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9730 |
25 |
2015-12
175973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3328 |
0 |
2014-05
5233328
1 정은준1
|
56917 |
2cpu에 일본 구매대행 하시는 분 없으신가요? (2) |
김성현2 |
2015-03 |
4153 |
0 |
2015-03
4153
1 김성현2
|
56916 |
vmware vm을 올릴 수 있는 유료서비스가 있을까요? (4) |
김호성 |
2015-03 |
3987 |
0 |
2015-03
3987
1 김호성
|
56915 |
R720 RAID 캐시 설정 문의합니다. (6) |
아마데우쓰 |
2015-03 |
8171 |
0 |
2015-03
8171
1 아마데우쓰
|
56914 |
NEC 70F3379M2(A1)FJ3 칩 롬 라이팅이 가능한 장비를 아시는 분.. (1) |
안형곤 |
2015-03 |
4497 |
0 |
2015-03
4497
1 안형곤
|
56913 |
제조사별 disk 브라켓 명칭 질문 (3) |
러브베이스볼 |
2015-03 |
3539 |
0 |
2015-03
3539
1 러브베이스볼
|
56912 |
안녕하세요 제온 E5450 문의드려용 (4) |
깨모 |
2015-03 |
4332 |
0 |
2015-03
4332
1 깨모
|
56911 |
SSD 회사 선택 (10) |
방o효o문 |
2015-03 |
5222 |
0 |
2015-03
5222
1 방o효o문
|
56910 |
p5q deluxe 보드 질문입니다. (6) |
질풍 |
2015-03 |
3850 |
0 |
2015-03
3850
1 질풍
|
56909 |
pci-e 8배속 라이저 카드 저렴하게 구할수 없을까요? (6) |
민사장 |
2015-03 |
4279 |
0 |
2015-03
4279
1 민사장
|
56908 |
hp z820 메인보드 문의드립니다 (3) |
김영일화성 |
2015-03 |
7352 |
0 |
2015-03
7352
1 김영일화성
|
56907 |
xpenology 구동하려는데요 ITX 보드에 sata3 8 개 이상인 보드가 있나요 ? (8) |
삐돌이슬픔이 |
2015-03 |
8672 |
0 |
2015-03
8672
1 삐돌이슬픔이
|
56906 |
sas 컨트롤러 lsi 9260-8i 배터리는 왜 필요한가요? (17) |
민사장 |
2015-03 |
8848 |
0 |
2015-03
8848
1 민사장
|
56905 |
SAS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케이블) (7) |
민사장 |
2015-03 |
4473 |
0 |
2015-03
4473
1 민사장
|
56904 |
레노버 놋북보니 HDD LED가 없네요? 소프트웨어적인거 말고 usb를 이용한 ...뭔가가 … (2) |
김건우 |
2015-03 |
3702 |
0 |
2015-03
3702
1 김건우
|
56903 |
XEON CPU에서 X와 E는 뭐가 차이나는걸까요?? (4) |
chis |
2015-03 |
4741 |
0 |
2015-03
4741
1 chis
|
56902 |
UNAS4 라는 4Bay가 NAS 구성에 좋을까요? (12) |
죠슈아 |
2015-03 |
9562 |
0 |
2015-03
9562
1 죠슈아
|
56901 |
서버용 메모리 카드 추천 부탁드려요 (4) |
런런런 |
2015-03 |
5450 |
0 |
2015-03
5450
1 런런런
|
56900 |
안정적인 USB 3.0 연장케이블 추천 해 주세요 ~ (4) |
블루영상 |
2015-03 |
17218 |
0 |
2015-03
17218
1 블루영상
|
56899 |
z800 SSD 인식관련 질문입니다. (3) |
Midabo |
2015-03 |
5347 |
0 |
2015-03
5347
1 Midabo
|
56898 |
이거 블루스크린 어떻개고치나요? (5) |
희비 |
2015-03 |
6866 |
0 |
2015-03
6866
1 희비
|
하드만 확장해도 되지만 간혹가다가 통째로 고장나면 독립된 시스템이 낫습니다.
그리고 백업 컴퓨터로 자동 동기화가 가능할까요?
온라인 백업과 오프라인 백업을 따로따로 가져가시는 게 좋구요.
온라인 백업의 경우에는 가능하다면 RAID가 아닌 단일 볼륨에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박문형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독립된 시스템이 낫고,
가능하다면 원본과 백업이 존재하는 장소가 다르면 더 좋습니다.
불이 났는데 오프라인 백업디스크가 원본 데이터와 같은 장소에 있었다면 다 날리는 거죠.
백업정책은 보험가입하는 것과 똑같구요, 적정한 수준으로 정책을 세우셔야 합니다.
백업 대상의 크기, 데이터가 변경되는 정도, 중요도(복구를 얼마나 빨리 해야 하는지 등...)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바로 백업으로 대체 가능해야 한다면 완전히 동일한 시스템을 구축해서 백업을 받아야 하고요,
하드웨어 장애나 재해가 아닌 사용자의 실수로부터 복구를 위해서라면 스냅샷 백업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스냅샷은 보통 어떤 식으로 하나요?
DAS는 해당 서버가 전체를 컨트롤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오염문제가 가끔 발생하거든요..
용량이 1TB이상 20TB 미만이고, 매일 갱신되는 데이터가 그리 많지 않다면,NAS를 하나 추가하셔서 1차 백업하시는게 가장 편안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제가 장터에 올려놓은거 있는데 주워가시지요???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sell&wr_id=110048&sca=&sfl=&stx=&spt=0&page=0
헐하게 드리지요.. ^.^;;
여기에 추가해서 2차로 HDD를 용량큰거 하나 끼워서 가~~끔 백업받으시면 편안해 집니다.
사실 1차 백업만 있어도 큰 문제는 잘 안생겨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2451819&cate=112789
http://prod.danawa.com/info/?pcode=2494675&cate=112763 (2개, raid 1로 묶음)
베이가 4개라 백업의 백업이 가능합니다.
nas 가격이 참 싸고요, HDD 는 HGST 가 가장 깨지지 않는다는 실험결과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돈 조금 더 주고...
여러가지 백업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속도가 느려터지고 다 필요 없습니다. 쉘로 작업하는게 가장 빠릅니다.
ssh 를 지원해서 ssh 로 접속해서
1. 윈도우 드라이브에 읽기 공유 권한 주고
2. mount -t cifs //192.168.0.9/E /share/mincom/E -o username="아이디",password="비번",iocharset=utf8
3. nohup cp -ruvp /share/mincom/E/* /mnt/HD/HD_b2 &
이런식으로 작업하면 됩니다. 저는 백업을 마치고 nas 스위치 껐습니다.
보통 시놀로지 많이 추천들 하는데, 시놀로지는 가성비가 WD 동급에 비해 CPU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시놀러지 엔지니어도 비싼제품군 쓰라고 느려터진다고 사지 말라고 저에게 얘기하더군요. 그래서, CPU 가 빠른 WD 로 했습니다. p2p 쓰려는 목적이 아니거나 편리한 UI 필요없이 쉘로 빠르게 복사만 하고 끝내실거면, 이 제품 추천합니다.
그리고 위 NAS 의 특징은 타임머신 백업이 지원됩니다. 그래서, 맥까지 백업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아주 만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