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용 CPU 문의

DOSS   
   조회 5714   추천 0    

장비 투자를 위해 사양 검토중에 CPU 부분이 애매해서 문의 드립니다

E5 v3 듀얼로 가고자 합니다

지금 고민인게 고클럭에 코어수 적은거냐(2687w v3) 저클럭에 코어수 많은거냐(2699v3) 둘중에 보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해석 sw 는 멀티코어 지원 sw 라 두가지 시피유 사용에 문제는 없을거 같습니다

고민중인 상황이 2699 같은 경우는 기본 2.3GHz 인데 터보로 3.6GHz 까지 올라가는부분 입니다

이전 장비가 2687w 인데 해석 돌리다보면 3.35GHz 까지 가는거 봐서는

2699v3 써도 될거 같기는 한데 기본 클걱이 낮아서 고민입니다

혹 비슷한 고민이나 상황에서 뭐를 선택해야 좋은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4-12
87W는 워크스테이션용입니다.
     
돗으 2014-12
넵 z840 으로 구매 예정입니다
2014-12
멀티코어, 멀티스레드 잘 지원한다면 2699가 나을듯합니다.

클럭으로 계산해봐도..

2.3*18 = 41.4GHz
3.1*10 = 31GHz

패스마크점수도 압도적이구요...
http://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Xeon+E5-2699+v3+%40+2.30GHz&id=2366

http://www.cpubenchmark.net/cpu.php?cpu=Intel+Xeon+E5-2687W+v3+%40+3.10GHz
     
돗으 2014-12
이게 제가 좀 아리송한게

멀티코어 멀티스레드 지원은 하는데 정말 효율있게 잘하는지를 잘 모르겠어요...

테스트 해보면 좋기는 한데 그런 상황이 안되서 혹시나 비슷하게 검토해보신분 있는가 해서요
          
연연 2014-12
일반적으로 멀티쓰레드의 수가 많아지면 질수록 효율은 떨어집니다.

http://ansys.com/Ansys/en_us/Support/Platform+Support/Benchmarks+Overview/ANSYS+Fluent+Benchmarks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나 직접 코딩한 프로그램이나 경우마다 틀리기는 하겠지만
위의 링크에서 나오는 코어당 효율이 일반적인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회원K 2014-12
터보는 core 1개일 때 올라가는 것 입니다.
실전에서는 base clock으로만 동작 합니다.

cpu-z로 체크해 보면... 코어 사용갯수가 늘어날수록 클럭이 떨어집니다.
http://2cpu.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9775
     
돗으 2014-12
답변 감사합니다

선택을 해야하는데 쉽사리 결정하기가 어렵네요
          
회원K 2014-12
2CPU 장착하실 것이라면 클럭이 높은 것으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빨리 빨리 해석을 하고, 다음 step으로 넘어가는 것이 전체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석시간 단축이 가장 중요한 factor이고, 다음으로 동시에 처리가능한 해석 갯수로 하는게 적당합니다.
     
EdH 2014-12
모든 코어 풀로드일 때도 터보 부스트가 동작하지 않나요? 단일 코어에 몰아줄 때 만큼 올라가진 않지만, 그래도 올라가긴 하는 거 같더라고요.
          
회원K 2014-12
리눅스에서 해봤을 때는 ...
잠깐잠깐 올라가기도 하지만 그정도로는 큰 성능 개선이 나오기 힘듭니다.
               
EdH 2014-12
2699v3에 18코어 풀로드일 때 2.8기가가 유지된다고 하는군요. 잠깐잠깐이 아닙니다..
베이스 클럭이 2.3기가인데 터보 2.8기가 유지라면 성능 향상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실전에서 베이스 클럭으로만 동작한다고 하신 것은 잘못된 정보가 아닌가 싶습니다.

http://www.chiploco.com/xeon-e5-2699-v3-dual-cpu-benchmarks-35897/ 내용 중,
Don’t be confused by the 3600 MHz (3.6 GHz) frequency in two of the tests because it is the Turbo Boost on a single core while the max Turbo Boost on all 18 cores is 2800 MHz (2.8 GHz).
                    
회원K 2014-12
E5-2600 계열의 v1, v2까지만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v3의 경우 base 클럭이 2.3이고, 최대클럭이 3.6일 때
2.8로 full load에서 동작한다고 하면... 서프라이즈한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좀 이상한 것은 turbo를 on 해두면 기본 클럭이 2.8GHz가 되는 것인데...
그러면 2.8 GHz라고 팔아야 비싸게 팔리지 않을까요??
                         
EdH 2014-12
http://www.intel.co.kr/content/dam/www/public/us/en/documents/specification-updates/xeon-e5-v3-spec-update.pdf

9 페이지에 사용 코어수 별로 터보 속도가 나와있네요. 2.8기가가 맞습니다..
속도를 낮추면 전력 소모가 줄어드니까 베이스를 2.3으로 해서 tdp를 줄이는 전략을 쓰는 게 아닌가 합니다. 굳이 부하가 없는데도 베이스를 2.8로 고정할 필요는 없을태니까요.
                         
회원K 2014-12
v1 v2의 경우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베이스클럭 이하로도 동작 합니다.
전력을 아끼기 위해서겠죠???

v3는 QPI가 엄청나게 높기 때문에 DB나 가상화 서버로는 최적이지만
일반적인 목적에서는 오버스펙이라서...

v3. 전혀 예상하지 않았던 곳에서 개선이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담에 서버 업글할 때, full turbo 클럭도 참조해야 할 것 같습니다.
                         
EdH 2014-12
아.. 글을 약간 잘못 썼네요.. 고정이 아닌 게 맞습니다. 쩝쩝.. 베이스 훨씬 아래로도 내려가지요..

내친김에 v2 씨퓨들 터보속도도 알아보려 했는데 인텔 데이터시트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를 모르겠어서 포기했습니다. v3랑은 포맷이 약간 다르군요..

하스웰에 오면서 확실히 전력 효율 향상이 있긴 했는지 터보 속도가 차이가 좀 나는 거 같네요.
돗으 2014-12
위에분들 답변 감사합니다
2687w v3 으로 가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이쪽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
댓글 달리는거 보니 맘이 또 와따리가따리 합니다
견적받아보니 2699 가 비싸기는 한데 예산가능범위 안이라 어찌할지 고민좀 할듯 합니다
     
EdH 2014-12
죄송합니다.. 제가 괜한 혼란을 드린 것 같군요.

제 얄팍한 지식으로는 박님 말씀하시는 내용에 찬성을 하는 편이긴 합니다만, 이쪽으로는 실무 경험이 없는지라.. 뭐라 회원K님과 같이 경험에서 우러져 나오는 답변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사실 댓글 단 것도 그냥 터보클럭 사실 확인차 단 성격이 강하고요..
명성호 2014-12
해당 소프트웨어 벤더 에게 물어보세요.....그게 가장 확실합니다.


QnA
제목Page 2351/5708
2014-05   5139140   정은준1
2015-12   1673629   백메가
2009-05   5686   박성만
2005-05   5686   윤호용
2011-11   5686  
2012-10   5686   숟갈
2013-10   5686   황진우
2008-01   5686   구명서
2019-08   5686   김건우
2007-08   5686   김영기
2007-12   5686   박진국
2006-07   5686   박용선
2006-07   5686   문추기
2017-08   5686   Korokoro
2018-07   5686   김건우
2005-05   5686   방효문
2012-02   5686   이충욱blue
2018-09   5686   빠시온
2008-02   5686   김태현
2015-11   5686   호걸
2013-04   5686   황혼을향해
2006-11   5686   손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