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스토리지 구축. 조언^^

빌더짱   
   조회 4434   추천 0    

보통외장하드에 데이타담아서 백업하고했는던
이번에 좀 안정적인방법을사용하기위해백업 스토리지 좀
만들려고합니다
비용적인면을고려하여 저비용쪽으로^^

1~장비는 820사용중

생각한방법은

1, 820에 5.2인치베이쪽에 4베이icy dock 핫스왑지원되는거사서
장착하고 레이드카드따로사서  3tb4개를 리빌드해서
백업용으로사용할려고합니다.

2,  1번과같은방법이지만 레이드카드는구매안하고
820 보드에사스 드라이브 4개묶어서. 리빌드 하여데이타저장을
해서 보관하여사용하는방법

3, 레이드 리빌드시  어떤게좋은가요 데이터저장 보관용입니다

4,  혹시 따로 컴구매해서만들면좋지만 저비용으로 생각중이니
혹시위글보시고 좋은방볍있으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ZSNET5 2014-07
데이터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별도 NAS하나 쓰시는게 더 편할껍니다.
그리고 꼭 필요한게 아니라면 RAID는 사용하지 않는편이 더 좋습니다.
     
빌더짱 2014-07
아그래요 raid 를 사용하지않는게 더좋다는건 어떤의미이신가요~궁굼해서요

데이터는 3테라 4개정도면가능할듯합니다. 촬영데이터 및 작업 저장백업입니다

 보관했다가. 나중에지우고새로운 사진료 업하고그러거든요

나스는 개별하드로사용해서저장해야되나요
          
ZSNET5 2014-07
아니요. NAS도 당연히 RAID로 디스크를 묶어서 사용할 수 있고, 대용량이 필요하면 그렇게 합니다.

제가 RAID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한 건, 데이터량이 얼마나 되는지 몰라서 그런거구요...
12테라 정도 필요하시다면 RAID로 묶는쪽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의문은 남는것이.. 그러면 원본은??
혹시 지금 생각하고 계시는것이 원본보관을 위한 스토리지가 아닌지요?
자료의 보관은 항상 원본 + 백업입니다.

게시판의 글 중에 항상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것이 [RAID가 깨졋어요. 어떻게 복구하나요??]라는 것을 보면 왜 RAID를 권하지 않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근본적으로 RAID는 안전성을 얻기위한 방법이 아니라, 대용량+속도을 얻기위한 방법이며...... 볼륨이 깨질 확률은 디스크의 수에 비례합니다. 그래서 1,5,6 등의 각종 방법이 나온 것이지, 원래 태생 자체가 안전성하고는 거리가 있는겁니다.
레이드는 가용성을 위해서 존재 하는 것이라서 백업을 위해 레이드를 사용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위에 먼전 말씀 하신 것처럼 따로 NAS를 장착해서 백업 하시는 게 좋습니다.

레이드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데이터가 다 날아가고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백업용으로는
따로 NAS나 외장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박문형 2014-07
어찌보면 그냥 일반하드 하나가 수명도 더 길고 고장이나도 복구하기 편합니다.
잡술사 2014-07
저도 백업때문에 고민중이라....위 글에서 보면 3TB * 4가 원본이라면 백업으로도 12TB가 필요할텐데 백업용 NAS에 3TB를 4개 붙이고 RAID를 구성안한다면 3TB HDD 각각 인식하게 해서 백업하는게 좋다는 말씀이신건지....원본이 RAID고 백업은 RAID가 아니면 용량이 차이가 나서 한 번에 백업하기 불편한건 아닌지...제가 잘 몰라서....^^
     
ZSNET5 2014-07
말씀하시는 대로의 내용이 맞습니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RAID안쓰면 엄청 불편합니다...
RAID는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고, 원본스토리지가 3TBx4=12TB라면 백업은 최소한 그 이상의 용량을 가져야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RAID로 구성을 해야 할 껍니다. 그렇게 구성해야 백업하기 편하니까요.
그리고 그렇게 구성하는 편이 더 안정성이 높습니다. RAID-5로 구성했다고 볼 때, 서로다른 스토리지에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동안에 각각 2개의 디스크가 깨질 확률은 극히 낮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어지간하면 RAID 쓰지 마세요.. 라고 한 이유는.... 통상 PC에서 사용하는 단일 디스크의 용량이 3TB를 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입니다.


QnA
제목Page 2088/5708
2015-12   1675088   백메가
2014-05   5140477   정은준1
2016-01   4439   편한세상
2019-01   4439   봉래
2018-04   4439   석호
2018-01   4439   임진욱
2016-10   4439   e5472
2016-11   4439   gusanaki
2020-10   4439   VSPress
2016-09   4439   허허허허
2019-06   4439   빠시온
2016-06   4439   클로이베넷
2018-04   4439   으라차차차
2015-02   4439   하늘달구름해
2015-08   4439   DOX
2016-05   4439   송진현
2018-10   4439   공알이
2007-04   4439   윤호용
2018-08   4439   페르세우스
2017-09   4439   박종대
2018-10   4440   회원K
2018-10   4440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