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I-E 연장선을 통해 구성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 갯수 궁금증

제상현   
   조회 10892   추천 0    




보드를 보면 저렇게 구성 되어있는데 이게 일반적으로 2슬롯짜리 그래픽카드 (k5000, GTX Titan , 테슬라 등등)을 사용하게되면

아래 슬롯이 가려지지 않습니까? 그래서 만약 연장선을 사용해서










이런식으로 PCI-E 연장선으로  빼어 사용해준다면 파워는 충분하다는 가정하에 8개의 그래픽카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아니면 그래픽카드 하나를 꽂게 되면 바로아래 슬롯은 자동으로 Disable 상태로 전환되는건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상돈 2014-08
안됩니다 슬림용 그래픽카드 아닌이상 장착하기 힘듭니다.
그래픽카드를 슷롯옆에 장착해야 되는대 이게 불안정합니다.
     
제상현 2014-08
장착에 관한 부분을 제외한다면 인식자체는 되는건가요? 병령 GPU렌더링의 가능성을 보려고 하는중이라서요
박문형 2014-08
PCI-E Expander 라는 칩이 있습니다.

씨피유 코어 두개 들어가는 비디오카드에 들어가는 칩입니다.

16배속을 16배속 두개로 Y자식으로 연결합니다. (기판제조에 따라서 여러가지 배속이 존재합니다.)

요것을 4개 사용해서 비디오카드 8개 달수 있는 제품이 TYAN에 베어본으로 있습니다.
맨처음 개발시(1366씨피유때) 아이디어와 판권은 소니가 가지고 있었습니다.

http://www.tyan.com/Barebones_FT77AB7059_B7059F77AV6R-N
     
제상현 2014-08
슈퍼마이크로에서도 비슷하게 8개로 확장하는 추가 보드를 본듯한데 비슷한 방식인가요?

그렇다면 지금 저 사진의 T7600보드에서 저런 방식으로 하는건 불가능하겠군요 ^^;
박문형 2014-08
네 아마도 씨피유 2개짜리면 거의 비슷할 것입니다.

씨피유당 PCI-E 40레인이고 그중 32레인을 2개의 비디오슬롯에 사용하면

두개의 씨피유가 달린 시스템에서는 4개가 한계입니다.

그것을 PCI-E Expander로 슬롯만 늘렸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실려면 각보드 메뉴얼에 나오는 블럭다이어그램을 보시면 됩니다.

T7600보드는 슬롯모양만 16배속이고 실제 신호는 8배속이나 4배속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비디오카드가 8개씩 되면 전기를 무지하게 먹기에 베어본형식 아니면 힘듭니다.
     
제상현 2014-08
아 그렇군요 메뉴얼상에는 그래픽카드 꽂는 레인 설명에 PCIe X16 slot, 그리고 아래쪽 레인설명은 ( Pcie X16 slot (wired as X4) 라고 되어있는데 두개가 같은 박스로 묶여있다는 뜻인가 보군요

GPU렌더를 생각한다면 지금 시스템은 그대로 두고 따로 GPU렌더팜셋을 구비하는게 훨씬 낫겠군요 ^^; 답변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4-08
( Pcie X16 slot (wired as X4)
모양은 16배속 슬롯이지만 신호는 4배속이다

가 해석입니다.
     
제상현 2014-08
아 그렇군요 무늬만 16배속이라니 !
김우진 2014-08
보드에 따라서 가능합니다. 아래 동영상의 3:00  이후를 보세요. GTX295 7개 끼웠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GOpBlYx2H1o
사실 바이오스의 비디오카드 인식 한계 때문에 ASUS에서 바이오스 새로 만들어 줬다고 합니다.
     
제상현 2014-08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보드가 지원한다는 가정하에 가능한거였군요
epowergate 2014-08
2가지 이슈가 있습니다.
우선 가능합니다.  PCIe는 규격상 Daisy chain, switch 구성, cascading 등 거의 모든 방식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다만 , y-cable이던 Expander Backbone이건 Y-Y-Y Cable이건 가능합니다.
다만, 각 device마다 일종의 PCI device id같은것이 있는데 cable/backplane이 이를 지원해야 합니다.
하지만, 계획하시는 방식은 각 PCI slot에 바로 삽입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문제는 전원입니다.
PCI spec에 보면 어떤PCI냐에 따라서 다르지만 Slot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는데 40~60W 정도를 공급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많은 보드 제조사들이 이 스펙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많은 보드들이 graphic 전용이라고 하는 slot을 1-2개 정해서 지원하는 이유가 전체 slot 중에서 여기 1~2개만 충분한 전력을 지원하고 다른 slot은 10W 미만을 지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에 어떤분 말씀처럼 불안할 수 있다고 하는 원인이 여기에 있습니다.

결론:
아마도 방법은 각 Slot에 카드를 넣고 별도의 전원을 제공하면 해결이 됩니다.  USB에서 뽑을 수도 있도 FAN/AUX/HDD 등에서 뽑을 수도 있습니다.
epowergate 2014-08
그냥 참고로, 저는 서버 1세트에 graphic card 64개 물려 봤습니다.
Quadro 계열이었고 각 card가 약 230W 정도 사용했었습니다.
비용은 마음/가슴/머리 아플정도로 많이 들었습니다.
     
제상현 2014-08
아.. 저도 어제 밤에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확장 스토리지, 듀얼파워로 전원 공급 등 여러가지를 알아봤었는데 PCI 슬롯마다 파워가 배분되는 부분은 몰랐네요. 6핀 8핀만 되면 끝인줄 알았는데 그런 전원공급의 불안정성이 있을줄이야..
하우징 문제도 그렇고 돈이 굉장히 많이 들법한 방법 이겠군요
김제연 2014-08
요즘 사용하는 전원 있는 연장케이블 구입하시면 충분히 가능할듯 싶습니다.. 저렇게 하시는것보다 .. 그냥

3220 + H81 BTC 보드 + 6개의 GPU 로 .. 해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비용면에서 훨 쌉니다...

저도 저 조합으로 .. 750 6개 조합하려고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귀차니즘때문에 안하고 있음... 집에서 사용하실꺼면

750 으로 가세요
     
제상현 2014-08
예 아무리 대기전력이라고 하더라도 소비 전력이 많을것 같아서 GPU렌더를 사용할시 메인작업용 PC는  뷰포트용 쿼드로 + 서브 렌더링용 타이탄으로 구성하고 아예 말씀하신대로 다른 GPU렌더 시스템을 구축한뒤에 사용하는것이 나을 것같네요

브이레이 RT도 점점 지원 범위가 넓어지고 있고 Octane과 같은 GPU렌더러들도 디스플레이스 먼트맵을 지원하면서

회사작업까지는 힘들겠지만 개인 프로젝트를 빨리빨리 하고 렌더샷만 필요한 케이스에선 정말 활용방안이 무궁무진할 듯해서 지켜보는 중입니다. 전 700대 보다는 800번 라인업을 기대하고 있어요 CUDA코어도 많아진다고 하구요
epowergate 2014-08
Titan 1개가 250W 사용합니다.  6개면 1500W입니다.  일반 power로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QnA
제목Page 3104/5726
2014-05   5248467   정은준1
2015-12   1773775   백메가
2014-08   4040   2cpumem
2014-08   6478   Nikon
2014-08   5422   막판대장
2014-08   4937   아름다운노을
2014-08   7495   대한민국
2014-08   4028   라이젠
2014-08   4032   김은호
2014-08   3922   장지웅
2014-08   4274   가빠로구나
2014-08   7852   이둘두
2014-08   4249   테돌아이
2014-08   6828   겨울나무
2014-08   7307   GICode
2014-08   9454   송상병
2014-08   3660   테돌아이
2014-08   6735   김민철GC
2014-08   17742   이재용입니다
2014-08   4753   테돌아이
2014-08   3831   테돌아이
2014-08   7071   정은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