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4026 |
0 |
2014-05
523402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0417 |
25 |
2015-12
1760417
1 백메가
|
43139 |
알리발 에소머신 사용자분께 자문 구합니다. (10) |
디지유 |
2022-03 |
1564 |
0 |
2022-03
1564
1 디지유
|
43138 |
모뎀키고 15분 있으면 인터넷이 끊어집니다. (10) |
장동건2014 |
2015-01 |
4227 |
0 |
2015-01
4227
1 장동건2014
|
43137 |
바이오스 메뉴중 OEM Software SMI Configuration (1) |
metaljw |
2015-01 |
3203 |
0 |
2015-01
3203
1 metaljw
|
43136 |
OpenLDAP 이나 Apache DS 를 이용해 윈도우 서버 클러스터 구성이 가능한가요? (5) |
소나기눈 |
2018-05 |
4110 |
0 |
2018-05
4110
1 소나기눈
|
43135 |
윈도xp 설치가 잘안되네요. usb로해도 자꾸 화일없다, 못읽는다 메시지가 자꾸나오네… (6) |
김건우 |
2019-07 |
4968 |
0 |
2019-07
4968
1 김건우
|
43134 |
알리에서 dispute한 건이 종료되었는데- 이제야 물품이 도착을... (4) |
오성기 |
2018-06 |
4840 |
0 |
2018-06
4840
1 오성기
|
43133 |
X58 칩셋 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5) |
심바트 |
2010-12 |
7605 |
0 |
2010-12
7605
1 심바트
|
43132 |
플랫 랜 케이블 박스단위 구매처 문의(국내외 무관) (5) |
메가날백 |
2018-06 |
4015 |
0 |
2018-06
4015
1 메가날백
|
43131 |
php 7.4 -> 8.0 마이그레이션 좀 도와주세요 (5) |
dateno1 |
2022-04 |
2812 |
0 |
2022-04
2812
1 dateno1
|
43130 |
G-suit학생용에 다량의 데이타를 올릴시 (11) |
그린 |
2020-10 |
2774 |
0 |
2020-10
2774
1 그린
|
43129 |
64개의 코어가 메모리 공유되는 시스템 구성할 수 있나요? (1) |
김규원 |
2011-01 |
8330 |
0 |
2011-01
8330
1 김규원
|
43128 |
놋북 아답터 문의 (7) |
Gleam |
2017-03 |
3812 |
0 |
2017-03
3812
1 Gleam
|
43127 |
160만원 정도로 pc본체와 모니터맞추기 (11) |
나는나입니다 |
2019-08 |
3507 |
0 |
2019-08
3507
1 나는나입니다
|
43126 |
ajaxplorer를 호스팅에 설치해서 FTP처럼 쓰는게 가능할까요? |
병맛폰 |
2013-09 |
7172 |
0 |
2013-09
7172
1 병맛폰
|
43125 |
RAID의 Battery 수명은 24시간 가동하는 서버에서 수명이 얼마나 되는지요 ? (18) |
전설속의미… |
2015-02 |
8784 |
0 |
2015-02
8784
1 전설속의미…
|
43124 |
(질문) 제온 CPU에 대하여 (11) |
philiippe |
2022-04 |
3625 |
0 |
2022-04
3625
1 philiippe
|
43123 |
mini PCI-e 용 SSD도 있나요? (4) |
캡틴아메리카노 |
2018-06 |
4235 |
0 |
2018-06
4235
1 캡틴아메리카노
|
43122 |
esxi에서 event 10400 ndis windows 10 문제 (3) |
김황중 |
2019-08 |
4840 |
0 |
2019-08
4840
1 김황중
|
43121 |
IBM x3650 m3 os설치문의 드립니다 (5) |
HanJinu |
2013-10 |
13685 |
0 |
2013-10
13685
1 HanJinu
|
43120 |
Hyper-V 서버는 무료버전이 없어졌나요? (4) |
s김종화z |
2019-08 |
2701 |
0 |
2019-08
2701
1 s김종화z
|
레이드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 문제 없으면 잘돌아간다고 봐야죠.
개인적생각에는 수명은1-3년 정도가 아닌가합니다.
저희꺼는 문제 없다고 나와서 걍 냅뒀는데, 한번 바꿔줘야 할까봐요
하나는 배터리고, 하나는 큰 축전기 2개던데요
안에 들어 있는 화학 액체는 몸에도 나쁘고 기판을 부식시킵니다.
구..
액체 누수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기도 뭐하구요
자세히는 이해 못 했지만 친철한 답변이 조금 더 감이 오네요. 감사합니다.
다른 방법들은 우스갯소리로 게스티메이션이죠.
배터리를 가장 오래 사용하는 방법은 종류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납축전지만해도 자동차에 들어가는 제품과 태양광발전에 사용되는 제품의 특성이 다릅니다. 저온에 강한 제품, 대전류가 가능한 제품, 장수명 제품 등등 특성이 달라서 원하는 용도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지 않으면 빨리 죽습니다.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휴대폰에 들어가는 제품과 노트북에 들어가는 제품의 특성이 다르고 자동차에 들어가는 제품은 또 다릅니다. 자동차만해도 하이브리리드냐 EV냐에 따라서 또 다릅니다. 보통 백업용 배터리는 고출력보단 고용량 제품을 선택합니다. 물론 충방전이 수시로 일어나진 않고 대부분의 시간을 만충 상태에서 대기하기 때문에 이런 특성에 어울리는 제품을 선택했을 때 수명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싸지만 장수명 배터리를 선택할 수 도 있고 싼 배터리를 1~2년 주기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리튬이온/폴리머 배터리는 취급하기가 쉽지 않기도 하고 보관도 좀 까다롭습니다. 가장 빨리 죽일 수 있는 방법은 고온에서 완충과 완방을 반복하는 것이고 그 다음이 고온에서 완충으로 보관하는 것입니다. 물론 저온에서 고전류 충방전을 하는 것도 위험하긴 합니다만 대부분의 배터리는 저온에서 고전류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건 저온에서 낮은 충전상태로 보관하는 것입니다. 노트북에 사용되는 배터리도 예외는 아닌데 노트북 배터리 관리 옵션에 70~80%를 만충으로 지정하는 옵션들이 있는 것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 물론 정전 백업시간과 배터리 수명 사이의 적당한 타협점이 필요하지요.
밧데리를 유저 맘데로 바꿀수 있나요? 있으신부은 신공을 소유하신분...
BBU는 적접회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것들이 대부분인데.. HP 껀 유독 그러하죠. 델껀 존 슬림하고.. LSI 꺼도 에드온보드로 구성되어있어서 임의로 바꿀수 없고.. 델꺼좀 자유로은데.. ㅎㅎ . 하지만... 기냥 목숨걸지 마시고 벤더지원 제품 사요하세요. 조립용 PC도 아니고 수십에서 수백만원하는 기능을 보존하셔야죠
문제는 운용 조건에 따른 배터리의 열화도가 관건이라서요~ 저 위의 김주영님이 설명을 잘 해 주셨네요!
배터리를 바꾸지 않고 오래쓴다는것도, 정전 복구까지의 메모리 유지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의 상대적인 이야기라...
3년이 지난 후에도 수시간 이상 보존을 해 주는 경우가 있는 반면 1년 남짓 지났는데 서너시간도 못버티는 경우가
있지요.
그리고 정전이 되는 조건이랑 디스크 작업을 어떻게 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레이드 카드의 설정은 어떠한지에 따라
BBU가 달려 있어도 레이드가 작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절대적인게 아니에요.....
BBU는 그냥 RAID5 나 6을 쓰면서 라이트백 케시를 살리기 위한 Key의 용도+사용기간 1년 이내의 최악의 상황에서 서너시간 정도 메모리 유지를 하는 정도로만 생각하시고,
실제 스토리지의 보호 및 정상 셧다운을 위해 UPS로 전원계통을 전체적 으로커버 하는것이 좀 더 안전합니다.
BBU 정품 정상적인 경로로 신품 구입하는거랑 UPS 구입하는거랑 비용 비교해 보시면 이해가 좀 더 빨리 되실껍니다. ㅋㅋㅋ
답변하신분들도 bbu에대한 답변을 하신분도 계시고 ups에 대한 답변을 하신분도 계신거같고....
bbu는 레이드컨트롤러안에 들어가는 밧데리인데 레이드컨트롤러의 캐시를 보존하는 용도입니다.
해당 모델에 맞는 전용제품을 구입하셔야하고 밧데리수명은 보통 3년+정도입니다.
전원이 완전히 나갔을경우 bbu는 보통 이틀정도 캐시를 보존할수있구요.
ups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라고해서 정전시 컴전체를 파워를 일정시간 유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용량에 따라 유지시간이 다르고 보통 몇분 또는 몇십분에서 길어야 몇시간정도로 오래버티진 못합니다.
컴이 동작중에 갑자기 파워가 나가면 시스템에 데미지를 받을수있기때문에 ups로 파워가 전환되고 몇분정도후에도 wall power가 들어오지 않으면 자동으로 종료되게끔 설정합니다.
혼동 되셨나 보네요.. 레이드 콘트롤러의 Battery 수명에 대한 질의 였습니다.
2011년에 도입한 넘들은 반반~ 2012년 장비들은 쓸만합니다.
결국 3~4년이 한계치인것 같습니다.
답 나왔네요 ㅋㅋ
http://www-06.ibm.com/jp/domino04/pc/support/Sylphd08.nsf/1e97b730bd4fa8f249256a840020d047/453a8dce989551ed49257b2c00089955/$FILE/ServeRAID%E3%83%90%E3%83%83%E3%83%86%E3%83%AA%E3%83%BC%E9%81%8B%E7%94%A8%E3%82%AC%E3%82%A4%E3%83%89%E3%80%80V2.1%20Jul2012.pdf
일본어이기는 한데...대충 8페이지만 보시면 어느정도 감이 오실 겁니다.
IBM은 LSI OEM이니까 동종의 BBU를 쓰는 여타 제품도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알려 주신 자료 탐독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나 저나 일본에서 사갈 서버 파트 좋은 거 없을려나요 ?
뭐.. 제 경우엔 외국에 있는 서버 관리팀이 로그 보고 있다가 BBU 교체하라고 하면 하는 식이라... ㅎㅎㅎ 그런데 그 텀이 대략 3년은 가는 것 같더군요. 같은 시기에 설치한 서버중에서도 교체 안한 넘도 있고 그래서, 딱히 신뢰할만한 정보는 아닐 수도 있겠지만요. ^^;
시부야 가서 아마존 킨들 보이저 살려구 갔다고 다들 품절이라서.. 발품만 팔구... 쓸쓸히 귀가 했습니다. 에
구
오늘은 비도 오구 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