 2014-06
최악의경우를 보면 좀 황당씨츄에이션에도 대비를 해야겠네요...
그리고 하드가 마구 망가졌을때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하고...
특히 데이터는 그대로 있어야한다는것.... 데이터가 날라가면 큰일나죠...
AKs 2014-06
아.... 300명이었군요...
제가 어제 늦게 글 쓰느라 정신이 좀 몽롱했나 봅니다.
이런 케이스라면 도입은 둘째 문제이고, 유지관리가 더 중요합니다.
좀 작더라도 내실있고 유지보수 잘 되며... 회사와 오래 함께할 업체를 선택하셔서 맡기셔야 뒷탈이 없습니다.
우앙뿌앙 2014-06
클라이언트 300이면 당연히 벤더로 가야죠

문제생기면 뒤집어 쓰십니다.
말이 나와서 말인데..
모 대학교에 EMC 스토리지를 납품한 적이 있었습니다.
NAS 장비가 필요하다고 해서, 이것저것 권하니 담당자가 EMC 제품이 좋다고 그걸로 제안하라고 합디다.
얼씨구나 하고 EMC껄로 납품했습니다. 
EMC제품은 써티를 강력하게 지원해서..
제품스펙만 올려놓으면 강력한 독소조항으로 인해.. 제가 바로 Win! 하는 제품이거든요.

근데.. 납품까지는 좋았는데..
이넘의 EMC가 NAS 기능이 완전 개판입니다. ㅡㅡ;
AD안쓰면 NAS지원안하고.. 관리기능도 엄청 복잡하고.. 본사엔지니어 달달볶아도 결국 해결못하고..
대충대충 넘어갔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후에는 NAS로는 절대 EMC꺼 안씁니다. 차라리 NetApp 납품했으면 정말 편했을 텐데..
으이그..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혹시 EMC 최신장비 아시는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강승훈 2014-06
아 그리고 디스크가 12개라면 RAID로는 RAID60을 추천합니다...
디스크숫자가 많아지기 시작하면 RAID5는 안전성에서 너무 떨어지고... RAID6은 성능면에서 너무 떨어지고요... 디스크숫자가 너무 많으면 RAID6도 안전성면에서 좋다고 할수 없겠네요...
RAID60이면 안전성에서도 무지 좋고... 성능면에서도 무지 좋은데요... 첨에 세팅하는데 좀 힘들수도 있죠...
하지만 진정 엔터프라이즈 RAID는 RAID60이라고 저는 생각하는데... 제가 모르는게 더 많으니... 아닐수도 있겠죠...
     
레이드60은 안써봤는데..
댓글보고나니 관심은 있네요.
저희는 DB서버는 1+0으로 구성해서 사용합니다.
속도는 1+0이 잘나오는것 같아요. ^^
     
AKs 2014-06
60.. 안정성 좋고, 성능도 쓸만한데.. 문제는 투입한 디스크 수 대비 용량이 안습이지요...
          
강승훈 2014-06
하드가 8개 이상이라면 RAID10보다 디스크 대비 용량은 RAID60이 더 좋습니다...
요즘같이 하드가 떵값인 세상에서는 솔찍히 RAID10도 나쁘지 않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용량을 효율적으로 하면서 안전빵으로 가고 싶다면... RAID60이 좋은거 같아서요...
만약 3테라 하드 12개로 하면 RAID10은 18테라잖아요... RAID60은 24테라 나오죠...
브로콜리D 2014-06
업무가 너무 바빠서 조금 늦게 확인했습니다..
정말 상세한 답변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잘 참고 하겠습니다.
복 받으실 겁니다 ㅠㅠ


QnA
제목Page 3158/5724
2015-12   1763284   백메가
2014-05   5237583   정은준1
2014-06   5630   VSPress
2014-06   4374   미수맨
2014-06   6281   개백수28호
2014-06   6183   김건우
2014-06   6198   브로콜리D
2014-06   4604   GICode
2014-06   15814   소울라이온
2014-06   4723   Dreamer
2014-06   6435   김익태
2014-06   5895   Dreamer
2014-06   4743   씨형
2014-06   6228   테돌아이
2014-06   3775   EYESSHOT
2014-06   4171   가빠로구나
2014-06   4715   장동건2014
2014-06   4254   올빼미잠와
2014-06   9495   크라우저
2014-06   4009   무느미
2014-06   5840   회원K
2014-06   6587   미친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