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냉각에 관한 조언을 구합니다.

정명훈   
   조회 6067   추천 0    

저희 집에는 에어콘이 없습니다.

저는 음악방송을 하다보니, 방송 송출용 컴퓨터를 24시간 켜놓고 있습니다.

이 방송 컴퓨터가 조립한지 벌써 4~5년정도 된거 같은데요...

왠지 올 여름에는 걱정이 되네요


오로지 공랭으로만 24시간 가동하다보니 한여름에는...

하드 온도도 최고 한계에서 오락가락하고

씨피유 온도도  한계에서 넘나들었던 기억이 남네요........

현재는   써모랩 BADA2010 (저소음)  장착해서 사용중이고요,

올해 초 1월1일 즈음에 써멀구리스 다시한번 발라주었습니다.


씨피유에 붙여서 사용하는 수냉방식이 현재의 공랭식보다

컴퓨터 냉각에 도움은 되는지... 유경험자의 조언의 듣고자 합니다.




p.s. 예전에 한여름에 컴퓨터 케이스 옆면을 열어놓아 본적이 있는데요...

그러니까 하드와 씨피유의 온도가 더 올라가더라구요...

그래서 느꼈죠... " 아하~ 공기가 흘러서 바람을 쐬어주는 효과가 필요하구나... "

다시 케이스 다 닫고 측정하니 온도가 회복하더군요...

씨피유 쿨러와 케이스의 팬들이 괜히 돌아가는게 아님을 깨달았죠 ㅎ;;;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A지니 2015-04
수냉 별로 전 추천안합니다

공랭으로 설계된 시스템에 굳이 수냉을 도입할필요가 없지요

되도 안하는 오버클럭해서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주게되면 더 높은 냉각이 필요하니 그때서야 필요할지는 몰라도...

그리고 옆판떼기 띄니까 온도가 더 높아지는것은 현제의 케이스나 내부의 장치들의 내부 공기순환 및 환기가 잘되어있다는 반증입니다

예를 들어서 벤더시스템에서 흔히 보이는 에어덕트 같은경우 그걸 떼어내면 당연히 온도는 더 높아집니다

옆판을 떼니까 온도가 낮아졌다는 시스템들은 내부 공기흐름이나 환기(배출)가 좋지 못한경우입니다
     
정명훈 2015-04
아... 그냥... 정품으로 오버 없이 쓰고 있다면 굳이 수냉이 필요없다는 말씀이시군요.
감사합니다.
옆판 딱 붙이고 꾸준히 사용하겠습니다.
(지금 케이스가 풍2 인가 그렇습니다)
이윤주 2015-04
1. 옆판을 열고서 선풍기 약하게 틀어놓아도 온도 많이 내려갑니다.
2. 케이스 전면펜이 있는부분에 미니선풍기등으로 바람보내도 효과 많이 봅니다.

수냉은 설치도 그렇고 가격도 비싸고 유지보수도 무지 중요합니다. 라디에타 호스등이 조금만 잘못되면 시퓨 탑니다.
     
정명훈 2015-04
아... 그런 방법도 좋겠군요...
미처 생각지 못한 방법을 알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감기 2015-04
수냉 개인적으로는 비추천합니다. 유지보수도 꾸준히 해주셔야 하고, 펌프 소리도 생각보다 시끄럽습니다.

그리고 이 펌프가 CPU 풀로드 중에 고장나면 운이 좋다면 PC가 알아서 종료될 것이고 아니라면 탈수도 있습니다.

현재 바다 2010에 2500K 4.5Ghz로 오버하여 현재 사용중이고, LinX로 현재 기온에서 90도 이상 안넘어가시면
일반적인 인코딩 작업등에서 그렇게 온도는 높게 안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LinX가 AVX 명령을 사용하여 부하를 많이 주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것이거든요.

아무튼간에 바다2010 유지하시고, 후면팬으로 CPU의 발열을 바로 외부로 배출시켜주신다면 온도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정명훈 2015-04
아... 무슨 말씀인지 잘 이해가 됩니다.
음악방송을 위해, 그냥 윈앰프만 돌아가는 탓에 시스템적으로 부하는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케이스 후면 팬을 다시한번 점검해볼께요.
감사합니다.
강희환 2015-04
4-5년 되었다면 최신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성능 향상도 있고, 전력소모, 발열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정명훈 2015-04
네.. 염두에 둘께요... 감사합니다
김준연 2015-04
가장 좋은 것은 요즘 세대의 부품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코어2나 애슬론 II/페넘 II 시절의 물건은 발열도 많고 전력 관리 기능도 좋지는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케이스에 공기 순환이 좋지 못하다면 그것을 개선하도록 팬을 청소하고 팬이 부족하다면 전후면 공기 흐름에 맞춰 추가로 팬을 다는 것이 좋습니다.
     
정명훈 2015-04
네.. 개선된 부품을 한번 검색해볼께요...
또한 케이스에 붙어 있는 팬, 청소도 하고 팬 교체도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yan 2015-04
오버만 안하면 여름이어도 온도 걱정은 안해도 될텐데요..

그리고 하드 온도는 특별히 신경쓸 필요가 없는건데.. 뜨겁다면 조심하세요
50도 이상 계속 넘어간다던가.. 30~40도가 이상적인데..
어느 순간 갑자기 뻑납니다. 하드 뜨거운채 방치하면 위험해요.
     
정명훈 2015-04
아... 네 잘 알겠습니다.
하드 온도도 자주 봐야겠군요...

몇년째 쉬지 않고 돌아가고 있으니... 으휴....
간간이 눈을 떼지 않아야 겠군요...
하드웨어 모니터 라는 프로그램이 참 좋네요... 힛~
다롱이 2015-04
시간 있을 때 . 컴 케이스 내부를 셀프 세차장에 가서 에어로 청소를 하번 해주세요. 컴 내부 곳곳에 숨어 있는 먼지를 제거 해주세요.
     
정명훈 2015-04
앗 ㅎㅎ 네 무슨 말씀인지 잘 알겠습니다.
집에 청소용 가스 분출 캔이 아직 2개나 있어요 힛;;;
그래도 정말 여유잡아서 한번쯤 해봐야겠어요.
하고 나면 속이 다 씨원할거 같네요 ㅎ;;;
음악 바송만 하실거면 NUC 를 추천 합니다.. 하하하
좋아요..
     
정명훈 2015-04
아... 저도 이전에 미니사이즈 컴퓨터를 생각해봤었는데요,
문제는, 사운드카드가 장착이 안되어서 포기했답니다.
제 방송은 약간은 전문성이 있는 방송이라서
온보드 사운드 카드로는 충족이 안됩니다요 흐;;;
지금 사용중인 사운드카드는 auzentech forte 7.1 입니다.
혹시 http://www.jazzheart.com 에 접속하시면 청취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건 홍보를 좀 많이 하셔야지요.. 하하하
김제연 2015-04
cpu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바다쿨러라면.. 왠만해선.. 한계온도까지 안올라갈텐데요 ..

몇도까지 올라가시는지?.. 하드는 하드 쿨러나 .. 쿨러달린 하드랙 하나 구비 하시면 좋습니다.
     
정명훈 2015-04
아.. cpu는 i3 구닥다리 라서 별 문제 안될꺼 같아요...
(내심 걱정했는데) 바다쿨러 정도면 괜찮다고 하시니 별 문제되지 않을 듯 합니다.
하드는 케이스 전면의 쿨러가 열심히 돌아가기는 하는데,
왠지 소음만 크고 신통찮은거 같아서 방금 팬 하나 주문했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2789958&cate=1131548
도착하면 잘 한번 장착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 말씀에 이래저래 공부 많이 되네요... ㅎ;;;
감사합니다.

P.S. 쿨러달린 하드랙 검색중입니다.
그러면 외장하드 식으로 연결되겠군요....
또 하나의 공부거리를 주시네요 ㅎㅎㅎ
긁적긁적;;;;
김제연 2015-04
저의경우 핫스왑은 하지 않지만.. 핫스왑에 쿨러가 달려있어서 온도 내리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김영기 2015-04
근데 굳이 지금 시스템을 고스란히 유지하시겠다 쳐도, 쿨러랑 써멀컴파운드를 상위급 제품으로 교체하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닐까요? 9900DF나 은화살, R1, NH-D15같은 고급 공랭 쿨러에 GC-Extreme같은 써멀컴파운드 하나 장만하시면 당장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시스템을 바꾸셔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겠고요. 저런 제품들은 보급형 수냉 못지 않은 성능(전원부나 메모리 온도까지 평균하면 오히려 압도)이므로 팬컨으로 소음을 좀 누를 여지도 있겠지요. (어째 자꾸 비용이 늘어가는 기분이..)
     
정명훈 2015-04
쿨러, 써멀컴파운드, 추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완전 여름 오기전에 한번 작업해봐야 겠군요...
PiPPuuP 2015-04
은근히 온도가 많이 올라가네요...
i3면 그렇게 오를거 같지 않은데...
집안이 많이 더운가 봅니다.
방온도가 은근히 컴퓨터 쿨링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고온으로 4~5년 24시간 쓰셨다면 메인보드 부품수명 유의하세요. 가실때가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가정용 메인보드 부품은 24시간 고온으로 작동시키기에는 수명이 매우 짧습니다.
(캐퍼시티가 버티지 못하고 임신해요)
     
정명훈 2015-04
넵 조언 감사합니다.
윗분 말씀대로 옆뚜껑열고 선풍기 추천합니다.
정명훈 2015-04
댓글은 여기까지만 읽겠습니다.
조언 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수냉은 무소음 수준의 시스템을 원하거나, 강력한 쿨링성능을 원할때 사용합니다. 물론 간지용은 별도로...
여기서 말하는 수냉은 일체형도 포함이 되기는 하지만, 3열라디 이상의 제대로 된 수냉시스템을 말합니다.

무소음 수준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이유는, 방열면적이 압도적으로 넓어지며, 물의 비열이 크고, 발열량이 많은 시스템이라도 발열체와 떨어뜨려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QnA
제목Page 2840/5724
2015-12   1765052   백메가
2014-05   5239607   정은준1
2020-10   5415   반성만
2008-01   5415   김말수
2006-07   5415   이윤
2015-10   5415   김건우
2015-10   5415   AplPEC
2008-01   5415   김상열
2015-09   5415   뀨잉뀨잉
2008-12   5415   홍성백
2020-07   5415   가배
2006-07   5415   이재선
2008-12   5415   최주희
2017-09   5415   블랙
2005-11   5415   문희태
2007-08   5415   김은식
2016-03   5415   박중석
2008-02   5415   임현규
2006-12   5414   민봉기
2007-11   5414   유승휘
2019-08   5414   나는관제
2016-03   5414   퍼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