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372 |
0 |
2014-05
525637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347 |
25 |
2015-12
1781347
1 백메가
|
57371 |
요즘 시화호 방조제에 고등어 많이 나온다고 하는데..혹시 가 보신 분 계시나요? |
신은왜 |
2017-09 |
4063 |
0 |
2017-09
4063
1 신은왜
|
57370 |
Z800 에 GTX 1060 그래픽 카드를 붙이고자 합니다. (12) |
심심심심 |
2020-02 |
3129 |
0 |
2020-02
3129
1 심심심심
|
57369 |
SSD, HDD 안정성 (5) |
백만스물하나 |
2021-06 |
3097 |
0 |
2021-06
3097
1 백만스물하나
|
57368 |
스토리지 서버 md3220i 에 하드가 나갔는데 교체 방식이 궁금합니다. (2) |
엠씨넷 |
2015-09 |
4065 |
0 |
2015-09
4065
1 엠씨넷
|
57367 |
안녕하세요 ! HDSentinel 프로그램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14) |
atto |
2020-02 |
3383 |
0 |
2020-02
3383
1 atto
|
57366 |
노트북으로 보조모니터2개 사용할까하는데 질문드립니다 (4) |
르나풀스 |
2021-06 |
3640 |
0 |
2021-06
3640
1 르나풀스
|
57365 |
서버SSD 교체 주기는...? (4) |
바부팅이 |
2020-02 |
3396 |
0 |
2020-02
3396
1 바부팅이
|
57364 |
개조 제온 L5420.. 바이오스에 마이크로코드 추가 방법... |
제오너 |
2015-09 |
6501 |
0 |
2015-09
6501
1 제오너
|
57363 |
레이저 가공현장에서는 시트로 장처럼 씌우나요 ? (2) |
삐돌이슬픔이 |
2019-01 |
2829 |
0 |
2019-01
2829
1 삐돌이슬픔이
|
57362 |
initio ini-9100HA XP드라이브 구합니다. |
이선규 |
2009-03 |
6815 |
0 |
2009-03
6815
1 이선규
|
57361 |
메인보드 좀 찾아주세요 (9) |
명별 |
2012-05 |
5401 |
0 |
2012-05
5401
1 명별
|
57360 |
윈도우7 KEY ... (3) |
조운 |
2014-05 |
5229 |
0 |
2014-05
5229
1 조운
|
57359 |
Onkyo 리시버 + HP 마이크로서버 (8) |
영권 |
2012-05 |
6115 |
0 |
2012-05
6115
1 영권
|
57358 |
딥러닝 공부를 하면서 여러 실습을 위해 컴퓨터를 맞추고 싶습니다. (13) |
비와서코털… |
2017-10 |
7417 |
0 |
2017-10
7417
1 비와서코털…
|
57357 |
무선 네트워크 - 무선공유기 (장거리용, 야외) (9) |
바닷가사람 |
2012-06 |
26062 |
0 |
2012-06
26062
1 바닷가사람
|
57356 |
Dell Latitude D630 노트북 키보드 고장문의 (2) |
화란 |
2017-10 |
3555 |
0 |
2017-10
3555
1 화란
|
57355 |
m4400 노트북 램 지원이 슬롯 2개인데 ..8g 까지 지원이네요. (9) |
신은왜 |
2019-01 |
3319 |
0 |
2019-01
3319
1 신은왜
|
57354 |
10기가비트 랜 구성 문으드립니다 (8) |
새로운차원 |
2020-03 |
3662 |
0 |
2020-03
3662
1 새로운차원
|
57353 |
충전 아답터 반드시 용량이 맞아야하나요? (9) |
장동건2014 |
2015-09 |
5890 |
0 |
2015-09
5890
1 장동건2014
|
57352 |
사운드 선택기 노이즈 (7) |
방o효o문 |
2012-06 |
7116 |
0 |
2012-06
7116
1 방o효o문
|
링크의 캔타입콘덴서는 잘 터지기로 유명한 모델 아닌가요?
니치콘,삼영,산요,히타치 등의 이름 있는 105'c콘덴서를 사용하세요..
버리는 서버보드에서 같은 타입 빼쓰는 것도 좋습니다.
내압은 낮지만 않으면 되고
온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습니다. 수명 차이가 크게 납니다.
전압은 같거나 또는 높아도 무방
전원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1. 동일 용량 동일 전압
2. 동일 용량 전압은 높아도 무관(그런데 너무 전압이 높으면 크기가 안맞을 확율있음)
- 10v인데 16v 정도
용량은 동일
종류는 그림의 1 2 관계없음(전해콘덴사라고 붙은것은 회사나 종류등 관계없이 쓸수 있음)
470uF을 560uF 정도로 바꾸어도 관계없으나 1000uF은 절대로 권장안함
저같은경우 무조건 동일용량 동일전압으로 사용함
단 종류(즉 메이커등은)는 상관안함
저두 그림의 1번과 같은 콘덴사로 모든것에 사용합니다.
댓글 모두 감사합니다.
2. 전원부는 전압/용량이 조금씩 커도 무리없이 작동합니다만
다른 부분에는 전압/용량(특히 용량)이 정확하게 맞아야 동작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습니다.
3. 전압/용량이 동일하다면, 가급적 105도 컨덴서가 좋습니다.
4. 메이커는 별 관계 없지만, 말씀하시는대로 좀 비싸도 제대로된 메이커 제품을 권합니다.
용량이야 가급적 맞추어주는것이 좋다고 알고있습니다만[경우에 따라 초과해서 쓰는게 더좋은 경우도 있다지만..]
전압을 맞추어야 한다는 얘긴 들어본적이 없는데요.
보통은 내압이 더높으면 좋으면 좋았지 나쁜것은 아닌것으로 압니다.
내압이 높으면 보통은 크기가 커지므로 부품불량으로 교체시 실장이 어려운 경우는 있겠죠.
가령 큰전압이 들어와서 일정한 전압이나 전류를 통과시키지않는 역할을 하는 부품은 다이오드가 하는것으로압니다.
콘덴서도 그러한 일을 할수가 있습니까?
- 다이오드 역활 맞습니다.
- 컨덴사의 경우 오버전압보다 저전력의 경우 보충해주는 역할합니다.
컨텐사도 과전압이 걸리면 사망합니다.
동일용량 전압이 높으면 비싸고 별의미 없기 때문에 비슷한접압으로 선택
만의 한나 과전압이 걸릴경우 컨텐사도 일정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기존사용전압과 맞추어서 쓰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억인데 용량은 설계상으로 이유가 있으나 전압은 설계상에서 필요한 최소용량이고 이게
더 높은경우 작동과는 무관한것으로 알고 있음
아답터의 경우 용량이 높을수록 교류의 잡음을 줄일수 있는 주요부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전 무늬만 이과생입니다.
예전에 꼼지락 거리기 좋아할때 해외 유명 콘덴서를 가지고 뭔가 맹글때 50v면 충분한 곳에 400v 이상만 수입이 되서 그렇게 사용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누구도 전압이 높다고 문제시 하는경우가 없었습니다.
솔직히 내압이 높다고 문제가 된다는 내용은 여기서 처음봅니다.
내압이 오버되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회로시 좀 특별한 경우가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일반 아답터의 경우 컨덴사 앞단에서 예를 들면
12V 아답터이고 컨덴사의 내압은 16V
이때 앞단에서 16V 이상의 전압의 올경우 물론 다이오드 저항등도 사망하지만 컨덴사 역시 사망합니다.
이때 진짜로 어거지 예로 100V 내압을 쓸경우 콘덴서는 무사할거 같습니다.
저두 당해본경우도 실예를 확인한경우도 아닙니다.
탄탈컨덴서는 낮은전압으로(실수로) 교체 했다가 즉시 터지는것 당한적있습니다만
전해 컨덴서는 없습니다.
컨텐사 스펙에 보면 규정 전압보다 높으면 안되다는 규정이 있어서 입니다.
내압이 오버되는 문제는 순전히 저 개인의 생각입니다.
보통 내압이 높아지면 부피가 무지 커집니다.
삼영은 좋습니다. 105 급의 Low ESR 모델로 하시면 좀 더 좋구요.
삼영은 이름만 한국산이지 실제로 니폰케미콘의 한국 생산 법인인가로 알고 있고요. ^^; 삼화콘덴서도 세계적인 품질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소량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가 각각 개설되어 있으니 온라인으로도 국산(?) 제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LOW ESR에 Long Life 제품을 선택하시면 보통은 105도 제품이라 특별히 전원부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면 앞으로 다시는 교체할 일은 없을 것입니다.
16V 제품은 그대로 12V 입력단에 사용되는 것 같고 6.3V 1000uF은 5V쪽 출력단, 그리고 6.3V 470uF은 CPU나 메모리쪽 전원부 2차스테이지 평활용인 것 같군요. 그런데 저것들이 모두 다 배불렀다면 메인보드 또는 파워 자체의 문제를 의심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6V급 까지 문제가 생겼다는 건 리플전류가 상당한 경우, 그래서 발열로 커패시터가 버티지 못한 것 같은데요?
솔리드캡이라고 하는 것들은 대부분 크기가 큽니다. 6.3V급까진 비슷한 크기지만 전압과 용량이 증가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16V 짜린 대부분 전해캡 크기의 2배 이상입니다. 그리고 16V짜리를 굳이 솔리드 타입으로 사용할 이유도 없습니다. 물론 솔리드타입이 고온에 조금 더 잘 버티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