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백업 포맷 복원

조효근   
   조회 7019   추천 0    

이번에 자료를 정리 확인하고자
시나리오를 짜봤습니다

기존A 원본하드 .
B 백업임시하드. 두개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A하드는 사용이 빈번하지 않고 한달에 두번정도 전원
인가후 저장하는데 사용합니다.

A하드가 사용시간은 적지만 노후되어(2010년산하드) 정비를 조금 하고싶은데

다음과 같습니다
A하드 내용을 B로 백업합니다
A를 포맷 후 다시 B의 내용을 A로 복사합니다

이유는 하드디스의 저장 방식을 볼때 오래되면
저장 데이터의 변질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거든요

A하드는 계속 저장용량이 늘어나고있고
아직 데이터를 날린 적이 없어서 읽기는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물론 A하드는 3중 백업입니다

따라서 위 작업을 해주면 오래된 데이터의 오염을 조금이나마 방지할수 있을까 입니다

요약하면 데이터를 쓰고 읽는데 전체적으로 다시 쓰기를 해주면 데이터의 보관 안전성을 좀더 확보할수 있는지가 궁금한것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데이터의 오염의 뜻이 바이러스같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오염이 아닌 하드웨어적인 오염으로 국한한다면
진행하시려는 작업은 의미가 없을듯합니다. 거꾸로 그 작업중에 오염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됩니다.

보관되어있는 데이터의 검증의 방법으로 위 작업을 진행하신다면 어느 정도 여지가 있겠지만..
보존성을 위한 작업으로는 큰 의미가 없을듯합니다.
     
조효근 2014-12
하드웨어적인 오염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Aniki 2014-12
저도 동감입니다..
하드디스크가 자기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아마도 그런 걱정을 하시는거같은데 하드디스크는 옛날 노래감상용으로 많이쓰던 필름에 발라진 테이프와는 달리 한번 기록된 자기신호는 외부의 자극이 없는한 거의 영구적으로 보존됩니다.
삼중저장 하신다면야 더더욱 그런작업은 필요없다고 보구요. 하드는 심한 작업을 오래지속시킬수록 받는 데미지가 더 큽니다.너무 안쓰는것도 기계적인 부품에 좋지않겠지만 전체 플래터를 거의모두 억세스하는 작업을 여러번 하는것은 하드에 더 부담이 될거라 봅니다.
     
조효근 2014-12
넵. 그 자성을 생각하고 질문한것이구요.
자극없이 영구적인 보존이라는 말을 듣고 말그대로 지금처럼 그냥 사용해야겠습니다.
굳이 전체 read write를 통해서 하드디스크에 부담을 줄 필요는 없나보네요.
감사합니다.
엠브리오 2014-12
배드블럭이 생겨서 데이터를 읽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긴 해도 데이터에 물리적인 변질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즉, 0으로 저장된게 1로 바뀌거나 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
     
조효근 2014-12
추가설멸 감사합니다.
14년 마지막날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QnA
제목Page 2930/5725
2015-12   1771018   백메가
2014-05   5245716   정은준1
2010-03   7990   이해하면오…
2013-04   7434   이지포토
2014-10   4449   미래를설계…
2010-04   7576   최동민
2020-07   3075   snoopy1024
2013-05   8599   왕용필
2017-01   6191   캔위드
2020-07   2498   김제l김용환
2010-04   6459   Murphys
2023-07   2009   마왕
2010-04   8112   song05
2013-05   5449   cjsrbc
2023-08   1829   영산회상
2010-05   7960   가빠로구나
2013-05   6718   병맛폰
2017-01   5260   남경림
2013-06   6141   박남규
2010-06   7508   memsmicro
2017-01   4678   witbox
2014-11   3928   Psychophy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