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6146 |
0 |
2014-05
513614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0972 |
25 |
2015-12
1670972
1 백메가
|
82014 |
LSI 9265-8i 와 DELL H710P 비교 문의 드립니다 (6) |
죠슈아 |
2016-01 |
3937 |
0 |
2016-01
3937
1 죠슈아
|
82013 |
E5 제온용 보드 질문드립니다. (9) |
방o효o문 |
2014-06 |
3937 |
0 |
2014-06
3937
1 방o효o문
|
82012 |
컴퓨터 추천부탁 드립니다. (10) |
박위롱 |
2014-02 |
3937 |
0 |
2014-02
3937
1 박위롱
|
82011 |
득템? 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는데요... (4) |
김건우 |
2014-05 |
3937 |
0 |
2014-05
3937
1 김건우
|
82010 |
[긴급] 디스플레이랜드 LED 쓸만한가요? (5) |
나파이강승훈 |
2014-02 |
3937 |
0 |
2014-02
3937
1 나파이강승훈
|
82009 |
Dell SAS RAID Storage Manager 6.1 파일 부탁드려요 (2) |
권실장 |
2018-02 |
3937 |
0 |
2018-02
3937
1 권실장
|
82008 |
벤더 제품의 경우 개별 A/S가 가능한가요? (5) |
제상현 |
2014-09 |
3937 |
0 |
2014-09
3937
1 제상현
|
82007 |
저좀살려주세요..ㅠㅠ T5500 1 2 3 불들어왔는데여 (6) |
두cpu |
2017-04 |
3937 |
2 |
2017-04
3937
1 두cpu
|
82006 |
udp 서버용 vpn쓸만한게있을까요?(유료도 괜찬습니다) (2) |
케리스 |
2016-12 |
3937 |
0 |
2016-12
3937
1 케리스
|
82005 |
엑셀매크로 자동화 문서 짜려면 참고문서나 교재같은게 어떤게 있나요? (1) |
김건우 |
2015-08 |
3937 |
0 |
2015-08
3937
1 김건우
|
82004 |
초보질문)리눅스 부팅시.. (4) |
이건희 |
2016-10 |
3937 |
0 |
2016-10
3937
1 이건희
|
82003 |
full register burffer memory와 reg 메모리 차이가뭔가요? (1) |
wons |
2014-11 |
3937 |
0 |
2014-11
3937
1 wons
|
82002 |
ITX사이즈 보드에 랜포트 3개 (9) |
Doker |
2019-08 |
3937 |
0 |
2019-08
3937
1 Doker
|
82001 |
클립쉬 RF-7 II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2) |
박철 |
2015-12 |
3937 |
0 |
2015-12
3937
1 박철
|
82000 |
안녕하세요? 딥러닝 워크스테이션 견적을 맞췄는데 견적 수정사항이 있을까요? (12) |
신수웅 |
2018-09 |
3937 |
0 |
2018-09
3937
1 신수웅
|
81999 |
서버 랙에 사용하는 선반은 아무거나 장착 가능한가요. (2) |
제주김재민 |
2014-11 |
3937 |
0 |
2014-11
3937
1 제주김재민
|
81998 |
선택장애.. 추천 모델 의견 부탁합니다. (13) |
황진우 |
2017-06 |
3937 |
0 |
2017-06
3937
1 황진우
|
81997 |
esxi 내부 기가망 질문 (4) |
퀴올 |
2015-06 |
3938 |
0 |
2015-06
3938
1 퀴올
|
81996 |
ML110 G7 내부케이블을 P410에 바로 사용가능합니까? (2) |
딸기대장 |
2014-03 |
3938 |
0 |
2014-03
3938
1 딸기대장
|
81995 |
확장성이 좋은 서버 4대 구성도 질문드립니다. (10) |
ArtsRommel |
2014-04 |
3938 |
0 |
2014-04
3938
1 ArtsRommel
|
powerpoint "외부망이름\파일명.ppt"
이런 식으로 만들어서 시작프로그램을 등록하면 될텐데
문제는
시작과 동시에 외부망이 바로 연결될까? 의문입니다.
약간의 딜레이를 주는 명령(sleep 3 이런 식으로)을 앞에 넣어주면 되지 않을까요? 아니면 실패시 다시 시도하도록 배치를 만들고 몇 번 실패하면 포기하게.
그럼 로컬에 붙어 있는 HDD처럼 인식하게...
그래서 파일 찾아 실행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