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971 |
0 |
2014-05
526797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984 |
25 |
2015-12
1792984
1 백메가
|
55051 |
1366 cpu 핀이 나간걸까요? (12) |
오성기 |
2019-02 |
3812 |
0 |
2019-02
3812
1 오성기
|
55050 |
라우터 추천 혹은 조언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18) |
꽝치기조사 |
2021-09 |
3241 |
0 |
2021-09
3241
1 꽝치기조사
|
55049 |
한자 문의합니다. (11) |
한가한이수진 |
2015-11 |
5341 |
0 |
2015-11
5341
1 한가한이수진
|
55048 |
z620 히트싱크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난다곰 |
2017-12 |
3885 |
0 |
2017-12
3885
1 난다곰
|
55047 |
넷기어 GS724T 스위치를 하나 업어왔는데요. (8) |
밥한끼 |
2014-08 |
6699 |
0 |
2014-08
6699
1 밥한끼
|
55046 |
380g7 소음 정도가 어떤지요? (10) |
이슬사랑00 |
2015-11 |
4907 |
0 |
2015-11
4907
1 이슬사랑00
|
55045 |
ML310e Gen8 에 DSM 6.1 설치 문의. (14) |
맑은여름 |
2019-02 |
4948 |
0 |
2019-02
4948
1 맑은여름
|
55044 |
DELL 7810 컴퓨터에 E5-2658A v3 CPU 장착 여부. (15) |
엠브리오 |
2020-05 |
4649 |
0 |
2020-05
4649
1 엠브리오
|
55043 |
KVM에 연결할 컴터의 vga에 dvi젠더를 썼는데 생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오네요 |
김건우 |
2014-08 |
4969 |
0 |
2014-08
4969
1 김건우
|
55042 |
ECC 기능이 있는 메모리 인가요?? (6) |
네이쳐 |
2021-09 |
3583 |
0 |
2021-09
3583
1 네이쳐
|
55041 |
저항이 큰 하네스를 테스트하는 지혜로운 방법이 있을까요? (5) |
Psychophysi… |
2021-09 |
2535 |
0 |
2021-09
2535
1 Psychophysi…
|
55040 |
dc to dc 파워가 더 효율적인게 맞나요? (12) |
나현근 |
2014-08 |
9090 |
0 |
2014-08
9090
1 나현근
|
55039 |
네트워크 DLP 정보보호제품 관해서(이름있는제품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1) |
김진관 |
2016-11 |
4324 |
0 |
2016-11
4324
1 김진관
|
55038 |
우분투로 메인컴 쓰면 어떤가요? (18) |
DDDIE |
2020-05 |
8943 |
0 |
2020-05
8943
1 DDDIE
|
55037 |
html 질문 (4) |
컴박 |
2016-11 |
5123 |
0 |
2016-11
5123
1 컴박
|
55036 |
델 원도 coa 훼손시워런티 적용 문의 (2) |
삐돌이슬픔이 |
2014-08 |
4270 |
0 |
2014-08
4270
1 삐돌이슬픔이
|
55035 |
정책 NAT랑 인터페이스NAT를 같이 사용하면 안되나요?? (1) |
카탈리나 |
2020-05 |
2201 |
0 |
2020-05
2201
1 카탈리나
|
55034 |
[질문] 스마트폰의 네비 질문 (2) |
일반유저 |
2009-12 |
9637 |
0 |
2009-12
9637
1 일반유저
|
55033 |
델 UltraSharpTM U2410 과 UltraSharpTM U2412는 무슨 차이이죠? (2) |
로그아웃 |
2013-01 |
8405 |
0 |
2013-01
8405
1 로그아웃
|
55032 |
HGST 4TB 724040 DeskStar NAS를 구입해서 HDTUNE PRO로 확인중에 질문 있습니다! (2) |
윈디 |
2016-11 |
5267 |
0 |
2016-11
5267
1 윈디
|
꽤 오래된 글타레인데 도움 되실거 같습니다.
아니면...좀 작은업체(?)에서 이것저것 다양하게 하느냐?
이것에 따라서 공부 대상과 범위가 달라지겠죠
더불어서, 판매하는 회사 소속이냐?
아니면, 운영하는 조직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주위에 SE를 보면 SE는 육체적으로는 쉽지않은 분야인거 같더군요
특히 설치하는 업체소속이나, 장애 지원분야면...야근에 주말/연휴근무가 많은편인거 같더군요
그렇네요. 특정 분야/솔루션 깊이 들어갈지.
넓은 영역 커버할지에 따라 다르겠네요..
상당히 올라운더 느낌이긴 합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1년 365일 24시간 근무하는 곳입니다.
혼자서 모든 것을 다해야 합니다.
어찌 보면 골병 들기 딱 좋은 곳입니다.
위에 링크 걸어주신것 읽어보니 정말.. 눈 돌아가게 많이 공부해야겠더군요.
어려운 길이지만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의견감사합니다
현재에 국내여건에서는 AA, DA, DBA등 IT전반 모든영역을 커버해야하는 직군처럼 되었지요
제가 다니는 회사 SE분도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선정, 어플리케이션 선정, 아키텍처 제안 및 구축, 네트워크 구축, DB운영관리, 마이그레이션등 개발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하시고 있습니다.
365일 24시간 일하지만 한 회사나 서비스를 담당한다면 모니터링 시스템 잘 구축해놓고 알람시스템 잘해 놓으면 장애 없을때랑 일 몰릴때 제외하고는 조금 여유있게 지낼 수 있습니다.
널럴할 땐 넋 놓을 수 있지만 크리티컬한 상황에선 혼이 나가버리기도 하는 직군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IT직군이 다 그렇겠지만 상당한 발암성 직종이 아닌가 또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