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955 |
25 |
2015-12
178995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962 |
0 |
2014-05
5264962
1 정은준1
|
51415 |
유심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찾으면 재 사용이 가능 할 까요? (4) |
신은왜 |
2015-04 |
4579 |
0 |
2015-04
4579
1 신은왜
|
51414 |
1155 저전력 cpu 질문드려요. (11) |
godduck |
2019-10 |
7345 |
0 |
2019-10
7345
1 godduck
|
51413 |
메인보드 검사해주는 프로그램이 따로 있을까요? (5) |
철 |
2013-12 |
28813 |
0 |
2013-12
28813
1 철
|
51412 |
윈도우2003 ASP 문제 (3) |
gpgp |
2011-06 |
6364 |
0 |
2011-06
6364
1 gpgp
|
51411 |
CPU가 소켓 접불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3) |
딸기대장 |
2013-12 |
4863 |
0 |
2013-12
4863
1 딸기대장
|
51410 |
코딩용 모니터.. 지금 사야할까요? (12) |
송진현 |
2021-01 |
6671 |
0 |
2021-01
6671
1 송진현
|
51409 |
혹시 roboform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3) |
미수맨 |
2015-04 |
4578 |
0 |
2015-04
4578
1 미수맨
|
51408 |
램 양면,단면 질문이욥 (5) |
갈릭푸드 |
2015-04 |
5407 |
0 |
2015-04
5407
1 갈릭푸드
|
51407 |
옥탑방 전원선이 뭐예요? (7) |
아름다운노을 |
2014-01 |
4162 |
0 |
2014-01
4162
1 아름다운노을
|
51406 |
레노버 m73 tiny 와이파이+블루투스 (7) |
류류류 |
2021-02 |
5641 |
0 |
2021-02
5641
1 류류류
|
51405 |
Intel 6235의 신호가 잘 안 잡힙니다. 안테나를 붙여줘야 할까요? (2) |
송주환 |
2015-05 |
4137 |
0 |
2015-05
4137
1 송주환
|
51404 |
윈도우10에서 램슬롯은 무조건 4개로 뜨나요? (3) |
영산회상 |
2021-02 |
4708 |
0 |
2021-02
4708
1 영산회상
|
51403 |
FBDRAM 의 운명은 역시 한시적이었던건가요? (7) |
정은준1 |
2011-08 |
6377 |
0 |
2011-08
6377
1 정은준1
|
51402 |
PC가 한번 켜지면 잘 돌아가는데... (8) |
박 |
2014-01 |
4224 |
0 |
2014-01
4224
1 박
|
51401 |
[해결] 3COM 스위치 bootrom 삭제 시 복구 방법 (3) |
경박한시민 |
2018-09 |
5777 |
0 |
2018-09
5777
1 경박한시민
|
51400 |
iptime 유무선 공유개 두대사용 (14) |
2CPU최주희 |
2014-01 |
7691 |
0 |
2014-01
7691
1 2CPU최주희
|
51399 |
mini pc lenovo tiny hp g2 같은 컴퓨터로 웹서버 운영시 (14) |
호호 |
2018-09 |
4029 |
0 |
2018-09
4029
1 호호
|
51398 |
어제 저녁부터 ...자꾸 혼자부팅 (4) |
geniefix |
2016-06 |
4438 |
0 |
2016-06
4438
1 geniefix
|
51397 |
이런 질문도 올려도 될지 모르겟습니다만 (21) |
미수맨 |
2022-09 |
2149 |
0 |
2022-09
2149
1 미수맨
|
51396 |
웹표준을 배우기 좋은 싸이트나 서적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
최창현 |
2011-09 |
6314 |
0 |
2011-09
6314
1 최창현
|
병목이 생기는 부분이 거기니까요...
앞으로는 PCIe 방식으로 가게 될 것 같습니다.
최신 규약인 SATA revision 3.2 (이하 SATA 3.2)에서는 대역폭이 무려 16 Gbit/s (1969 MB/s) 이므로 상당한 차이가 생기지 않을까 여겨지네요. 특히나 저전력을 위한 기능에서 좀더 유리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참고로 16 Gbit/s 의 전송속도는 PCI Express 3.0의 1배속의 2배, PCI Express 4.0의 1배속과 동일한 속도입니다.
이는 SATA 3.2의 하위 규약인 SATA Express (PCI-E와의 호환성을 위한 규약)와의 호환성을 위한 규약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핀의 물리적 형태의 호환성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호환성도 보장된다고 합니다.
그밖에 SATA 3.2의 하위 규약으로는 M.2 (NGFF)와 Universal Storage Module의 Slim 모듈 (9mm 이하), 저전력 기능(DevSleep)이 추가되었으며, 정식으로 SSHD가 표준에 포함되었습니다. 지금까지 SSHD는 업계에서 만들기만 했을 뿐 표준이 아닌 표준안이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