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쳐보드로 캡쳐 시 질문합니다

레나   
   조회 19593   추천 0    

USB 3.0을 사용해 HDMI입력, TV방송과 게임 녹화를 하고있는데

MP4포맷 720p영상 녹화 시 CPU사용율이 80%~95%가 됩니다

1080p 녹화 시 프레임드랍이 굉장히 심한데 CPU좀 바꿔주려고 합니다

HTPC사양은 L5408, PC2-2GB

녹화 시 코어빨인지 클럭빨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1080p 녹화해보셨거나 경험이 있으신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준연 2014-12
코어와 클럭, IPC, 그리고 디스크 I/O, 메모리빨을 모두 받습니다.
한판에50원 2014-12
mpeg4 는 연산량이 많아서 실시간 캡쳐시 부작용이 많구요, mpeg2 로 캡쳐후 2 pass mpeg4 압축하면 최고화질을 얻을수 있을겁니다.
mpeg4는 장시간 캡쳐시 립싱크도 잘 맞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실시간 mpeg2 캡쳐는 코어수 많은게 좋습니다.
     
레나 2014-12
변환 자체가 화질손상 줄 수 있는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mpeg4 압축 프로그램은 팟인코더 쓰면 되나요?
          
한판에50원 2014-12
mpeg2  캡쳐시 비트레이트를 많이 올려서 캡쳐하고, mpeg4 인코딩할때는 VBR 2pass 인코딩하면 화질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mpeg4 압축은 ffmpeg 를 추천하고 싶으나 간단하게 사용하고 싶으면 팟인코더 쓰시면 됩니다.
실시간 mpeg4 장시간 캡쳐를 원하면 H/W 로 구현된 제품을 쓰는게 좋습니다.
Blackmagic design 의 H.264 Pro Recorder  추천합니다.~
박문형 2014-12
USB는 영상하고는 안 맞죠..

영상용으로 개발된 인터페이스가 1394입니다.
김은호 2014-12
3.0이면 최신 제품같아보이는데 쓰시는 모델명을 알려주셔야 정확한 얘기가 가능할 갓 같고요. 일단 CPU가 많이 딸립니다. 최소 i3-2100 또는 그 이상/이후로 교체하시면 1080p의 60프레임까지 드랍없이 녹화됩니다. 녹화가 저장되는 하드는 OS가 설치된 하드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OS가 작업걸릴 때 녹화에 드랍생깁니다. 파티션이 아니고 하드를 별도로 쓰시길 권하고요.
     
레나 2014-12
내용이 부족했네요.. 스카이디지털 캡쳐U3에 인텔SSD 사용중입니다
i3로 간다면 시스템을 다 갈아야해서 현 플랫폼에서 찾고 있습니다
          
김은호 2014-12
그러면 현 상황에서는 U2모델의 하드웨어 인코딩 모델을 쓰셔야 합니다. 현 시스템으로는 720p도 MPEG4든 H264든 그렇게 버거워하는데 1080은 녹화 제대로 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는 그래픽카드만 근최신형으로 바꿔서 그래픽카드측에서 인코딩 가속을 하여 녹화하는 수도 있습니다. 비싼 것도 필요없고 중고 몇 만원수준인데, 하드웨어 인코딩 캡쳐장비와 가격비교를 잘 하셔서 판단하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레나 2014-12
mpeg2 1080p경우 싱크밀링없고 덜(?) 버겁지만
무식한 용량으로 MP4변환 인코딩 시간이 조금 아까운거 빼면 괜찮네요
GeForce9300이 달려있고 제가 이쪽은 첨인지라
인코딩 가속이란건 첨알았네요..9300도 되려나..
무아 2014-12
USB 3.0을 사용해 HDMI입력이 되는 캡춰보드??
일단 HDMI 입력 영상을 USB3.0 으로 CPU로 보낸 뒤 소프트웨어 엔코딩 하는 것이라면 CPU가 딸리는 것 같고.
캡춰보드(보드가 아니라 장비겠죠?)가 하드웨어 엔코딩하고 그 데이터를 USB3.0 으로 보내는 것이라면 CPU 사용량이 이상하게 높은 것이니 다른 문제가 있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나오는 보급형 캡쳐보드중에 HW x264 되는제품 거의 없습니다.
USB 모델도 아마 스디하고 Avermedia 두제품 뿐일텐데... 스디는 드라이버 지원이 굉장히 별로고.. 영상 싱크도 잘 안맞습니다. Avermedia 제품군은 난이도가 살짝 있는편이고..

Avermedia HDMI Capture, Intel G840 팟플을 통해 720p x264 녹화합니다만 cpu 4~50%씩 먹습니다. 2600k 4.5Ghz 에서도 10%~16%정도 사용합니다.
스디제품군이라면 팟플을 통해 녹화하시고, 싱크 문제 제대로 확인하셔야할겁니다. 스디는 영상음성 싱크, W7 지원 문제부터 시작해서 디바이스 나가는 문제도 상당히 잦으니... 여러므로 방법을 찾으셔야합니다. Capture X로 난리친거 생각하면...
     
레나 2014-12
싱크 잘 맞고 MP4 720p, mpeg2 1080p 60fr 녹화시에도 잘 바텨주는걸 보면
스디 기본프로그램이 캡쳐X 때와는 많이 괜찮아진 것 같네요

하지만 PC사양이 딸려선지 MP4 1080p에선 프레인드랍이..


QnA
제목Page 2988/5728
2014-05   5257191   정은준1
2015-12   1782021   백메가
2011-12   7207   우앙뿌앙
2014-02   3651   잇힝잇힝
2019-12   5114   전직P연구원
2014-02   5857   김민철GC
2016-07   4561   motion
2017-08   7480   캔위드
2016-08   3765   김건우
2014-03   4180   병맛폰
2018-11   5410   전승윤
2022-12   1560   사랑하라
2014-03   4929   라파엘보경
2024-08   1600   항공모함
2016-08   4939   왕용필
2014-03   14974   김민철GC
2022-12   3981   허인구마틴
2016-08   4040   퍼싱글
2018-11   2972   분노의다운힐
2020-01   4955   조재형3
2021-05   1818   신은왜
2014-03   18790   hello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