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838 |
0 |
2014-05
526483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850 |
25 |
2015-12
1789850
1 백메가
|
54954 |
브라우저로 유튜브나 팟플레이어 동영상 재생시 가끔 검은 화면으로 리셋 돼는데..vg… (3) |
이영규 |
2023-09 |
2238 |
0 |
2023-09
2238
1 이영규
|
54953 |
랙의 메인 스위치 교체를 하려고 하는데, 어느 스위치가 좋을까요? (16) |
회원K |
2013-07 |
7046 |
0 |
2013-07
7046
1 회원K
|
54952 |
쿼드로 p400이나 T600도 esxi 패스스루 되나요? (5) |
미친감자 |
2022-02 |
2818 |
0 |
2022-02
2818
1 미친감자
|
54951 |
윈도우 네트워크, 이런 기능 사용해보신 분 (3) |
매니아1 |
2023-09 |
2263 |
0 |
2023-09
2263
1 매니아1
|
54950 |
x366 입니다. 하드 하나에 녹색불이 계속 들어와 있네요.. (3) |
GoodWolf |
2010-08 |
9273 |
0 |
2010-08
9273
1 GoodWolf
|
54949 |
tx100에 hp p410 레이드카드 장착했는데 무한재부팅이네요. (2) |
읍내노는오빠 |
2013-07 |
8079 |
0 |
2013-07
8079
1 읍내노는오빠
|
54948 |
Dell t20에 4690 // 750 ti 해도 될까요?? (2) |
나몰라1 |
2016-03 |
4035 |
0 |
2016-03
4035
1 나몰라1
|
54947 |
KT에서 자꾸 해킹한다고 메일이 오는데 (5) |
박병희 |
2010-08 |
73494 |
0 |
2010-08
73494
1 박병희
|
54946 |
SSD 장착 질문이요 (1) |
리오 |
2016-03 |
4718 |
0 |
2016-03
4718
1 리오
|
54945 |
혹시 이런게 가능할까용 (네트워크 질문)? (13) |
된장맛바나나 |
2020-09 |
3533 |
0 |
2020-09
3533
1 된장맛바나나
|
54944 |
CPU 쿨러의 모델명을 알고 싶어 문의드립니다. (5) |
리카라바 |
2020-09 |
2869 |
0 |
2020-09
2869
1 리카라바
|
54943 |
Xeon Socket 604-Pin Cooling Fan, Fujikura P/N: FHP-6334 구할데 없을까요? (6) |
김상희 |
2010-09 |
9041 |
0 |
2010-09
9041
1 김상희
|
54942 |
강화유리 도어 손잡이 고정 나사는 어디서 살수 있는지요 (3) |
미수맨 |
2014-12 |
14287 |
0 |
2014-12
14287
1 미수맨
|
54941 |
이건 무슨 문제일까요 (2) |
레티나 |
2017-02 |
4042 |
0 |
2017-02
4042
1 레티나
|
54940 |
GA-AB350N-Gaming Wifi에 쓰일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GPGPU |
2020-09 |
2096 |
0 |
2020-09
2096
1 GPGPU
|
54939 |
제가 독특한 칩을 구했는데요..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4) |
2CPU최주희 |
2010-09 |
7861 |
0 |
2010-09
7861
1 2CPU최주희
|
54938 |
tx1310....그래픽카드 문의 (3) |
DOOWON |
2014-12 |
4226 |
0 |
2014-12
4226
1 DOOWON
|
54937 |
Aopen UK482 보드 수리 괜찮게 할만한 곳. (5) |
오성기 |
2010-09 |
8621 |
0 |
2010-09
8621
1 오성기
|
54936 |
파워뱅크로 무정전시스템을 꾸미려 합니다 UPS (15) |
발근아이 |
2020-09 |
6301 |
0 |
2020-09
6301
1 발근아이
|
54935 |
슈마케이스 악세서리 파는 곳 있을까요? (9) |
황혼을향해 |
2016-03 |
4975 |
0 |
2016-03
4975
1 황혼을향해
|
레이드 카드에 따라 지원하는 레이드 레벨이 틀리고
개인이 보통 사용하는 0,1,5 정도는 보드의 내장 칩셋으로도 가능합니다..
http://smsinfo.tistory.com/176
http://smsinfo.tistory.com/177
http://blog.naver.com/imsosimin?Redirect=Log&logNo=220109949080
레이드 구성에 관한건 위의걸 참조하시면 되실테구요.
소프트웨어로 레이드를 구성할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 레이드 라던가..이런게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하드웨어적으로 레이드 기능을 전문적으로 지원해주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될듯 합니다.
레이드를 사용하는 이유가 raid 0처럼 여러개의 하드를 단일하드처럼 사용함으로써 속도와 대용량을 추구할수
있는 이점도 있구요(반대로 안정성은 불안합니다. 레이드 깨지면 데이타는 날아간다고 보시면 되지요)
raid 1(미러링)은 비용은 많이들지만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구요..
저렴한 레이드 카드들은 0,1정도만 지원하는 경우가 많고.. 고가의 레이드카드들은 그 이상의 방식에 여러가지
데이타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들을(밧데리 라던가, 캐쉬 메모리..장착 등) 지원하지요.
1. 더 큰 용량의 HDD를 쓰기 위해
RAID를 사용하면 HDD 여러개를 마치 한개처럼 묶을수 있습니다.
대용량의 HDD를 만들수 있지요. 아주 쉽게 예를 들어 4테라 4개를 묶으면 16테라 용량이 됩니다.
2014년 말 현재, 단일 용량으로 현재 나와 있는 가장 큰 용량은 8테라 HDD 입니다.
2. HDD를 여러개 증설하기 위해
내장형 메인보드의 SATA포트를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RAID 콘트롤러에는 별도의 CPU가 탑재되어 있어서, 메인 CPU의 부담을 줄여주며 여러개의 HDD를 추가로 장착할수 있게 해줍니다.
디스크 속도를 높히기 위하여 (캐쉬 달린 레이드에 한함)
디스크가 하나 고장이 나도 서비스가 끊어지지 않고 사용하기 위하여 (RAID 1, 5 등)
RAID 1,5를 해놔서 우리 데이터는 안전해... => 하지만 실수로 데이터 삭제하고... 레이드 못쓸거네...라고 불만
다만 이해해야 하는건은 레이드는 백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라는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오히려 묶인 볼륨들에 의해 위험성이 더 있을수도 있는것입니다.. 하지만 광고들보면 꼭 백업없이도 안전하게 되는듯한 느낌의 광고들이 많습니다. 전 이런것에 잘은 모르지만 그냥 예전 스카시 하드 80g 여러개 레이드로 사용하던 기억에 적어봅니다.
속도 에 도움이 되면서도 시스템 운용에 장점을 가지게 되는 ... 스토리지 관리 기술? 정도로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포트 무쟈게 늘릴수 있기? 안전하게 관리된 포트 무쟈게 늘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