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가 OEM인것고 retail인 것이 차이가 있나요?

   조회 7984   추천 0    

이베이에서 E5-26xx 알아보고있는데요... OEM이라고 써놓은것이 있고 Retail이라고 된것이 있네요...

호환성이나 성능에 차이가 있나요?

아...또한가지만 질문드리겠습니다.
100만원짜리 CPU면....부가세 10% 붙는것 말고 관세는 없는건가요??


항상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4-11
CPU 해외에서 공수하시려고 하시나 보네요.

같은 모델이면 호환성 성능이 차이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CPU에서 OEM이란 것은 벤더에 납품된 CPU로 A/S를인텔에서부터 직접 받을수 없는 제품입니다.

리테일은 인텔본사로부터 A/S가 되는 것으로 압니다.

국내에서 정품씨피유는 무엇인지 알고 계시죠?

네 부가세 10%외 관세는 없습니다만 HS코드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HS코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3가지인가 나오는데 관세가 있는 품목이 있습니다.
그것으로 걸리면 관세가 나오고요.

그리고 쿨러 달린 CPU(한펙에)도 쿨러에 대한 관세가 8% 붙습니다.

인보이스에 HS코드와 원산지표시를 정확히 써야 통관이 부드럽게 됩니다.

요즘 관세청에서 9월부터 모든 인보이스 서류에 HS코드를 명기하게 법을 좀 고쳤드라고요.
페덱스,DHL,TNT 공지 사항을 잘 찾아 보세요.
     
대한민국 2014-11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국내 정품CPU란것이 따로있나요?....제가 잘 모릅니다...

나머지 관세에 대한것은 도움주신것 토대로 조금더 찾아보도록하겠습니다^^
          
구명서 2014-11
국내 정품이라는거 별건 없습니다.
인텔이 지정한 국내 수입유통업체(3개사)가 수입한 제품을 구매한걸 말합니다.
아래 문형님이 적어주신 사이트에서 조회해도 되고, 국내정품은 각 유통사에서 정품스티커를
붙여서 판매합니다.(가끔 스티커가 없을때가 있는데..
그때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이점은 국내서 무상으로 a/s를 받을 수 있냐 없냐 차이죠.국내 정품은 3개 유통사에서 무상으로 3년동안
a/s가능 그외 벌크 제품들은 해외로 직접 rma 보내야 되는정도 차이입니다.
(oem 제품은 제가 알기로는 벤더사에서 1년간인가(데탑의 경우) 자체 a/s이고...인텔에서는 안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벌크랑 oem은 다른방식이라...적고보니 별로 의미없는 내용이 되버렸네요.)
보통 데스크탑 cpu의 경우가 이렇습니다.

서버용 cpu는 국내서는 벌크로 수입해서 판매하는경우가 별로없어서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듯 합니다.
               
대한민국 2014-11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4-11
국내 정품 CPU

인텔 코리아가 지정한 수입상에서 수입한 CPU

갯수 등은 인텔 코리아가 관리.

www.realcpu.co.kr
     
대한민국 2014-11
앗~! 또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3035/5727
2015-12   1779581   백메가
2014-05   5254655   정은준1
2021-03   3737   블루영상
2022-11   2159   에스오투
2011-12   6906   뚜뚜김대원
2015-06   3909   윈도우10
2019-12   3639   서형호
2018-11   5409   deejus
2012-01   6177   뚜뚜김대원
2018-11   5343   newretrowave
2012-01   5696   방o효o문
2018-11   3852   두cpu
2016-08   3773   패킷스트림
2018-11   4022   1김In1
2015-07   4183   화란
2024-08   1315   Sakura24
2017-08   5947   김영기대전
2015-07   3910   전설속의미…
2016-08   4323   dreamer74
2016-08   4315   다롱이
2024-08   1674   땅쟁이
2012-03   6581   FreeB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