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회사 네트워크 문제입니다.

교교교   
   조회 6500   추천 0    

안녕하세요.

가입은 몇 시간 안되었지만 지난 1년동안 열심히 공부하러 들락거렸습니다.
제 전공과 무관하기 때문에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 검색도 많이 한 것 같습니다.
주어진 문제에 제 지식에 한계가 와서 조언을 구합니다. ㅠ.ㅠ

작은 디자인 전문화사를 운영중인데, 최근에 네트웍이 많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고객사의 요청(?)으로 보안장비 등이 연결되고, 있는 기기들로 채우다 보니 어디가 문제인지도 모르겠고...
특이한 점은 잘 되다가 안되기 때문에 더욱 아리송하여 네트웍 판을 다시 꾸려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현재 구성입니다.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ONE 장비의 위치는 (라우터와 허브 사이) 불변이랍니다. 
2. KT 070 전화기 불통 (네트웍을 잡지 못합니다. 어쩌다가 잠시 되기도 합니다.)
3. 가끔 인터넷이 뚝뚝 끊김 (랜덤하게)
4. 2-3번의 문제로 인해 SONE과 협의하여 NS 장비를 이틀간 꺼 놨습니다만 상황 동일 (SONE 무죄인 듯)
5. KT 기사님 방문 후 KT Home Hub를 라우터에 연결하여야 한다하여 해 보니 연결! 허나 기사님 떠나고 5분만에 상황 그대로.
6. KT 070 전화가 (Home Hub) 최상단에 있어야 한다는 KT 의견으로 위치 교체 해 봤으나 전화는 되나, 3번 문제 동일하며 NAS의 DDNS 접속불가 (이 상황에서도 NS 장비 꺼 봤으나 상황 동일 - SONE 무죄)
7. 오늘은 KT 070 전화기 연결 끊고 관찰중인 상황입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그래서 희망사항인 판을 다시 꾸려봤습니다.
이렇게 하면 잘 될 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만...

의심가는 KT 070을 상단에 허브랑 물리면 어떨지...
바꾸는 김에 기가비트로 바꾸고... (케이블은 전부 UTP CAT6 입니다.)
월 고정비 들어가는 카메라도 NAS에 연결하고...
비용이 들어가지만 안정적으로 되기만 한다면야...

많은 질타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오버히트 2015-01
1. IP타임은 어디까지나 가정용입니다. 최상위 라우터를 기업용 라우터로 교체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기업용 라우터의 경우 브릿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굳이 최상위 라우터 위에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2. MF2 100장비의 정책룰과 CPU 사용량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교교교 2015-01
역시 IPTIME..
그렇다면 어떤 기종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MF2 100은 꺼보고 테스츠를 했었는데,
상태가 동일하기에 용의자는 아닌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사용량 확인은 SONE에 요청해야 알 수 있겠지요?

감사합니다.
          
오버히트 2015-01
MF2 100이 관제 서비스를 받고 있다면, 평균 사용량을 물어보시면 되며,
장비의 방화벽 정책과 로드에 따라 방화벽에서 병목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관제를 받고 계시다면, IPTIME에서 DMZ로 설정되어 있는건가요?

대안이 될 기종이라... 비용이 매우 넉넉하다면 Cisco 장비를 추천 드리고 싶으나,
차선책으로는 MikroTik사 제품군을 추천 드립니다.

수도권 안쪽이라면 개인적으로 간단하게 나마 봐드릴 수는 있을텐데 말이지요.
               
교교교 2015-01
평균 사용량을 물어보니
정확한 숫자로는 얘기 안해주고 굉장히 소량을 사용한다고만 하네요...

비용이 넉넉하지는 않습니다. ㅠ.ㅠ
아끼고 아껴야 할 살림이라...기종 선택이 어렵네요.

그리고...저희 회사는 강남역과 교대역 딱 중간입니다.
수도권입니다만...
강남역 인근 나오실 일이 있으시다면 잠시라도 시간 내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오버히트 2015-01
음.. 차 몰고가면 얼마 안걸리는 곳이군요
잘 알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상태의 세콤장비 2대와 스위치가... 삼각(?)으로 연결되어 있는건가요?
아니면 MF2 100MF -> VRN-10004->SW2400순으로 연결되어 있는건가요?
                         
교교교 2015-01
앗...제가 그림에서 선을 잘못 연결했나봅니다. 다시 확인 해 보니
VRN-10004 (카메라장비)는 SW2400 (스위치허브)에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쪽지에 회신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윈도우10 2015-01
이 정도면 더 큰 매니지드 스위치와 VLAN정책관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IP타임 장치는 걷어내야합니다. 방화벽 로드 확인하셔야 됩니다.. NAS에 DHCP서비스가 돌아가고 있다면 패킷이 꼬일 수 있습니다.
     
교교교 2015-01
두번째 이미지의 "HP PS1810-8G manageable Gigabit L2 switch" 이거보다 더 고성능의 매니지드 스위치를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추천 해 주실 제품이라도...
그리고 VLAN 정책관리, 방화벽 로드....아직 공부 못한 분야라...ㅠ.ㅠ 무슨 말씀이신지...

NAS에 DHCP 서비스가 돌아가고 있는지는 확인했는데 DHCP 사용 "아니오"로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5-01
말단의 스위치세대를 통합가능하다면 통합하세요.

문제발생확률이 낮아지고, 트러블슈팅도 쉬워집니다.

1번에서 2번으로의 구성변경은 IPTIME제품 들어간것 빼고는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쉽게 가시려면 하나의 내부망에 라우터(DHCP서버,공유기같은것)는 하나만 있는게 좋구요, 필요에따라 L2스위치로 확장한다고 생각하세요.

네트웍이 간헐적으로 끊어진다고하셨는데, 구간구간별로 체크해보는수밖에 없습니다.

각 구간별 링크및 장치들의 로그, 스위치포트변경, 케이블변경, 바이러스체크, 내부패킷감청, 트래픽모니터링 등으로 네트웍 단절문제를 찾을수 있습니다.
     
교교교 2015-01
말단의 스위치세대는 같은 모델을 여러대 사용해도 상관없을까요?
예를들면 "HP 1410-8G unmanageable Gigabit L2 switch" 로 통일 말입니다.
같은 기종이면 충돌(?) 날까봐서 일부러 다른 장비 찾아 넣어본 것이었습니다.

네트웍이 어느 구간에서 문제가 되는지 체크할 역량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상태론 전혀 모르고, 공부하고 해 본다해도 일상이 너무 바쁘네요. ㅠ.ㅠ
혹시 이런 상황 분석을 유상으로 해 주실만한 분이 계실까요?

감사합니다.
          
2015-01
말단의 스위치세대는 같은 모델을 여러대 사용해도 상관없을까요?
-> 하나의 네트웍에서 L2스위치는 여러대 있어도 이론적으로는 별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간단한 구성이 주는 잇점이 많이 있으니 웬만하면 24포트나 48포트 하나로 통합해 쓰시라는겁니다.
같은기종이면 충돌이 덜한것도 맞구요, 이기종의 L2스위치들로 구성하더라도 네고시에이션만 1000/full로 맞춰주면 별 문제없습니다.

네트웍이 어느 구간에서 문제가 되는지 체크할 역량이 되지 않습니다.
-> 글쓰신것보니 기본적인 역량은 되신다고 보구요, 아직 하실수 있는 일들이 많이 남았다고봅니다.
시간이 문제겠지만 문제되는부분들을 차분히 생각해보시고, 잘 모르시겠는부분은 이곳에 문의하셔도 도움이 되시리라 봅니다.

혹시 이런 상황 분석을 유상으로 해 주실만한 분이 계실까요?
-> 제가 지방에 있어서... ^^;; 서울에 있었다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어드릴수 있을텐데 아쉽습니다.
자게에 글 올리시면 유상이든무상이든 도움주실분들이 많으실거라봅니다.
               
교교교 2015-01
사무실 구조상 하나의 허브에서 다 연결하면 좋을텐데,
그렇게되면 입구에 케이블 지나가는 방지턱 같은게 불쑥 튀어올라오는 상황이 되네요...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대장 역할 할 라우터와 24포트 스위치허브 추천 주시면 감사히 리뷰 해 보겠습니다.
혹은 주말이라도 강남역 인근에 오실 일이 있으실 경우 시간내어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Cat 6 케이블이라도 롤로 사서 직접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겠지요? (해 본적이 없어서요)
                    
2015-01
미크로틱장비가 싸고 좋긴한데 UI가 좀 낮설고, 한글화나 대중성이 좀 약합니다.

라우터는 많이 팔리는 공유기중에 아무거나 하나 골라 쓰셔도 별 문제 없을듯하구요,

스위치는 요즘 HP제품 많이 추천하네요.

매니지먼트필요없으시면 저렴하게 넷기어도 좋습니다.

CAT.6 케이블링 별로 어렵지않습니다.

LS전선의 CAT.6케이블과 같은메이커의의 랜툴, RJ45를 장만하시면 유용하게 쓰시리라봅니다.

미크로틱 951g, 넷기어 GS724T,GS748T, HP 1410시리즈같은것들이 저렴하고 쓸만합니다.
                         
교교교 2015-02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2948/5727
2015-12   1779954   백메가
2014-05   5255025   정은준1
2020-07   2594   한강한뺨뷰
2016-12   5237   하셀호프
2021-11   3372   권용1
2010-03   6645   나너우리
2013-04   5295   이선규
2014-10   4230   과메기
2013-04   7443   이장원
2018-03   5727   유남생
2010-03   8659   김건우
2021-12   1925   Xecus
2023-07   3207   kungmo
2013-04   5260   미담
2017-01   6427   KyuJoonA
2019-05   3300   유호준
2010-04   11915   박남규
2013-05   18977   김건우
2013-05   7948   김황중
2019-05   2677   비엘이브
2023-08   3458   Wnahd
2010-05   9201   천안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