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052 |
25 |
2015-12
176505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607 |
0 |
2014-05
5239607
1 정은준1
|
57698 |
가성비 미니pc 추천부탁드립니다. (15) |
반성만 |
2020-10 |
5415 |
0 |
2020-10
5415
1 반성만
|
57697 |
dell 웍스테이션 듀얼 제온쿼드 클러버타운2.0 에서 그래픽카드 별매로... (1) |
김말수 |
2008-01 |
5415 |
11 |
2008-01
5415
1 김말수
|
57696 |
혹시 이러한 에러를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3) |
이윤 |
2006-07 |
5415 |
14 |
2006-07
5415
1 이윤
|
57695 |
ZOTAC ZBOX mini RI531 Raid 사용하시는분 계시면 정보좀 부탁드려요. (4) |
김건우 |
2015-10 |
5415 |
0 |
2015-10
5415
1 김건우
|
57694 |
노트북 cpu교체 (5) |
AplPEC |
2015-10 |
5415 |
0 |
2015-10
5415
1 AplPEC
|
57693 |
PERC 320/DC Raid구성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
김상열 |
2008-01 |
5415 |
6 |
2008-01
5415
1 김상열
|
57692 |
gen8 microserver bios 초기화 후 IP 부팅이 안되네요... (5) |
뀨잉뀨잉 |
2015-09 |
5415 |
0 |
2015-09
5415
1 뀨잉뀨잉
|
57691 |
안녕하세요 서버 하드에관한 질문사항입니다. (5) |
홍성백 |
2008-12 |
5415 |
8 |
2008-12
5415
1 홍성백
|
57690 |
AMD EPYC 랙 1U 서버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
가배 |
2020-07 |
5415 |
0 |
2020-07
5415
1 가배
|
57689 |
LCD모니터의 DVI기능은 어떤때 쓰는지 (3) |
이재선 |
2006-07 |
5415 |
15 |
2006-07
5415
1 이재선
|
57688 |
[질문]256DDR 메모리 싸게파는곳이.. (3) |
최주희 |
2008-12 |
5415 |
4 |
2008-12
5415
1 최주희
|
57687 |
노트북 디스플레이포트와 DVI 모니터 연결이 잘 안되네요 (3) |
블랙 |
2017-09 |
5415 |
0 |
2017-09
5415
1 블랙
|
57686 |
시스템 다운 현상 (6) |
문희태 |
2005-11 |
5415 |
3 |
2005-11
5415
1 문희태
|
57685 |
megaraid elite 1600 에 물린 HDD에 윈도우 설치를 하려는데요. (1) |
김은식 |
2007-08 |
5415 |
36 |
2007-08
5415
1 김은식
|
57684 |
[AMD vs INTEL] FX8120+HD6770 vs I5 2500+GTS450 중에 뭐가 그나마 좀더 괜찮을지요? (8) |
박중석 |
2016-03 |
5415 |
0 |
2016-03
5415
1 박중석
|
57683 |
소스 관련 문의. (2) |
임현규 |
2008-02 |
5415 |
13 |
2008-02
5415
1 임현규
|
57682 |
[DBA님들께] 1년에 1억 row가 inser되는 테이블 설계 방향? (8) |
민봉기 |
2006-12 |
5414 |
35 |
2006-12
5414
1 민봉기
|
57681 |
FastTrak SX4000 어레이가 안 잡힙니다. (1) |
유승휘 |
2007-11 |
5414 |
19 |
2007-11
5414
1 유승휘
|
57680 |
IP할당 질문있습니다 (14) |
나는관제 |
2019-08 |
5414 |
0 |
2019-08
5414
1 나는관제
|
57679 |
[질문]서로다른 ISP를 사용하는 두개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5) |
퍼싱글 |
2016-03 |
5414 |
0 |
2016-03
5414
1 퍼싱글
|
공랭으로 설계된 시스템에 굳이 수냉을 도입할필요가 없지요
되도 안하는 오버클럭해서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주게되면 더 높은 냉각이 필요하니 그때서야 필요할지는 몰라도...
그리고 옆판떼기 띄니까 온도가 더 높아지는것은 현제의 케이스나 내부의 장치들의 내부 공기순환 및 환기가 잘되어있다는 반증입니다
예를 들어서 벤더시스템에서 흔히 보이는 에어덕트 같은경우 그걸 떼어내면 당연히 온도는 더 높아집니다
옆판을 떼니까 온도가 낮아졌다는 시스템들은 내부 공기흐름이나 환기(배출)가 좋지 못한경우입니다
감사합니다.
옆판 딱 붙이고 꾸준히 사용하겠습니다.
(지금 케이스가 풍2 인가 그렇습니다)
2. 케이스 전면펜이 있는부분에 미니선풍기등으로 바람보내도 효과 많이 봅니다.
수냉은 설치도 그렇고 가격도 비싸고 유지보수도 무지 중요합니다. 라디에타 호스등이 조금만 잘못되면 시퓨 탑니다.
미처 생각지 못한 방법을 알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 펌프가 CPU 풀로드 중에 고장나면 운이 좋다면 PC가 알아서 종료될 것이고 아니라면 탈수도 있습니다.
현재 바다 2010에 2500K 4.5Ghz로 오버하여 현재 사용중이고, LinX로 현재 기온에서 90도 이상 안넘어가시면
일반적인 인코딩 작업등에서 그렇게 온도는 높게 안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LinX가 AVX 명령을 사용하여 부하를 많이 주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것이거든요.
아무튼간에 바다2010 유지하시고, 후면팬으로 CPU의 발열을 바로 외부로 배출시켜주신다면 온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음악방송을 위해, 그냥 윈앰프만 돌아가는 탓에 시스템적으로 부하는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케이스 후면 팬을 다시한번 점검해볼께요.
감사합니다.
성능 향상도 있고, 전력소모, 발열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또한 케이스에 붙어 있는 팬, 청소도 하고 팬 교체도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하드 온도는 특별히 신경쓸 필요가 없는건데.. 뜨겁다면 조심하세요
50도 이상 계속 넘어간다던가.. 30~40도가 이상적인데..
어느 순간 갑자기 뻑납니다. 하드 뜨거운채 방치하면 위험해요.
하드 온도도 자주 봐야겠군요...
몇년째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으니... 으휴....
간간이 눈을 떼지 않아야 겠군요...
하드웨어 모니터 라는 프로그램이 참 좋네요... 힛~
집에 청소용 가스 분출 캔이 아직 2개나 있어요 힛;;;
그래도 정말 여유잡아서 한번쯤 해봐야겠어요.
하고 나면 속이 다 씨원할거 같네요 ㅎ;;;
좋아요..
문제는, 사운드카드가 장착이 안되어서 포기했답니다.
제 방송은 약간은 전문성이 있는 방송이라서
온보드 사운드 카드로는 충족이 안됩니다요 흐;;;
지금 사용중인 사운드카드는 auzentech forte 7.1 입니다.
혹시 http://www.jazzheart.com 에 접속하시면 청취해보실 수 있습니다.
몇도까지 올라가시는지?.. 하드는 하드 쿨러나 .. 쿨러달린 하드랙 하나 구비 하시면 좋습니다.
(내심 걱정했는데) 바다쿨러 정도면 괜찮다고 하시니 별 문제되지 않을 듯 합니다.
하드는 케이스 전면의 쿨러가 열심히 돌아가기는 하는데,
왠지 소음만 크고 신통찮은거 같아서 방금 팬 하나 주문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2789958&cate=1131548
도착하면 잘 한번 장착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 말씀에 이래저래 공부 많이 되네요... ㅎ;;;
감사합니다.
P.S. 쿨러달린 하드랙 검색중입니다.
그러면 외장하드 식으로 연결되겠군요....
또 하나의 공부거리를 주시네요 ㅎㅎㅎ
긁적긁적;;;;
완전 여름 오기전에 한번 작업해봐야 겠군요...
i3면 그렇게 오를거 같지 않은데...
집안이 많이 더운가 봅니다.
방온도가 은근히 컴퓨터 쿨링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고온으로 4~5년 24시간 쓰셨다면 메인보드 부품수명 유의하세요. 가실때가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가정용 메인보드 부품은 24시간 고온으로 작동시키기에는 수명이 매우 짧습니다.
(캐퍼시티가 버티지 못하고 임신해요)
조언 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냉은 일체형도 포함이 되기는 하지만, 3열라디 이상의 제대로 된 수냉시스템을 말합니다.
무소음 수준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이유는, 방열면적이 압도적으로 넓어지며, 물의 비열이 크고, 발열량이 많은 시스템이라도 발열체와 떨어뜨려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