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6916 |
0 |
2014-05
512691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1870 |
25 |
2015-12
1661870
1 백메가
|
44390 |
새로 조립한 제피씨에서 궁금한점들입니다.. (4) |
송돈희 |
2005-12 |
5767 |
13 |
2005-12
5767
1 송돈희
|
44389 |
혹시 윈도우 10 무료 업그레이드 1년 후에... (3) |
윈도우10 |
2015-06 |
5767 |
0 |
2015-06
5767
1 윈도우10
|
44388 |
LSI 9265-8i raid10 성능 문의 (4) |
skkucman |
2012-07 |
5767 |
0 |
2012-07
5767
1 skkucman
|
44387 |
구형 노트북에 알맞는 윈도우즈는 어떤 버전일지요? (9) |
이종원 |
2007-12 |
5767 |
9 |
2007-12
5767
1 이종원
|
44386 |
dell precision 490 부팅이 되지 않아 도움 좀 요청하려고요 (3) |
박춘우 |
2012-04 |
5767 |
0 |
2012-04
5767
1 박춘우
|
44385 |
...AMD MP 듀얼보드MSi사의 K7D 보드와 모톤을 아시는분 (2) |
이재섭 |
2005-12 |
5767 |
10 |
2005-12
5767
1 이재섭
|
44384 |
Paypal 문의 좀 드립니다. (2) |
오성욱 |
2005-06 |
5767 |
21 |
2005-06
5767
1 오성욱
|
44383 |
수학 관련 프로그램 질문 드립니다. (10) |
김제연 |
2016-08 |
5767 |
1 |
2016-08
5767
1 김제연
|
44382 |
스피커 추천질문을 드려도 돼겟습니까? (14) |
정힘찬 |
2005-06 |
5767 |
5 |
2005-06
5767
1 정힘찬
|
44381 |
S2466사용 하시는 분들께 쿨러 여쭙니다. |
손석우 |
2007-02 |
5767 |
37 |
2007-02
5767
1 손석우
|
44380 |
슬롯 펜3 1기가 CPU(133)지원 듀얼보드? (3) |
김윤술 |
2006-02 |
5767 |
16 |
2006-02
5767
1 김윤술
|
44379 |
Windows 8 x64 인증 (9) |
95GSR |
2013-12 |
5768 |
0 |
2013-12
5768
1 95GSR
|
44378 |
세탁기 어떻게 수리해야 할까요? (10) |
통통9 |
2021-09 |
5768 |
0 |
2021-09
5768
1 통통9
|
44377 |
랜파티 울트라D에서 레이드 잡아 보신 분?? (1) |
김대중 |
2005-05 |
5768 |
57 |
2005-05
5768
1 김대중
|
44376 |
많의 조언에도 불가하고 또 질문 있습니다 ㅠㅠ (16) |
순사랑 |
2016-05 |
5768 |
0 |
2016-05
5768
1 순사랑
|
44375 |
노트북에 LTE 기능이 있는 제품 (4) |
미담 |
2014-01 |
5768 |
0 |
2014-01
5768
1 미담
|
44374 |
100MB 네트워크 시스템에 10Mb 연결속도 (9) |
방혁준 |
2006-11 |
5768 |
29 |
2006-11
5768
1 방혁준
|
44373 |
솔라리스 sendmail에 대해서 잘 알고계시는분 있나요? (4) |
아세닉 |
2015-08 |
5768 |
0 |
2015-08
5768
1 아세닉
|
44372 |
지오드 개조하면 tyan thunder k7에서 인식이 가능할까요? |
심상균 |
2006-01 |
5768 |
59 |
2006-01
5768
1 심상균
|
44371 |
리버스 프록시와 리버스 커넥션 폴링이랑 비교할 수 있나요? (2) |
2FluF |
2016-03 |
5768 |
0 |
2016-03
5768
1 2FluF
|
단지 큰 용량으로 하는것은 장시간 사용시 발열이 적게 납니다..
대부분 부품들이 대용량은 자기 용량 밑으로 돌면 열이 적게 나고요.
적정용량으로 장시간 사용하면 발열이 조금 납니다.
용량이 적으면 파워 죽어 버립니다... 하하하
필요한 용량만 사용하고 그 이상 소모되지 않습니다.
전기세는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100w 소모하는 시스템에 1000w 파워는 다소 무리수지만,
500와트 정도 소모하는 시스템에 1000와트 파워는 좋은 선택입니다.
이런 부분은 효율때문에 그렇습니다.
대부분 파워들은 가장 좋은 효율을 내는 수치가 50%~70% 입니다.
파워서플라이를 구성하는 콘덴서 등의 부품은
부품의 품질에 따라 다소 달라지지만,
매년 5% ~ 10% 까지 자연 용량 감소를 보일 수 있고,
파워 용량이 넉넉할 수록 파워 로드율이 치솟은 이후 전압 회복률이 안정적이며,
로드율이 치솟아도 변동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꼭 고용량 파워가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고급 고용량 파워일 수록 리플노이즈가 로드 대비 낮습니다.
이 리플 노이즈는 수도 꼭지에서 나오는 녹슨물로 비유합니다.
잠시야 괜찮지만, 오래 마시면 탈이 나는 그러한 것입니다.
저가의 파워라도 괜찮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보드는 여러 콘덴서를 거쳐 공급받기 때문에
비유하면 말해서 "정수를 시켜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싸구려 파워의 경우 직접 연결되는 하드 디스크는 상대적으로 데미지를 더 받게되며,
리플 노이즈가 높은 싸구려 파워는 하드도 더 잘 죽거나
수명이 감소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효율보다 더 우선시 해야 할 부분이
리플 노이즈나, 전압 유지력이라 생각하는데,
요즘은 어찌 되가는 세태가 효율만 부르짖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시소닉을 선호하는 이유가
해외 여러 벤치를 참고해 보면
리플 노이즈가 대단히 낮은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말씀하신것처럼 너무 오버는 안니지만 30~50%정도 더 큰용량 파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나쁜선택은 아녔나 봅니다.
시소닉... 너무 좋은데 현실적으로 좀 비싸서 적당히 타협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80plus 인증은 받은걸로 쓰고 있습니다.
http://www.playwares.com/xe/29050853
300W 라면 각각 33%, 66%의 부하가 걸리는게, 700W에서는 대략 15%, 29% 밖에 안되니, 위의 링크의 그래프에 대입하면, 300W는 93% 정도의 효율이 나오지만, 700W의 경우에는 대충 89~92%정도가 나옵니다. 그나마 이건 플래티넘 등급이리서 그런 것이고 뻥파워라면 20%이하 부하에서 효율이 70% 미만에서 노는 물건도 허다합니다.
다만 그런 극단적인 물건을 제외하면 효율차가 아이들시에 5% 남짓이라서 고효율 파워의 가격의 차이가 효율차이에 따른 전기 요금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운게 현실이기는 합니디.
몇 년 전에 2cpu에도 포스팅을 했으니 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즉 아이들시 파워 용량의 20 % 이상이 걸리도록 선택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