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591 |
25 |
2015-12
177759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598 |
0 |
2014-05
5252598
1 정은준1
|
57693 |
스피커 앰프관련 질문입니다 (2) |
잔디 |
2009-02 |
5397 |
0 |
2009-02
5397
1 잔디
|
57692 |
sata3 와 sata2 두가지 ssd의 체감 속도 차이는? (4) |
김황중 |
2014-05 |
4822 |
0 |
2014-05
4822
1 김황중
|
57691 |
스마트폰과 NAS 동기화에 관련하여 (3) |
테돌아이 |
2015-09 |
4752 |
0 |
2015-09
4752
1 테돌아이
|
57690 |
하나의 PC에 USB키보드를 두개 연결해서 두 키보드가 서로 다른 키배열로 사용이 가… (6) |
박 |
2012-05 |
14803 |
0 |
2012-05
14803
1 박
|
57689 |
서버 메인보드 바이오스는 방법은 일반메인보드랑 동일한가요? (8) |
항공모함 |
2024-10 |
1248 |
0 |
2024-10
1248
1 항공모함
|
57688 |
smart power on이란 기능이 뭘까요??? |
밤기차 |
2016-09 |
3799 |
0 |
2016-09
3799
1 밤기차
|
57687 |
2cpu 워크스테이션 궁금한점 있어요.. (9) |
제이레빗 |
2017-10 |
4315 |
0 |
2017-10
4315
1 제이레빗
|
57686 |
에어팟 분실 찾아 보신분 (3) |
guest1 |
2024-11 |
762 |
0 |
2024-11
762
1 guest1
|
57685 |
WD RMA 지금 되고 있나요?? (2) |
박상범 |
2012-06 |
5003 |
0 |
2012-06
5003
1 박상범
|
57684 |
델 H310 카드의 Raid 5 의견 부탁드립니다 (5) |
회원K |
2014-05 |
3973 |
0 |
2014-05
3973
1 회원K
|
57683 |
USB 컨트롤러 뻗었을때 (9) |
NaHS |
2021-06 |
4463 |
0 |
2021-06
4463
1 NaHS
|
57682 |
hp prodesk를 cpu, 그래픽카드 업그래이드 해도 윈도우 10 정품이 인정되나요? (8) |
피버꾸 |
2024-11 |
1077 |
0 |
2024-11
1077
1 피버꾸
|
57681 |
3D 마크 돌리면서 테스트 그래프가 꽉 안 찬 경우는 첨이여서요.. (3) |
허밍버드 |
2024-11 |
835 |
0 |
2024-11
835
1 허밍버드
|
57680 |
ASC-44300 제품에 대해서 |
고영덕 |
2009-04 |
5737 |
0 |
2009-04
5737
1 고영덕
|
57679 |
HP PROLIANT DL320 G6 궁금한것 여쭤 봅니다. (재질문) (68) |
겨울바다맥스 |
2015-09 |
6729 |
0 |
2015-09
6729
1 겨울바다맥스
|
57678 |
이 칩셋 상태가 아주 요상 합니다.(오해 할 뻔 했습니다.) (3) |
무쏘뿔처럼 |
2024-11 |
1130 |
0 |
2024-11
1130
1 무쏘뿔처럼
|
57677 |
[질문] 한글윈도우와 일어 혹은 영어윈도우간 시리얼 호환성 질문 (4) |
일반유저 |
2009-04 |
11082 |
0 |
2009-04
11082
1 일반유저
|
57676 |
납땜 뭘로 하시나요? (11) |
무아 |
2015-09 |
7935 |
0 |
2015-09
7935
1 무아
|
57675 |
19" 일반랙 유리문 파손 문의 (12) |
정은준1 |
2014-05 |
5391 |
0 |
2014-05
5391
1 정은준1
|
57674 |
듀얼그래픽 문제 (2) |
KurTurCho |
2020-03 |
3118 |
0 |
2020-03
3118
1 KurTurCho
|
UI 있고 없고 차이 해봐야 몇메가 더 잡아먹는거뿐 체감 못느낍니다.
단 코어모드에서는 뻘짓 안하니까 안정적으로 운영을 할수밖에 없는겁니다.
Xen은 VDI 로서 초창기에 한때 날렸지만 집중적인 분석을 할때는 치명적일수밖에 없습니다. 리눅스나 커널 전문가들이 봐줘야 되는데 우리나라 업체들이 망해가는 추세인가 봅니다.
반면 윈도우 커널로 운영되는 제품들은 이벤트부터 성능분석들이 툴이 없더라도 전부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바라봤을때 이점이 많지 않나 생각해보며 쓰는 환경에 맞는거를 찾는게 답입니다. 이게 좋다 안좋다를 결정하는건 무의미합니다.
윈도우 하이퍼브이나 vmware와는 비교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hyper v, xen server를 실제 서비스에서 써본 입장에서는, 특수한 기능(예:xen desktop 등...)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고 규모가 크지 않다면, 솔직히 뭘쓰던 별차이는 없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