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송수전의 칠을 뭐로 해야 하나요?

회원K   
   조회 7683   추천 0    

주말에 소방업체에서 소화 송수전 파이프의 형태를 변경했는데 (자르고 용접)

도색을 빨간 락카로 하다가 떨어져서 중단했습니다.

유성 페인트 바르면 된다고는 하는데... 혹시 녹이 슬거나 그러지 않을까요?


어떤 순서로 도장을 해야하는지 부탁드립니다.

- to be continue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황진우인 2014-09
배관은 녹슬지 않을겁니다....

도색을 하실려면 방청페인트 부터 도색 하셔야 다른 색이 도색이 될듯 합니다...

페인트 가게에 가시면 방청페인트 달라고 하시면 줍니다..

그 다음 빨간색을 도색하시면 페인트가 오래 갑니다...

그냥 빨간 유성 페인트 도색하시면 1년에 한번씩은 도색을 하셔야될겁니다...
     
회원K 2014-09
방청페인트 + 유성페인트.

방청 스프레이는 어떤가요???
http://www.enuri.com/p/9226514

그냥 락카를 뿌리는게 좀 찜찜은 했었는데, 방청을 안했던거네요. -.-...`

이쁘게 변신한 데코형 송수전 나중에 보여 드릴께요.
소방 규격이 파이프의 굴곡에 대해서는 없고 노출만 보이고 높이만 맞으면 된다고 해서
뱀 스타일로 바꿨습니다.
          
김준유 2014-09
방청페인트도 스프레이 타입으로 나옵니다..

방청 칠은 꼭 하세요... 당연 칠 주변의 이물질이 없게 청소하고 칠하게 하시면 됩니다.
은분으로 칠하는 경우도 있어요... 아연도 파이프일때는 은분으로 방청칠합니다. 노출부 보기 흉하지 않게끔
유성페인트는 하면 좋고
               
회원K 2014-09
청소는 뭘로 하면 되나요?
사포로 문지르면 될까요??
                    
김준유 2014-09
네.. 기본적으로 사포로 한번 밀고 마른 걸레로 닦은 다음 칠하시면 됩니다.
용접똥은 반드시 제거하시구요...
원래 있던 페인트를 벗겨 내지 않으면 계속 떨어질겁니다.

사포 같은 걸로 가능하면 원래 페인트 벗겨 내고
그 위에 프라이머 뿌린 후에 색을 칠해야 안 벗겨 질겁니다.

요즘은 잘 모르겠는데 예전 공장 같은 곳에 들어 오는 프라이머들은 방청 성분 포함 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회원K 2014-09
기존 파이트를 일부 잘라내고 새로운 파이프를 중간에 붙였는데,
새로운 파이프에는 칠이 없어서 그곳에 칠을 하려는거에요.
          
그러면 기존 파이프랑 새 파이프랑 연결 되는 부분에만 사포로 문지르시고
프라이머 뿌리고 그 위에 페이트 칠 하시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프라이머가 통상적으로 금속의 부석을 보완하고 소재랑 페인트의 부착력을 향상 시키는
역활을 합니다.
               
회원K 2014-09
사포질 -> 방청 -> 프라이머 -> 유성의 순서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사포질과 방청만 제가하고, 나머지는 인테리어 업체에 하라고 지시만...
그냥 페인트칠 하라고 하면 방청을 안할거 같아서...
                    
프라이머에 보통 방청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따로 작업 안하셔도 될겁니다.

혹시 모르니까 구매 하려는 프라이머 한번 확인해 보세요.

자동차용은 대부분 방청제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회원K 2014-09
방청이 포함은 되어 있지만, 확실하게 방청을 해두려구요.
사용할 일은 전혀 없는 시설이지만 그래도 녹슬면 맘이 아픈거라^^
                    
정은준1 2014-09
책에 나올정도로 완벽한 시방서입니다. ^^
그러나 현실은 빨간 락카 ^^
                         
회원K 2014-09
흠...그러니까요.
페인트칠 하나??? 생각했는데 갑자기 락카를 꺼내는거에요. -.-...
황진우인 2014-09
녹스는 자재를 사용했다면 불량 자재입니다... 하하하
임민규 2014-09
용접작업 특성상 내부의 녹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거까지 막는다면 욕심이구요 ^^
외부는 용접부위 전후를 사포로 갈고 "신나"로 닦아주고 나머지는 윗분들 언급하신대로 가면 됩니다.

뭘로 용접을 했던, 용접부위 주변은 방청성분이 완전 사라지기 때문에 무조건 도색해야합니다.
그게 싫다면 스테인리스 배관을 써야죠.
     
회원K 2014-09
소방업체는 용접까지 해주고 휭~ 하하하...
인허가 업체는 일하는 것도 갑 입니다.
     
정은준1 2014-09
보통 용접해놓고선 은색 락카 뿌리고 말던데요 -_-;
          
김준유 2014-09
그건 아연도관을 사용하기 떄문입니다.
아연도관에 빨간색 뿌려 놓으면 이상하잖아요...
               
회원K 2014-09
저는 빨간색이 좋아요. -.-...
               
정은준1 2014-09
ㅋㅋ
아연도관에 빨간거라....볼만하겠는걸요....
               
임민규 2014-09
용접용으로 아연관을 사용하나요?
전기용접이야 크게 상관없겠지만 티그용접은 용접자체가 안될겁니다.
그라인더로 싹 벗겨내야 하지요.

보통 백관(백금)이나 아연관은 조립식 배관 구성할때 쓸겁니다.
용접용은 흑관이지요.

이래저래 빨간색 도장을 할 일이 없으니 상상이 안갑니다. 붉은칠이라... ㅋ
                    
김준유 2014-09
도시가스 배관은 흑관을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백관이 맞는 명칭이겠네요...

수도/가스는 전기용접입니다.


QnA
제목Page 3070/5730
2015-12   1791609   백메가
2014-05   5266698   정은준1
2023-01   1942   후리지아
2023-01   2424   LevinF
2020-02   5284   online9
2016-08   4421   윈도우10
2017-09   5896   manseaza
2015-08   4211   김충환
2016-09   4144   KyuJoonA
2018-12   4449   페르세우스
2021-06   2687   뚜뚜김대원
2015-09   4194   정은준1
2021-06   4026   짱님
2017-09   4309   페르세우스
2015-09   5489   듀얼cpu
2021-06   3530   obbbok
2024-10   1266   Th2n
2019-01   3654   e5472
2023-02   1607   미담
2012-05   5692   김건우
2009-03   5733   김지환1
2015-09   5435   Win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