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993 |
25 |
2015-12
179299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992 |
0 |
2014-05
5267992
1 정은준1
|
56771 |
윈도우7 pro iso 이미지 구할 수 있을까요? (6) |
최원시익 |
2015-03 |
13136 |
0 |
2015-03
13136
1 최원시익
|
56770 |
dell T7600 질문드립니다. |
DaVinci |
2015-03 |
3168 |
0 |
2015-03
3168
1 DaVinci
|
56769 |
E5450 오버 클럭 실패 문의드려요 (7) |
깨모 |
2015-03 |
11356 |
0 |
2015-03
11356
1 깨모
|
56768 |
dell precision 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5) |
흑향 |
2015-03 |
3627 |
0 |
2015-03
3627
1 흑향
|
56767 |
775보드의 매뉴얼을 보고있는데...cpu가 어떤거까지(속도, 스펙)지원되는지 이해하기… (6) |
김건우 |
2015-03 |
4088 |
0 |
2015-03
4088
1 김건우
|
56766 |
e5450 윈도우 정보 인식 (1) |
퓨리다 |
2015-03 |
4625 |
0 |
2015-03
4625
1 퓨리다
|
56765 |
가상화 서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2) |
빠시온 |
2015-03 |
4499 |
0 |
2015-03
4499
1 빠시온
|
56764 |
컨벤션센터 같은 곳에서 쓰는 무선공유기 좋은 것은? (9) |
후리지아 |
2015-03 |
5948 |
0 |
2015-03
5948
1 후리지아
|
56763 |
모니터에 네모난 이것 왜 생기나요? ㅠㅠ (4) |
캡틴아메리카노 |
2015-03 |
5280 |
0 |
2015-03
5280
1 캡틴아메리카노
|
56762 |
이번 윈도우 업데이트하고 프리징... (5) |
윈도우10 |
2015-03 |
6169 |
0 |
2015-03
6169
1 윈도우10
|
56761 |
윈도우 서버 2003 공유폴더를 2008로 가져올 수 있는 방법? (2) |
ADUS |
2015-03 |
4422 |
0 |
2015-03
4422
1 ADUS
|
56760 |
USIM 젠더? 오프라인 판매처 (4) |
씨형 |
2015-03 |
9294 |
0 |
2015-03
9294
1 씨형
|
56759 |
윈도우 제품번호 만으로 32/64 bit 확인가능할까요? (5) |
NiteFlite9 |
2015-03 |
4832 |
0 |
2015-03
4832
1 NiteFlite9
|
56758 |
서버 2003 지원이 올해중에 끊기나요? (3) |
겨울나무 |
2015-03 |
3504 |
0 |
2015-03
3504
1 겨울나무
|
56757 |
ESXi에 올린 윈도우VM에 Horizon으로 접속가능한가요? |
윈도우10 |
2015-03 |
3679 |
0 |
2015-03
3679
1 윈도우10
|
56756 |
넷북에 쓸만한 운영체제가 뭘까요 (13) |
2CPU최주희 |
2015-03 |
16786 |
0 |
2015-03
16786
1 2CPU최주희
|
56755 |
dd 명령어로 USB복사 환장하겠네요 ;; (5) |
istree |
2015-03 |
6380 |
0 |
2015-03
6380
1 istree
|
56754 |
이 레이드카드는 어느정도 급 카드인가요? (9) |
2CPU최주희 |
2015-03 |
4464 |
0 |
2015-03
4464
1 2CPU최주희
|
56753 |
윈도우 서버 2003에서 2008로 업그레이드? (2) |
영산회상 |
2015-03 |
5810 |
0 |
2015-03
5810
1 영산회상
|
56752 |
윈도우 8.1 기반 태블릿에.... 윈7 설치..... (2) |
안형곤 |
2015-03 |
6490 |
0 |
2015-03
6490
1 안형곤
|
미국에 서버를 하나 더두고 (서비스하는 서버 옆) 그 서버에 자료를 계속 담아두고
서비스하는 서버는 일정시간이 되면 일정량을 중간서버에서 가져와 서비스하는것은 어떨까요?
일은 많아지지만 중간에 버퍼서버를 하나 두는 것이죠..
실재 해본건 아니고(하지도 못하고)
생각을 해본 것입니다.
그 rsync 가 로컬에 따로따로 있으면 더 쉽겠네요... 하지만 한국서버에서 심어주는 형식이면 rsync 중에 느린것만 따로 해주던지 아니면 그냥 그 느린것에 속도를 맞춰서 작업을 하던지 해야겠네요... 얼마나 time critical 한것인지는 몰라서...
하지만 오래전 제가 작업했던 프로젝트중 뉴욕주식시장데이터베이스를 쓰는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실제 DB 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쓰지 않고 (메인프레임에 있는) 하루묵은 데이터를 썼었습니다... 저는 그게 좀 이해가 안가더라고요... 주식이 왔다갔다하는데... 하루에 한번씩 배치로 DB 를 Sync 한다는것이...
이미 rsync가 돌고 있으면 재구동하지 않도록 말이죠.
만약 못찾으시면 댓글 주세요... 제가 찾아 드리겠습니다...
cron rsync multi duplicate prevent 등등의 키워드를 이용하면 쉽게 나오지 않을까요?
원격지로 동기화 하기 전에, 위와 같이 원격지에 임시 파일이 있는지, 생성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고, 없거나 생성 시간이 아주 오래된 상태면 전송하게 하는건 어떨까 합니다.
써보진 못해서 뭐라고 말씀은 못드리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