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단 HDD베이를 자작해 볼려고 하는데 지식이 필요합니다.

   조회 6258   추천 0    

4TB~6TB의 HDD 16단 JBOD전용 하드베이를 자작해서 만들어 볼려고 합니다.
구상은 16포트의 아답텍 ASA-70165H카드 및 듀얼 파워구성으로 HDD베이 외형은 프로파일로 제작하고 아크릴or알루미늄 마감 그리고 내부는 리안리 4단 핫스왑베이 킷트 4개정도 이용해 슬라이딩 핫스왑 HDD베이 형태로 만들어 볼까 생각중 입니다.
 
 
첫째. ASA-70165H카드에 WD그린 또는 RED 6TB호환 문제
 
같은내용으로 앤디코측에 문의를 해본결과 다른 6TB HDD 호환성 문제는 없었다고 하나 제가 문의했던 WD 그린제품의 호환성은 테스트를 하지 못하여 정확한 답변은 어렵다 였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JBOD전용 카드이고 레이드시 문제가 발생될수 있는 저속 RPM은 JBOD으로 사용시는 문제 될게 없지 않나.. 라는 생각 입니다. 혹시라도 이곳 2CPU에 아답텍 6,7,8 시리즈에 WD 그린 HDD를 물려 사용중인 분이 계시다면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제가 굳이 WD그린이나 레드로 선택할려는 것은 공진음 문제도 있고 이미 사용중인 하드가 죄다 그린이고.. 가격문제고 있고...ㅠㅠ
아~ 참고로 헤드파킹은 모두 죽여놓고 사용중입니다)
 
 
 
둘째. PC와 외장HDD베이의 연결 방식 문제
 
처음에는 단순히 HDD베이 뒷면을 오픈형 또는 HDmSAS케이블이 들어갈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놓고 PC본체의 ASA-70165H카드와 외장HDD베이 내부의 HDD와 직접연결(정확히는 리안리 핫스왑베이 킷트와 연결)을 하는식의 설계로 진행 했었습니다. 어차피 본체 바로 뒤에 두고 쓸거이긴 하지만 케이블 길이가 80cm라 설계에 따라 PC와 하드베이의 연결거리가 20cm도 안나오는 사태(?)가 발생될거 같고 무심코 PC를 옮기다가 HDD베이 내부의 락킹도 없는 SATA케이블이 탈거되기 쉬운 상황이라 이런 형태의 연결 방식은 문제가 있겠더라구요.
 
차선책으로 생각한게 PC에는 ASA-70165H 또는 ASA-7085H를 HDD베이 내부에는 AEC-82885T expander를 장착해 PC와 HDD베이간 연결은 SFF-8644 to SFF-8644 로 연결하고 HDD베이 내부는 expander -> SATA로 연결하는 방식인데 금전적 부담 + 윈도우에서 단일 드라이브 형태로 제대로 인식이 될지 의문 + SFF-8644 to SFF-8644 케이블은 국내에서 팔지도 않음 -_-;; 의 부작용(?)을 감수 해야 합니다.
 
일단 PC에 탑재된 HBA카드와 HDD베이간 직접적연 연결 보다는 중간에 HDD베이 내부에 Expander류의 카드를 장착을 하여 PC와 HDD베이간 거리확보+연결 안전성이 확보를 해야한다는 부분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해외직구까지 염두를 한다면 조금더 저렴하고 보편적인 방법이 다양하게 있을거 같은데 아이디어롤 좀 얻고 싶습니다.  
(참고로 HDD베이 내부에 들어가는 카드는 보드가 없기때문에 보조4핀등의 커넥터로 전원문제가 해결할수 있는제품이어야 합니다.) 
 
 
 
셋째. 듀얼파워 구성의 안정성
 
시중에 나와있는 24핀 듀얼파워 커넥터의 두가닥 선쪽을 조금 길게 개조해 HDD베이 파워와 연결이 가장 보편적이고 저렴한 방법같은데 안정성이 보장이 될지 모르겠군요. PC와 HDD베이에 탑재된 파워 품질이 좋다면 크게 문제될건 없다는 생각이 들고 선을 길게 개조하는것 또한 전기적 신호로 파워on만 부여되는 부분이라 이부분도 크게 문제될건 없다고 생각하는데 음.. 뭔가 찜찜하군요..;
 
그래서 알아보니 안텍 파워제품 최상위 HCP-1000 과 HCP-1300 제품에는 OC링크라는 파워 자체 듀얼파워 구성이 가능한 커넥터가 존재하더군요. 파워 자체적인 듀얼파워 지원이고 안텍이라는 브랜드 이미지상 안정성 문제로는 전자에 비교할 대상이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이경우 현제 제 PC에 탑재된 HCP-1200 (구형HCP모델이라 OC링크없음 ㅠ_ㅠ)를 헐값에 중고처분하고 30~40만원대 파워를 2대 장만해야 한다는 금전적 걸림돌이 있습니다. 16단이긴 하지만 HDD베이는 500와트 급이면 충분하다 여겨지기도 하구요.
아마 이 외의 다른 방도는 없을듯 한데 혹시 다른 아이디어가 있거나 24핀 듀얼파워 커넥터의 안정성면에 대한 조언을 좀 듣고 싶습니다.  
 
 
 
단순하게 만들어보자란 생각이 금액적인 부분이나 구조적인 부분이 점점 안드로메다로 가고있는 느낌이네요 ㅠ_ㅠ
긴 글이이지만 혹시 이런쪽에 지식이 있다면 힘 좀 보태주셨으면 감사 하겠습니다.
 
 
realcopa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5-01
1,000개 만들 생각으로 자금 계획이 필요합니다.

스토리지 샤시에서 재일 중요한 건 백플레인 제조 기술입니다.(임피던스 맞추기)

파워는 하드 1개당 12V 2A , 5V 1A를 맥시멈으로 계산하면 거의 다 맞습니다.
못생긴애 2015-01
WD 그린 제품은 레이드 구성 안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재작년에 3테라짜리 하드로 24개 RAID5로 구성했었는데,
한번에 6개가 나가서 데이타좀 날렸던 기억이 있습니다ㅠ
     
리얼쿠퍼 2015-01
레이드 구성 안합니다. 본분에 JBOD전용이라고 적어놨어요 ㅠ_ㅠ
악땅 2015-01
WD 그린은 RAID에 쓰라고 나온 하드가 아닙니다.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그린으로 RAID묶었다가 피본 레퍼런스가 있습니다.
     
리얼쿠퍼 2015-01
레이드 안써요...................... ;
ZSNET5 2015-01
그냥 슈마의 16베이짜리 깡통 사서 쓰시는게 정신건강 + 신체건강에 이롭습니다...

절.대.적.으.로..그.렇.습.니.다. <- 궁서체로 보세요.. ^.^;;
     
리얼쿠퍼 2015-01
이가 이분야는 문외안이라서 그러는데 슈마제품 관련 링크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박문형 2015-01
               
리얼쿠퍼 2015-01
링크 봤습니다~
개인사용자가 쓰기엔 너무 안드로메다인거 같아요ㅎㅎ  ㅠ_ㅠ
               
ZSNET5 2015-01
????
저거 얼마 안해요..
지금 계획하시는거 하시려면 훨씬 떨어지는 안정성 가진 제품을 더 비싸게 만드시는 겁니다.
개인사용자라면 더욱더 슈마깡통 쓰시는게 좋구요, 박문형님 달아주신 링크는 본사꺼니.. DS&G나 슈퍼솔루션에서 견적받아 보시면 됩니다.
아니면, 그냥 장터에 가끔 12~16베이짜리 깡통 올라오니 그거 사서 쓰시면 되구요..
박문형 2015-01
슈마는 아답텍과 검증이 잘 되어 있습니다.

(본사끼리 옆집이라는)
김진규 2015-01
물론 슈마나 첸브로가 좋긴 합니다만
가격도 가격이지만 소음도 무시못합니다.
차라리 리안리 PC-A79B 블랙 같이 5.25베이가 9개 이상인 케이스에
앤디코 AIO EasyRACK 501 R3 같은 하드랙 3개 끼우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부품 수급도 쉽고 나중에 판매하기도 쉽구요
     
리얼쿠퍼 2015-01
이미 리안리 PC-A76 으로 10개장착하고 빈곳에 그냥 5개 더 장착해서 사용중입니다
저도 미들타워 케이스를 좀 써보고 싶어서요 ㅎㅎ


QnA
제목Page 2945/5730
2014-05   5267000   정은준1
2015-12   1791927   백메가
2024-10   930   휴식처
2015-09   4173   김진영JK
2009-03   7119   김건우
2019-01   4656   HEUo김용민
2020-03   3127   구십평
2014-05   5126   장동건2014
2019-01   2763   늘파란
2020-03   4801   알플소
2017-10   3369   머라카는데
2009-04   11290   최모씨
2017-10   3447   전산oa
2024-11   1029   isilentwind
2012-07   5672   이인
2014-05   4962   정은준1
2019-01   3091   서버하거파
2021-07   2836   Tails
2014-05   4572   김윤술
2016-10   4812   회원K
2015-10   6794   블랙커피
2019-01   3129   머리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