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셀 기술은 원래 발전이 더딘 걸까요..

김영기   
   조회 4343   추천 0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 관련 기술들도 분명 반도체 집적 기술 같은게 나아지는 모양새처럼 같이 발전해 나갈텐데

근 10년을 보면 어째 그 속도가 영 더딘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배터리 회로 관련 기술들은 그렇다 치고

 배터리 셀 자체의 무게는 내려가고 용량은 올라가는 속도가 어째 10년전과 비교해도 썩 획기적인 느낌이 들질 않습니다. 2015년이면 뭔가 3~4Wh/g 이런 수준으로 빵빵해지리라 생각했는데 보면 배터리는 영 지지부진하고 오히려 전력을 쓰는 부분이 저전력 고성능으로 개선되는 덕만 곁불처럼 자꾸 쬐는 모양새같아요. 기억효과나 과충전 같은게 많이 개선되고 수명도 제법 늘고 이런 부수적인 부분이 좋아지고는 있는데 정작 단위질량당 용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 같진 않아서 안타깝습니다.


문외한인 저의 짧은 생각으로는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 자체의 질료적 한계라서? 아직은 위험성을 통제할 기술이 안정적으로 확보되지 않은, 어떤 전혀 다른 소재와 구조의 배터리가 아닌 이상 용량의 폭발적 증가는 애초 불가능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해 봤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혹 조만간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는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어린왕자 2014-11
전력을 획기적으로 저장할 소재가 발견되지 않으면
어려울 듯
     
김영기 2014-11
한 줄을 추가하는 새에 리플을 다셨는데 내용이 제가 괜히 해본 생각과 같으신...
박문형 2014-11
안전,안정도의 문제가 있기에 인증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20여년이 넘어간 니카드 받데리가 아직 새제품이 나오는 것이 왜 일까요?
무아 2014-11
이미 현 수준에서도 폭탄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체 처럼 저장용량이 배수로 팍팍 늘어난다면
그 아무리 안정성을 갖추더라도 개인이 소지하진 못할 듯 합니다.
김은호 2014-11
리튬계열 소재로 상용최대제품의 3-4배 용량을 구현할 수는 있는데, 그 물질조합이 쓰기에는 너무 위험해서 못만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정시키는 물질을 찾던가 어찌하든 해결해야 그 정도 용량을 만들 수 있겠지요.


QnA
제목Page 3017/5729
2015-12   1783604   백메가
2014-05   5258772   정은준1
2017-04   2978   송진현
2013-11   32140   티키
2013-11   18057   이준호1
2015-03   7507   metro2
2017-04   4015   두cpu
2013-11   6183   user
2011-05   7803   뚜뚜김대원
2015-03   4514   snflzhdj
2019-09   2884   헌터D
2022-07   1691   퍼싱글
2013-11   26343   박상범
2013-11   6511   Nicoffeine
2015-03   6406   매쓰TM
2024-03   2170   민호양
2013-11   8315   류지현
2018-08   4089   심심심심
2015-04   5660   Win31
2018-08   3640   컴박
2017-05   10549   하셀호프
2018-08   4813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