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255 |
0 |
2014-05
526625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184 |
25 |
2015-12
1791184
1 백메가
|
83232 |
보안문제?... |
황진우 |
2018-02 |
3285 |
0 |
2018-02
3285
1 황진우
|
83231 |
USB 케이블 제작 업체 문의... (6) |
호박고구마 |
2020-06 |
3335 |
0 |
2020-06
3335
1 호박고구마
|
83230 |
JAVA 프로그래밍 키감지. (3) |
송진현 |
2016-01 |
4809 |
0 |
2016-01
4809
1 송진현
|
83229 |
쿨노보(크롬플러스)는 캐쉬 용량지정이 안됩니까? |
힘내자 |
2013-03 |
5922 |
0 |
2013-03
5922
1 힘내자
|
83228 |
정확한 cpu 성능비교사이트 (10) |
AplPEC |
2016-12 |
8004 |
0 |
2016-12
8004
1 AplPEC
|
83227 |
광파이버는 재생이나 수리가 불가능 한가요? (4) |
미수맨 |
2016-01 |
6124 |
0 |
2016-01
6124
1 미수맨
|
83226 |
밥솥 어떤것이좋나요 (17) |
pumkin |
2023-06 |
2045 |
0 |
2023-06
2045
1 pumkin
|
83225 |
일반 sata 하드와 노트북용 sata하드중 어느것이 안정성이 좋을까요 (8) |
블루모션 |
2010-02 |
8785 |
0 |
2010-02
8785
1 블루모션
|
83224 |
HP Z840 파워 문의드립니다. (10) |
TheLoon |
2016-12 |
5264 |
0 |
2016-12
5264
1 TheLoon
|
83223 |
IPTIME FIRMWARE UPDATE in Win8 64 (4) |
박문형 |
2013-04 |
5342 |
0 |
2013-04
5342
1 박문형
|
83222 |
해외 구매가 처음인데, 이 제품 좀 봐주세요... (4) |
회로쟁이 |
2013-04 |
5082 |
0 |
2013-04
5082
1 회로쟁이
|
83221 |
L2 managed Switch를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6) |
회원K |
2013-04 |
14192 |
0 |
2013-04
14192
1 회원K
|
83220 |
z820 수냉쿨러 2개 포함한 베어본이 천달러면 비싼거겠죠? (7) |
깜박깜박가 |
2016-01 |
5482 |
0 |
2016-01
5482
1 깜박깜박가
|
83219 |
PCIe 슬롯 관련 문의(HP,DELL) (7) |
프랑 |
2021-12 |
3824 |
0 |
2021-12
3824
1 프랑
|
83218 |
SSD 셀 메모리 MLC 랑 TLC(3D nand) 랑 비교 하면 어떤게 안정성이 좋을까요? (8) |
케리스 |
2017-01 |
15439 |
0 |
2017-01
15439
1 케리스
|
83217 |
2cpu 맥 사파리에서는 쪽지 못보나요? (7) |
일론머스크 |
2019-05 |
3088 |
0 |
2019-05
3088
1 일론머스크
|
83216 |
윈도우7 프로 64버전 동시 접속 계정은 몇개인가요 (1) |
블루모션 |
2010-04 |
10783 |
0 |
2010-04
10783
1 블루모션
|
83215 |
ibm 9114 서버 hdd가 스카시 어느 타입인지알수 있나요? (6) |
임종균 |
2013-05 |
12296 |
0 |
2013-05
12296
1 임종균
|
83214 |
DX58SO Extreme 메인보드 질문 (9) |
kgmnam |
2017-01 |
5266 |
0 |
2017-01
5266
1 kgmnam
|
83213 |
리눅스 meminfo 분석관련,, (8) |
찌록 |
2021-12 |
3320 |
0 |
2021-12
3320
1 찌록
|
일단 http기준으로 접속시 컴퓨터에서 수신되는 패킷 자체가 영상 데이터입니다.
스트리밍되는 데이터를 라이브러리로 연결해서 처리하면 될거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현재 RTSP로 스트리밍 비디오를 opencv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opencv의 문제인지 아니면 제가 사용법을 정확하게 100프로 마스터하지 못하여서인지 해상도가 높아지거나 H264 스트림의경우 디코딩된 이미지 프레임이 작살나있는 경우들이 자주 있습니다... 이것을 좀 해결해야하는데 좀 제대로 된 어프로치를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너무 잘 몰라서 어디서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지... 좀 헤매고 있거든요...
혹시 어떤 라이브러리를 쓰면 적합할까요? 오픈씨브이이외의 라이브러리 아시는거 있으신가요?
그냥 브레인스토밍중이라고 생각하시고 마구 던져주시면 됩니다... 모든 핏치는 도움이 됩니다... 감사드려요~
RTSP 라면 네트웤 상황을 좀 따질 것 같은데요. 네트웤 상태는 좋은가요?
설정을 더 세밀히 하겠다면 ffmpeg 라이브러리를 직접 사용해보세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옵션만 잘 조절하면 그냥 RTSP 스트림에서 re-encoding 없이(packet 을 demuxing 하는 수준의 parsing만으로) mp4 같은 파일 형태의 non-streaming(맞는 표현인지는 모르겠네요) 데이터로 저장이 됩니다. 이걸 추출해서 쓰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요점은.. 온라인 데이터를 바로 디코딩 해서 쓸 생각은 위험하고 direct copy 저장 후 추출.
rtsp 를 ffmpeg 라이브러리로 쓰는 방식 말고 다른방식은 없을까요? 직접 카메라 sdk를 연동하는것 빼고...
아래 링크 참고 해보세요.
http://superuser.com/questions/663928/ffmpeg-to-capture-stills-from-h-264-stream
ffmpeg이 어짜피 소스코드 공개되어 있고 라이브러리도 잘 되어있으니까 적용하는덴 문제 없을 겁니다.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걸리면 조금 손봐서 filestream 형태로 메모리에 넣어 버리고 opencv에서 불러 쓰는 방법도...
대부분의 ip camera는 jpeg 등을 바로 전송하는데, 별도로 video를 decoding하셔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만약에 초당 10프레임을 jpeg 또는 bitmap 또는 raw로 준다면... 비디오를 쓸필요가 없어지기때문에 많은 문제가 해결이 되는데요... 혹시 그런 카메라를아시나요?
감사합니다~
연속된 2영상 같은 것을 이용해 (opencv의 mog2 같은 걸로 레퍼런스 영상 생성 후 입력 영상과 비교 등등등등) 뭔가를 하는 것 같은데
영상이 압축 되었고 그것을 복원해서 복원된 영상을 가지고 영상 처리를 하는 것이라면 압축과 복원과정, 전송과정의 손실, 에러, 등등등의 사유로 머리가 또 한웅큼 빠지실 수 있습니다 ^^
위에 댓글로 단 것에 http://superuser.com/questions/663928/ffmpeg-to-capture-stills-from-h-264-stream 를 보시면 뽑는 방법이 나와있는데 테스트 해보세요.
sdk를 사용하라고 다들 그러시는데요... sdk를 쓸만큼 여유로움이 지금 없어서... 그리고 sdk를 써본적이 없어서 무서워서 걱정중입니다...
많이 아시는것 같은데요... 방향만 좀 알려주세요~~
깜깜해지면 더더욱 현상이 심하다면...
vlc 나 다른 rtsp 를 플레이 할 수 있는 플레이어로 실시간 모니터링 해보면서 깜깜해지는 경우 실제로 다른 문제가 없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런식으로 어떤부분 아래는 그냥 줄로 나옵니다...
그리고 한 줄씩 빼먹는경우도 경험했습니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물체 추적 / 없어진 물체 감지 / 새로 생긴 물체 감지 등등의 기능이 있는 카메라들이 있습니다.
저희 회사 개발부서에서 하는 주 업무(제가 하는건 아니예요)가 지금 말씀하신 내용들인데, 방법을 알려드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제가 하는것도 비슷한것입니다...
물체추적보다 조금더 복잡한거에요...
이걸 하려면 비디오 소스가 좋아야 하잖아요... ㅠㅠ
2048 해상도에서 초당 15프레임 / 1920 또는 1280에서 초당 30프레임의 모션 JPEG를 지원합니다.
원하시는 카메라가 아닐까싶네요.
목표로 하시는 해상도가 얼마인가요? Raspberry Pi camera로 ip cam을 하나 만들었다가 설치를 미루고 있는데, 해상도를 낮추면 10 fps는 버틸것 같습니다. 여차하면 raspberry pi 자체에서 일부 영상처리를 해서 불필요한 이미지를 버릴 수도 있을 것 같구요.
프로그램에서 반드시 지원해야 한다면 우선 문제를 단순화 시키는게 선행되어야 할 겁니다.
검출률 100%(불가능이란건 아실거고) -> 80% 이런식으로.
영상 크기를 팍팍 줄여서 사용한다. (효과가 매우 좋죠. 가끔 보면 쓸데없이 고해상도를 고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frame rate를 줄인다. (실제로 줄여보면 1fps 으로도 충분히 구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잡한 알고리즘은 피한다. (복잡해서 성능 5% 오르는 것 보다 5%를 버리더라도 단순한 것이 더 좋습니다. 복잡한 알고리즘은 논문 쓸때나 유용하지 실제로 사용하는데는 단순한 것이 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