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컴퓨터 안에서 xpenology 두개 돌리면 어떻게 관리하나요?

이이크   
   조회 4939   추천 0    

가상화로 두개를 돌린다고 하면

예를 들어서 photo station 어플로 접속한다면 포트가 겹치는데 두개를

구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포트를 바꾼다면.. 어플에서는 어떻게 인식을 시키게 해야하는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테돌아이 2014-08
Xpenology VM 2개 돌리면 각각 아이피가 다르지 않나요?
Lee혁 2014-08
내부접속시에는 내부아이피가 다르니 192.168.0.2:5000과 192.168.0.3:5000 같이 구분하면 되고, 외부접속시에는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5002포트는 192.168.0.2:5000에 보내고 5003포트는 192.168.0.3:5000포트에 보내는 식으로 처리합니다.
     
테돌아이 2014-08
Good.
재민 2014-08
그럼 예를 들어서 포토스테이션 포트를 80에서 81로 바꿔놨다면

어플에서 접속주소 뒤에 :81 로 하면 될까요?
     
테돌아이 2014-08
포트포워딩을 그렇게 하였다면 그러한 방식으로 접속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지금 하나의 컴퓨터에 시돌리지를 가상으로 두개를 돌린다고 하지 않았나요?
그럼 각각의 아이피가 다르고 포트포워딩도 달리하셔야 합니다.
Lee혁님의 말씀대로 하시면 됩니다.
테돌아이 2014-08
Xpenology_1 and Xpenology_2 두개 있다고 할께요.
Xpenology_1의 내부 아이피가 192.168.0.2 이고,
Xpenology_2의 내부 아이피가 192.168.0.3 이고,
외부 아이피가 100.100.100.125 라고 할때

내부에서는 외부 아이피와 포트에 상관없이 각각의 내부 아이피로 접속을 하면 됩니다. 그러나 외부에서는 그대로 치고 들어가지를 못합니다.
이유는 공유기를 통한 내부아이피는 외부에서 알 수 없기 때문이죠.

외부에서 100.100.100.125로 접속하면 내부 아이피와 포트를 식별해줘야 각각 Xpenology에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유기가 어떤 공유기인지 몰라도.
공유기에 접속하면 포트포워딩이라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아이피와 포트를 정하면 됩니다.

Xpenology_1의 내부 아이피가 192.168.0.2 포트는 5000 으로 설정하고
Xpenology_2의 내부 아이피가 192.168.0.3 포트는 5001로 설정하세요.

그리고 외부에서 100.100.100.125:5000 이렇게 접속하면 Xpenology_1에 접속이되고, 100.100.100.125:5001 이렇게 접속하면 Xpenology_2에 접속이 됩니다.


QnA
제목Page 3105/5728
2015-12   1782029   백메가
2014-05   5257198   정은준1
2019-04   6076   굴다리교
2016-01   3644   김제연
2016-12   6141   써니에요
2014-10   5465   포카
2016-12   5317   쿰척쿰척
2020-07   2621   무아
2014-10   5323   천외천oo노…
2013-04   12606   이천풍
2016-01   4564   북쪽하늘
2018-03   4474   HEUo김용민
2014-10   4241   테돌아이
2018-03   4526   가온누리I강…
2019-05   4050   김진영JK
2013-04   5394   방o효o문
2020-07   7369   이과2
2016-02   4572   yeondoo
2016-02   4611   PiPPuuP
2023-08   3040   GPGPU
2014-11   5935   제상현
2019-05   3255   박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