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비선? 혹은 안내선? 어떤 제품이 좋을지..

   조회 31127   추천 0    


집에 랜케이블 공사를 해야 될 때가 되었습니다.

기가비트 지원되는 공유기로 바꾸고 배선을 다시 하는 김에 모든 방에 랜케이블을 가설해볼까 합니다.

랜케이블을 가설하기 위해서 요비선(안내선)이라는 케이블을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사용해보신 분들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5-02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L59c&fldid=Ceua&contentval=0000Ozzzzzzzzzzzzzzzzzzzzzzzzz

전 사용해보지는 않았고요..

요비선은 일종의 강철선입니다.

시작하는 곳에 요비선을 넣고  끝나는 곳 까지 요비선을 넣어 요비선 머리가 나오면 랜선을

요비선 머리에 잇고 요비선을 땡깁니다..

그렇게 헤서 랜선을 관에 넣는 것인데 뻑뻑하면 식용유 같은 기름을 넣기도 합니다.

가능하면 관안에 랜선을 2개 넣어두면 나중에 좋습니다.

CAT6케이블은 비싸고 작업이 어려우니 CAT5E케이블을 추천해드립니다.
     
엠브리오 2015-02
추천해주신 제품으로 구매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린드버그 2015-02
[요비선]이라는 용어가 흔히 쓰이고 있는 듯 한데.. 이는 일본어 呼び線(요비센)의 선 부분만 우리식 발음으로 읽은 겁니다. 일본어 잔재랄까, 국적불명의 용어죠.

재질은 강철 외에 요즘은 강화 플라스틱 재질도 많이 쓰이더군요.

여기까지 적고 링크를 보니 링크에도 요비센이란 용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네요. ^^;
          
엠브리오 2015-02
그냥 "안내선"으로 지칭하는게 좋겠네요.
김준유 2015-02
서울이시면 빌려드릴수 있어요..
논현역 근처입니다
     
엠브리오 2015-02
회사에서도 쓸겸해서 그냥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염종원 2015-02
혹시 허브가 놓여질 자리에는 선을 어떻게 뺄 계획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여러가닥이 나와야 하니 엄두가 안 날것 같은데요.
     
엠브리오 2015-02
현관문 바로 안쪽에 각 방으로 이어지는 단자함이 있습니다.

어차피 PVC관 안에 랜케이블이 들어갈수 있는 숫자는 2개가 최대일 것이므로..

그런데 광모뎀은 가운데방에 있어서 어쨌든 케이블을 끌어다가 단자함까지는 배선하고
거기에 가기비트 허브 놓고 다른방에 배분할 예정입니다.
조재현 2015-02
검은것과 노란것이 섞인거 쓰고 있습니다
아주 사용하기 좋습니다
30미터짜리면 충분하실거 같아요
성시창 2015-02
저도 집에 기가비트 랜으로 바꾸면서 샀습니다.
한 번 쓰고 나면 다시 쓸일이 거의 없어서 빌려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회사에 있었는데 빌려 쓸껄 그랬어요.)
몇 번 해보니 원래 랜선이 포설되어있으면 원래 랜선에 연결해서 당기면 없어도 할 수 있겠더군요.
30평대 아파트도 20미터 요비선이면 충분합니다. 너무 길어도 처치 곤란...
곰삼촌 2015-02
집이 크지 않으시면 굳이 배선갈이를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Cat 5시면 모를까 Cat 5E에서는 실제 체감 손실율이 10% 내외입니다. 이정도면 Copper Cable 기반에서는 거의 비슷비슷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50M 안이면 케이블이 Cat 6가 아니더라도 iperf 900~950은 충분히 찍는걸로 봐선 케이블 품질 문제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 오피스텔의 경우 실공간 10평짜리입니다만 IDF를 통해서 배선 작업을 해뒀는데 내부 배선이 모두 Cat 5입니다. 그래도 기가비트 풀대역 가까이 나오더군요.

실제 UTP 케이블의 4p 구성이 확실한지가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됩니다.
엠브리오 2015-02
아.. 망했습니다. @@ 단자함에 220V 콘센트를 끌어올수가 없네요. --;

다른 해결책을 강구해야겠습니다.
     
곰삼촌 2015-02
PoE 인젝터와 스플리터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인젝터 + 스플리터 비용 약 4만원)

벽부 단자 중에 메인 라인으로 쓰실 단자에서 PoE로 받으신 다음,
단자함에서 스플리터를 써서 스위치나 공유기에 전원공급하시면 됩니다.

(공유기 LAN) - (PoE 스플릿터, 3,5,12V 정도로 전압 조정이 가능한 녀석 추천) - (벽부단자) - (PoE 인젝터) - (스위치 또는 수용 PC)

이 방식의 단점은 공유기에서 요구하는 전원이 5V 기준 2A 이상일 경우 사용이 좀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럴 경우는 Passive PoE로 접근하시면 됩니다.(요령은 같습니다.)
          
엠브리오 2015-02
인젝터 + 스플리터 추천좀 해주세요. 물론 네트워크는 전부 기가비트로 바꿀 예정입니다.
               
랜케이블을 끌어오시는 방법과 동일하게 끌어오시면 될듯합니다.
220V전원에 큰 부하를 걸것이 아니기때문에 0.5SQ만 되어도 충분할듯합니다.
랜선보다 더 쉽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단자함에서 어디로 나가야 콘센트가 있느냐... 일듯합니다.
(주변 벽이나 단자함 뒷면에 전원선이 지나갈수도 있습니다. ^^)
               
곰삼촌 2015-02
인젝터는 기가비트 지원한다는 스펙의 제품이면 가격대에 맞게 아무것이나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간혹 기가비트 지원이라서 가격이 좀 더 비싼녀석이 있는데 가급적 제조사에서 지원한다고 하는 것 중에 어떤것이든 상관이 없을 것 같습니다.

스플리터는 EFM네트워크의 PoE 스플리터 1이 가성비도 좋고 전압도 5/9/12 3가지나 지원하는데다 단자가 5.5파이 DC 단자라 장비에서만 맞게 지원하면 왠만하면 연결 가능하실겁니다. 이녀석은 기가비트 지원을 제가 테스트해서 확인했습니다. 허용전류는 5V 기준 2A, 12V 기준 1A입니다.


QnA
제목Page 2911/5732
2015-12   1793936   백메가
2014-05   5268893   정은준1
2015-02   3476   전설속의미…
2015-02   3829   우승곡
2015-02   5368   순백의야수
2015-02   9648   수필처럼
2015-02   7233   v김호준v
2015-02   3925   지나가는행인
2015-02   5114   앵앵앵
2015-02   14838   나몰라1
2015-02   3831   전설속의미…
2015-02   5059   순백의야수
2015-02   3926   푸른하늘아래
2015-02   5437   아름다운노을
2015-02   5724   만능야매
2015-02   3816   보물섬
2015-02   3698   윈도우10
2015-02   4129   방o효o문
2015-02   6285   조병철
2015-02   7423   다연우혁아빠
2015-02   11002   오준호5
2015-02   15330   하늘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