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226 |
0 |
2014-05
526422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172 |
25 |
2015-12
1789172
1 백메가
|
57872 |
LG GPad III (8")를 내비로 쓰려고 합니다. (11) |
배병렬 |
2019-06 |
3093 |
0 |
2019-06
3093
1 배병렬
|
57871 |
UTP cat5e 브랜드 추천요~ (12) |
김장우 |
2013-07 |
12883 |
0 |
2013-07
12883
1 김장우
|
57870 |
DRAM 캐시가 있는 SATA SSD를 SAS에 장착? (10) |
스캔l민현기 |
2018-04 |
4740 |
0 |
2018-04
4740
1 스캔l민현기
|
57869 |
워크스테이션 새로 하나 사려고 합니다 (17) |
의롭게살리라 |
2023-10 |
2475 |
0 |
2023-10
2475
1 의롭게살리라
|
57868 |
크롬브라우저 문의입니다. (1) |
최창현 |
2013-07 |
4791 |
0 |
2013-07
4791
1 최창현
|
57867 |
히타치 6테라x 36베이 스토러지 구성하려고 하는데 4테라에 비해 용량이 많으면 안전… (11) |
새로운차원 |
2016-03 |
3861 |
0 |
2016-03
3861
1 새로운차원
|
57866 |
. (5) |
초보IT |
2017-02 |
4379 |
0 |
2017-02
4379
1 초보IT
|
57865 |
LG 23인치(lm230w02(A2))LCD 패널을 구할수 있을까요? (8) |
김정달 |
2013-08 |
13053 |
0 |
2013-08
13053
1 김정달
|
57864 |
문제점을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29) |
muuky |
2019-06 |
5840 |
0 |
2019-06
5840
1 muuky
|
57863 |
[해결중] 노트북 + 38인치 듀얼이 문제일까요? (식별이 안됩니다) (17) |
Landa |
2020-09 |
6476 |
0 |
2020-09
6476
1 Landa
|
57862 |
원격피씨에 있는 자료를 FTP로 옮기는거는 안되고, 로컬리소스공유로 복사해넣는건 … (5) |
김건우 |
2010-09 |
7818 |
0 |
2010-09
7818
1 김건우
|
57861 |
wifi 모듈이 망가진 탭이 있습니다. 인터넷연결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 |
무아 |
2016-03 |
4112 |
0 |
2016-03
4112
1 무아
|
57860 |
pfSense snort 설정 후 질문입니다~ |
마나마 |
2017-02 |
5432 |
0 |
2017-02
5432
1 마나마
|
57859 |
t7910 전원이 안들어옵니다 (5) |
victor1 |
2023-10 |
3635 |
0 |
2023-10
3635
1 victor1
|
57858 |
이 2개의 pcie의 핀맵이 같을까요? (5) |
Sikieiki |
2017-02 |
6134 |
0 |
2017-02
6134
1 Sikieiki
|
57857 |
SSD OP (overprovision) 툴 따로 있을까요? (2) |
리틀제리 |
2018-05 |
4439 |
0 |
2018-05
4439
1 리틀제리
|
57856 |
xeon l5420 바이오스 물어볼게요 (3) |
기탄스 |
2016-03 |
4192 |
0 |
2016-03
4192
1 기탄스
|
57855 |
델 T5400에서 쿼드로 k2200 사용가능한가요??^^ (2) |
두cpu |
2017-02 |
4505 |
0 |
2017-02
4505
1 두cpu
|
57854 |
콘덴서 사진밑의 연탄같은거 정체가터진거 맞을까요 (13) |
이영규 |
2022-03 |
2082 |
0 |
2022-03
2082
1 이영규
|
57853 |
최근 자주 보이는 HDD 증상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9) |
성투불패 |
2013-08 |
16145 |
0 |
2013-08
16145
1 성투불패
|
공유기 2개로 하나는 허브 모드로 세팅했는데
다른분이 인터넷이 안된다고 허브 모드로 세팅된거 리셋했더니
망이 다 죽어버리더라구요.
위에 올리신 그림에서 일부 잘 못 된 것 이 있군요
일단 456 을 시작되는IP는 없습니다. 잘 못 쓰신것 같습니다.
상단 또는 하단의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이 잘 못 잡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가 NAS게시판에 엊그제 올려놓은 자료를 보시면 이해 하시는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라우터는 IP 대역이 다른 네트워크를 이어줄 때 사용합니다.
DHCP는 라우터의 기능중에 일부
공유기도 IP를 바꿀때 CPU가 필요하고 급에 따라서 퍼포먼스가 틀려집니다..
따라서 공유기를 하단으로 주렁주렁 달면 네트워크 퍼포먼스의 저하가 일어날 소지가 있고
공유기가 많으니 관리하는게 귀찮아지고 문제가 생기면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공유기는 보통 DHCP서버를 1개 가지고 있으나 라우터는 DHCP서버를 2개 이상도 셋팅이 가능할 것입니다.
네트워크는 단순하게 구성할수록 관리가 편해집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제일 하단 PC와 상단 라우터에 연결된 PC와 파일 공유가 안됩니다.
또한 오른쪽은 NAT에 NAT가 결려서 두번째 라우터 하단에 IPTV나 이런것은 안될수도 있습니다.
* 하단 라우터에 기능 및 설정을 하면 가능 할수도있지만, 경험이 없으면 설정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왼쪽 허브모드로 설정시 허브모드로 설정한 공유기(라우터) 설정 변경및 펌웨어 업그레이드시 접속하기가 힘듭니다.
허브 모드로 설정한 장비의 IP를 알고 있어야 하고, PC에 그 IP대역을 입력해야 접속가능해서 펌웨어업이 가능합니다.
( 공유기 초기화해서 펌업그레이드 후 다시 허브모드로 전환 해도 됨)
저도 집에 왼쪽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박문형 // 우선 답변감사합니다. 그럼 최상단에서만 DHCP 서버역활을 하고 하단은 허브기능만 하는게 더 낫다는 말씀이시군요.
그렇다면 만약에 일반 가정의 저렴한 공유기를 사용할 시에 하단에 지나치게 많은 기기들이 있어서 DHCP 기능에 과부하가 걸릴수도 있는 상황이라면 하단에서 다시 공유기로사설 IP를 개설해서 DHCP 서버역활을 해서 그 일을 분담시키는 경우도 있을까요? 아니면 이건 그냥 의미없는 짓일까요?.. 너무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저는 집에 상단에 유선 1G지원 공유기, 하단에 무선 AP는 허브모르도 사용중입니다.
(LG IPTV 셋텁과 핸드폰과 연결등을 쉽게 하기위해서 무선은 허브모드로 설정 함)
상단 공유기에 192.168.201.x ( DHCP) 설정하고 하단 허브는 DHCP 설정중지하고 내부 IP는 192.168.0.1 로 설정을 함.
혹 AP펌웨어나 업이나 AP암호 수정등할때 PC에 IP를 192.168.0.100으로 임시 수정한 후 AP접속하여 작업을 합니다.
사용하고 무선공유기로긴 IP를 192.168.0.2 로 셋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선공유기에는 기가빗허브 24포트와
기가빗허브 8포트를 달아두었습니다.
위 박문형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하셔도 가능합니다.
보통 DHCP IP할당 법위를 192.168.0.2~192.168.0.254로 할당을 하게 되므로 가능하면
할당 범위를 수정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92.168.0.20~192.168.0.254 )
그렇게 하면 PC IP를 수정을 안해도 AP에 접속이 가능하고요.
AP가 여러대라면 각 AP(공유기)의 내부 IP를 192.168.0.2 부터 19번까지 설정
제가 볼때는 의미 없는 짓으로 보이고 사설 IP의 대역을 나눌정도가되려면 10층짜리 빌딩에서 모든 층마다
사용할때 구분이 편하도록 하기위해서 나누는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혹시 집에서 IP 256개 이상을 사용하신다면 나눌수 밖에 없고요..
지금 작업을 하고 있는게 아니라 가정에 인터넷을 어떤식으로 넣을지 생각해보다가 한질문이였습니다.
친절한 답변감사합니다 !
그리고
스마트폰등등 무선기기가 많아지기에
고성능 공유기가 의외로 필요로 합니다.
그건 그렇고... 진정한 고수님들이 계시기에 저같이 취미생활하는 수준의 지식은 어디다가 내놓지도 못합니다만...
왼쪽의 경우 라우터에서 허브까지의 대역폭이 만약 1기가빗이라고 가정하면 허브 아래있는 기기들이 모두 한번에 라우터에서 트래픽을 땡겨가게되면 허브아래의 기기들이 1기가빗의 대역폭을 나누어 써야합니다. 그리고 허브에 달려있는 기기하나에서 라우터에 따로 달려있는 기기로 트래픽이 있을때에는 다른기기들은 모두 쉬여야합니다 (깡통허브라고 가정할때). 허브에 달려있는 기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에는 분리될것 같은데... 그것은 장비의 수준에 따라서 다를것 같습니다. 그리고 IP 는 허브에 주어지는것이 아니라 허브에 연결된 기기에 주어지고... 위에 언급된것처럼 허브가 매니지드 스윗치면 IP 도 먹고 여러가지 룰도 들어갈 수 있겠죠...
오른쪽의 경우 사설 IP 대역을 두개를 따로 쓰는경우인데 이경우에도 두번째 라우터아래 연결된 기기들은 똑같이 대역폭을 나누어 써야죠. 하지만 다른점은 첫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에서 두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에 접속이 바로되지 않는다는것 (대역이 다르니) 그리고 두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끼리 트래픽이 있을때 첫번째 대역과 완젼 분리가 된다는것이겠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