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회사는 직원수가 5명 이내인 조그마한 회사입니다.
현재는 가정용 100M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데, LG 오피스넷이라는 상품이 좀 끌리네요.
직원수는 5명 이내이지만, 서버1대에 가상머신으로 AD서버, DB서버 2대(개발용, 운영용), 리눅스 서버 1대(우분투, 개발용)이 상시 돌고 있습니다. 물리 머신은 파일서버로 사용중이고요.
각 직원들도 기본적으로 개발용 가상머신을 1대씩은 사용하고 있고요. (각자 PC에서 Hyper-V 사용중입니다. Windows 8.1)
그래서, 직원 수는 적지만, 네트워크에 물려 있는 컴퓨터는 20대쯤 되네요.
현재, 특별히 문제를 느끼지는 못하고 있기는 합니다.
인터넷이 느려진다거나 하는 문제는 거의 없어요.
다만, 모든 백업을 dropbox로 하기 때문에, 1인당 네트워크 사용률이 적을것 같지는 않네요.
그런데, 오피스넷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보이네요.
1. 다음 그림과 같은, L2 스위치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2. 고정 IP를 제공합니다. (고정 IP를 받으면, 데이터센터에 있는 윈도우 서버 1대는 사무실 내부로 돌릴 수 있을 것 같네요. 가끔 서비스 중단되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자.. 그래서 질문 들어갑니다.
1. L2 스위치가 지금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기가비트 허브와 무엇이 다를까요? L2 스위치를 사용하면 좋은 점이 있을까요?
(참고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가비트 허브는 iP TIME SG24001 입니다.)
(제가 좀 찾아보니, L2 스위치와 L3 스위치는 각각 OSI 7 Layer의 2단계와 3단계를 지원하는 차이라고 하던데요.. L3의 경우, 서로 다른 네트워크도 하나로 묶어 사용할 수 있다고 하고.. 그런데 이건 우리 회사에서는 별 의미는 없을 것 같네요.)
2. 통상, 오피스넷으로 전환을 고려할 PC 수량은 대략 몇 대쯤 될까요?
(현재 전혀 불편함을 못 느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
기능이 무지 많습니다. MAC값을 등록해서 사용하기에 일반사용자가 저장비구해도 그리 쉽게사용하지
못합니다.
A2 : 혹시 몇십대라고 하더라고 WAN포트를 늘리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전체 트래픽양에 따라
컴퓨터 댓수와 인터넷 서비스 용량이 결정됩니다.
- 사무실에서 별도의 VLAN을 나누어 Broadcast 도메인(네트워크)을 구분하지 않는경우,
혹은 여러개의 회선을 마치 하나의 회선으로 묶어 사용하여 대역폭을 늘리는 기술(이더채널 등)을 사용하지
않는경우 스위칭 용량이 조금 늘어난다는 것 말고는 스위치와 일반 스위칭 허브와의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현재 말씀하신 내용으로만 보았을 때 구지 스위치 까지는 필요없을것으로 판단되지만, 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 그냥 제 의견입니다.
- L2 장비가 네트워크를 나누어주는 기능이 있다면(VLAN 구분) L3 장비는 그 나누어진 네트워크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라우팅) 기능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설치가 안되는 지역이 있습니다..오피스텔경우가 그렇죠..
또한 LG에서는 해당 장비를 [트렁크]라고 칭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인터넷공급자에게만 파는 관리형 스윗치입니다.
인터넷공급자에 맞게펌웨어도 조절되어 나오고 페스워드는 기본입니다.
(Enduser는 못 만짐)
퍼포먼스는 인터넷공급자가 테스트하여 패스했다는 정도로만 아시면 됩니다..
(빠른것보다는 제속도 나오고 튼튼하다는 편이 맞죠)
설정해서 쓸 수는 없고, 비밀번호도 못 바꾸고.. (이건 보안 문제가..)
어쨌든 알겠습니다.
그리고 박문형 님께서 주신 링크 타고 가 보니, 각 포트가 100M 인 것 같네요.
어차피 저희 허브도 계속 사용해야 할 것 같네요.
당장 오피스넷으로 갈 필요는 거의 없을 것 같고.. 향후에 오피스넷으로 갈 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따로 스위치를 구입하든가 해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참 고맙습니다. 이렇게 금방.. 상세한 답변이 달리다뇨~
저는 DB 기반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사람이라서, 답변을 달 일이 그리 많지는 않아 보입니다만.. 혹시 질문/답변에 관련 내용이 오면 성실히 답변 달겠습니다. ^^;
SW L2 제공은 자기네 광모듈 들어 올려고 덤으로 주는겁니다.
3년 사용하고 해지 했는데 고정IP 외에는 특별한거 없습니다.
가정용은 기가로 온다는데 말이죠 궁금하네요
좋은점은 고객센터가 24시간입니다..기업용이라 고객센터도 달라서 바로바로 대처 해 줍니다..
초기에 몇몇 포트가 닫혀있어서 새벽에 전화하니 받아서 처리해 주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