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엔지니어(SE)란 무엇일까요

Geil   
   조회 11728   추천 0    

서른직전의 나이에 2년넘게 다니던 소프트웨어 리셀러 업체를 그만두고
다시 진로고민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이지만 그것도 10대정도 있는 테스트 워크스테이션들 Linux/Windows 돌리며
VPN서버도 구성하고 네트워크가 이상하면 라우터도 갈아주고 하면서
시스템엔지니어쪽이 재미날것 같다는 흥미가 조금 생겼네요

보통은 IDC내에서 근무하면서 HW/SW 구축,운영,유지보수 등이 떠오르는데,
요즘은 Devops 개념도 나와서 여러 회사들에서 조직문화도 변화되는 듯 해서
더욱 관심이 가네요.

정확한 직무에 대해 선배분들의 고견을 문의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구리구리 2015-01
https://kldp.org/node/117438

꽤 오래된 글타레인데 도움 되실거 같습니다.
     
Geil 2015-01
오. 링크감사합니다..
김상진 2015-01
특정 장비에 특화되어서 깊게 들어가느냐?
아니면...좀 작은업체(?)에서 이것저것 다양하게 하느냐?
이것에 따라서 공부 대상과 범위가 달라지겠죠

더불어서, 판매하는 회사 소속이냐?
아니면, 운영하는 조직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주위에 SE를 보면 SE는 육체적으로는 쉽지않은 분야인거 같더군요
특히 설치하는 업체소속이나, 장애 지원분야면...야근에 주말/연휴근무가 많은편인거 같더군요
     
Geil 2015-01
성함이 저랑 같으시네요. 깜짝놀랐습니다.. ^^
그렇네요. 특정 분야/솔루션 깊이 들어갈지.
넓은 영역 커버할지에 따라 다르겠네요..

상당히 올라운더 느낌이긴 합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5-01
우리나라의 SE란

1년 365일 24시간 근무하는 곳입니다.
혼자서 모든 것을 다해야 합니다.
어찌 보면 골병 들기 딱 좋은 곳입니다.
     
Geil 2015-01
아무래도 시스템들이 전부 24시간 구동이라 그런가봐요..

위에 링크 걸어주신것 읽어보니 정말.. 눈 돌아가게 많이 공부해야겠더군요.
어려운 길이지만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의견감사합니다
이길원 2015-01
SE라고하면 기본적으론 운영체제 구축(설치) 및 운영을 담당하는 분이지만
현재에 국내여건에서는 AA, DA, DBA등 IT전반 모든영역을 커버해야하는 직군처럼 되었지요

제가 다니는 회사 SE분도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선정, 어플리케이션 선정, 아키텍처 제안 및 구축, 네트워크 구축, DB운영관리, 마이그레이션등 개발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하시고 있습니다.

365일 24시간 일하지만 한 회사나 서비스를 담당한다면 모니터링 시스템 잘 구축해놓고 알람시스템 잘해 놓으면 장애 없을때랑 일 몰릴때 제외하고는 조금 여유있게 지낼 수 있습니다.
카프카 2015-01
솔직히 재미가 있는 분야는 아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널럴할 땐 넋 놓을 수 있지만 크리티컬한 상황에선 혼이 나가버리기도 하는 직군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IT직군이 다 그렇겠지만 상당한 발암성 직종이 아닌가 또 생각해봅니다.


QnA
제목Page 2979/5731
2014-05   5267971   정은준1
2015-12   1792984   백메가
2019-02   3812   오성기
2021-09   3241   꽝치기조사
2015-11   5341   한가한이수진
2017-12   3885   난다곰
2014-08   6699   밥한끼
2015-11   4907   이슬사랑00
2019-02   4948   맑은여름
2020-05   4649   엠브리오
2014-08   4969   김건우
2021-09   3583   네이쳐
2021-09   2535   Psychophysi…
2014-08   9090   나현근
2016-11   4324   김진관
2020-05   8943   DDDIE
2016-11   5123   컴박
2014-08   4270   삐돌이슬픔이
2020-05   2201   카탈리나
2009-12   9637   일반유저
2013-01   8405   로그아웃
2016-11   5267   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