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RB450G를 사용하는데...
아래와 같이 배드블럭 퍼센트가 올라가서 이참에 멍텅구리 허브도 처분할까 하는 김에...

CRS125와 브로드컴 4포트를 하나사서 ESXi서버와 본딩이나 해볼까 고민되면서 CRS125이 가지고 싶어지는데...
기존 다른 미크로틱 제품을 사용하다가 CRS125로 갈아타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구형 아파트라... ESXi 서버를 빼고는 다 무선으로 통신하고 있는데 본딩은;;; 그냥 해보고 싶습니다;)
제가 기존에 1주일 사용후 판매한 RB2011UiAS-2HnD-IN과 비교했을 때...
RouterBoard.com에서 표기된 정보를 확인해보면...
CPU가 AR9344-DC3A-R으로 똑같은 제품을 사용했고 메모리도 128MB, SFP 포트 1개로 차이가 없는데...
포트가 많다는 점을 빼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정확히는 블럭 다이어그램을 보면 이미지로 나와 있는데 이거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Octal-Port QSGMII이 Broadcom BCM54685E 칩셋으로 8포트 네트워킹 칩셋으로 검색되는데..
이걸 기존처럼 브릿지로 엮는 것인지 아니면 하나의 어떤 스위치 칩으로 되어있어서
마스터포트 설정으로 각 포트를 엮는지 궁금하내요...
그리고 RouterBoard.com에서 표기된 계열이 스위치계열이라 Winbox에서 확인시 기능의 차이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Mikrotik.com의 펌웨어 다운로드를 확인해보면...
RouterOS 계열로 기존의 RB450와 같은 mips-be 펌웨어를 사용해서 별 차이는 없는것 같은데...
실제 사용자분이 Winbox나 웹접속으로 설정창을 보면...
어떤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P.S
Winbox 3.x 버전으로 업데이트했는데...
다회선 연결시 연결이 편안한 점 빼고는 특별한 기능의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내요.
그리고...
펌웨어가 6.18로 8월 1일자로 업데이트 된 것은 알고 계신가요?
Mikrotik.com의 다운로드 페이지 하단의 Notify 설정으로 메일링시켰는데...
메일이 안와서 6.16에서 6.18로 업데이트했내요;
아래 링크의 CRS 정보글에서 아래이미지를 찾았습니다;
http://forum.mikrotik.com/viewtopic.php?f=3&t=75016
않그래도 일전에 시리얼로 터미널프로그램으로 연결해서 확인할때 봤는데...
오늘 새벽에 포맷해봐야겠습니다.
요것도 먼저 업그레이드 하면 좋습니다.
램테스트하고 NAND포맷이 중요하고요.
그 후에 시리얼로 펌웨어 18개를 올려야 합니다.
(랜포트 혹은 시리얼로 화일 전송 가능합니다.)
이건 어떻게 올리는지 알수 있을까요?
일전에도 몇번 패키지업데이트 이후에 부팅이 하도 않되서 시리얼로 연결한 다음에 패키지 업데이트하면...
Routerboard 부트펌웨어 3.10으로 다운그레이드 되는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매번 시리얼로 연결한 다음 시리얼로 펌웨어업데이트를 하다가...
시리얼로 xmodem인가 여튼 해당방식으로 전송시 필요한 패키지만 올리는데 20분 조금 넘게 걸려서
요즘에는 이더넷인스톨로 설정해서 넷인스톨로 패키지한 다음에...
부팅이 잘 이뤄진 후 Routerboard 부트펌웨어를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최신버젼은 하드웨어 그림과 스팩 나온 쪽(정확히는 데이터쉬트등 화일이 있는 왼쪽)에 있습니다.
저는 윈박스를 열고
Files 안에 부트펌웨어 화일을 업로드 하고
system 안에 routerboard 메뉴에서 업그레이드 버튼을 눌러서 업데이트 했습니다.
업데이트 후 재부팅및 업데이트 확인은 필수
리부팅하면 업데이트가 되어 있더군요^^;
여튼 좀 있다가 다시 확인해봐야겠습니다.
램이 죽었길레 램 모듈 구해서 4개 납땜질로 교체 (전문가에게 부탁)
컨덴서 임신은 용량이 더 높은 산요 덴끼 콘덴서로 교체했습니다.
그 기계는 굴다리교에 있다가 대구에 가서 잘 살고 있습니다.
증상이 사라지지 않아서 Nand 파티선 설정을 변경했더니 없어(?)지더군요...
파티션이 0~7번까지인가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는 별 문제가 없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