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와 허브 차이가 이게 맞나요?

RRRR   
   조회 8743   추천 0    

우선 답주시는분 미리 감사합니다.

두가지 차이가 정확히 이해가 되지 않아서 검색을 해봤는데 그래도 잘 이해가 안가네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건가 싶어서 질문합니다.

집에 공유기를 많이 중복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든 공유기가 DHCP서버 기능을 켜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딜 보니 하단의 공유기는 기능을 끄고 단순히 분배기로 사용하는게 낫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만약 위그림처럼 두가지 구성이 있다면
왼쪽 그림은 하단 공유기를 허브로 사용하고 우측은 라우터로 사용한다고 치면
왼쪽그림 처럼 설정을 하게 되면 상단의 라우터에서 하단의 허브아래있는 두개의 PC의 IP를 모두 허브로 할당해주도록되는건가요?
우측 그림같은 경우는 그 반대이구요.
아 그리고 그게 맞다면 두가지 경우의 장단점을 좀 알려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판중 2015-04
우측의 경우 작동하지 않던데요.
RRRR 2015-04
@김판중 // 제가 따로 손을 안댔으니 현재 우측처럼 셋팅되어있을텐데..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원래 안되는거라면 저도 이유는 잘모르겠네요.
     
김판중 2015-04
전 라우터를 공유기로만 생각해서 그런가보네요.
공유기 2개로 하나는 허브 모드로 세팅했는데
다른분이 인터넷이 안된다고 허브 모드로 세팅된거 리셋했더니
망이 다 죽어버리더라구요.
          
박문형 2015-04
같은 회사 공유기면 디폴트 DHCP서버는 같은 IP대역이니 충돌날 수 있죠.
금봉이 2015-04
라우터는 서로 다른 IP와 통신을 하기 위함입니다.

위에 올리신 그림에서  일부 잘 못 된 것 이 있군요

일단 456 을 시작되는IP는 없습니다. 잘 못 쓰신것 같습니다.

상단 또는 하단의 라우터에 라우팅 테이블이 잘 못 잡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가 NAS게시판에 엊그제 올려놓은 자료를 보시면 이해 하시는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박문형 2015-04
공유기=간단한 라우터

라우터는 IP 대역이 다른 네트워크를 이어줄 때 사용합니다.
DHCP는 라우터의 기능중에 일부

공유기도 IP를 바꿀때 CPU가 필요하고 급에 따라서 퍼포먼스가 틀려집니다..

따라서 공유기를 하단으로 주렁주렁 달면 네트워크 퍼포먼스의 저하가 일어날 소지가 있고
공유기가 많으니 관리하는게 귀찮아지고 문제가 생기면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공유기는 보통 DHCP서버를 1개 가지고 있으나 라우터는 DHCP서버를 2개 이상도 셋팅이 가능할 것입니다.

네트워크는 단순하게 구성할수록 관리가 편해집니다.
태무진 2015-04
인터넷 사용에는 둘다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제일 하단 PC와 상단 라우터에 연결된 PC와 파일 공유가 안됩니다.
또한 오른쪽은 NAT에 NAT가 결려서 두번째 라우터 하단에 IPTV나 이런것은 안될수도 있습니다.
* 하단 라우터에 기능 및 설정을 하면 가능 할수도있지만, 경험이 없으면 설정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왼쪽 허브모드로 설정시 허브모드로 설정한 공유기(라우터) 설정 변경및 펌웨어 업그레이드시 접속하기가  힘듭니다.
허브 모드로 설정한 장비의 IP를 알고 있어야 하고, PC에 그 IP대역을 입력해야  접속가능해서 펌웨어업이 가능합니다.
( 공유기 초기화해서 펌업그레이드 후 다시 허브모드로 전환 해도 됨)

저도 집에 왼쪽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RRRR 2015-04
@금봉이 // IP는 임으로 막 적다보니 그렇네요. 올려놓으신 자료는 잘보았습니다. 제겐 아직 이해가는 부분이 많네요.
@박문형 // 우선 답변감사합니다. 그럼 최상단에서만 DHCP 서버역활을 하고 하단은 허브기능만 하는게 더 낫다는 말씀이시군요.
그렇다면 만약에 일반 가정의 저렴한 공유기를 사용할 시에 하단에 지나치게 많은 기기들이 있어서 DHCP 기능에 과부하가 걸릴수도 있는 상황이라면 하단에서 다시 공유기로사설 IP를 개설해서 DHCP 서버역활을 해서 그 일을 분담시키는 경우도 있을까요? 아니면 이건 그냥 의미없는 짓일까요?.. 너무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태무진 2015-04
어차피 모든 트랙은 최상단 라우터(공유기)를 통해서 인터넷을 처리를 하기때문에  최상단 공유기 성능이 좋아야 할것 같은데요?
          
RRRR 2015-04
자체적으로 리플기능이 있었네요.. 네 무슨말씀인지 알겠습니다.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RRRR 2015-04
@태무진 // 답변 감사합니다. 기존에 공유기로 설정시에 설정을 168.1.0.1로 접속해서 했다면 허브모드로 설정하게되면 기존 IP로 설정정보를 들어갈 수 없단 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최상단의 공유기에 접속된 IP목록에 허브도 IP가 따로잡히는건가요?
     
태무진 2015-04
보통 공유기를 초기화 (공장초기화)하면 192.168.0.1 이나 192.168.100.1 로 설정이 될겁니다.
저는 집에 상단에 유선 1G지원 공유기, 하단에 무선 AP는 허브모르도 사용중입니다.
(LG IPTV 셋텁과  핸드폰과 연결등을 쉽게 하기위해서 무선은 허브모드로 설정 함)

상단 공유기에 192.168.201.x ( DHCP) 설정하고 하단 허브는 DHCP 설정중지하고 내부 IP는 192.168.0.1 로 설정을 함.
혹 AP펌웨어나 업이나 AP암호 수정등할때 PC에 IP를 192.168.0.100으로 임시 수정한 후 AP접속하여 작업을 합니다.
          
박문형 2015-04
저는 회사에서 IPTIME 유선공유기를 디폴트 IP값으로 사용하고 (192.168.0.1) 무선공유기는 허브모드(DHCP끔)로

사용하고 무선공유기로긴 IP를 192.168.0.2 로 셋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선공유기에는 기가빗허브 24포트와

기가빗허브 8포트를 달아두었습니다.
     
태무진 2015-04
리플은 수정이 안되서. 내용 추가합니다.
위 박문형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하셔도 가능합니다.
보통 DHCP IP할당 법위를 192.168.0.2~192.168.0.254로 할당을 하게 되므로 가능하면
할당 범위를 수정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92.168.0.20~192.168.0.254 )
그렇게 하면 PC IP를 수정을 안해도 AP에 접속이 가능하고요.
AP가 여러대라면 각 AP(공유기)의 내부 IP를 192.168.0.2 부터 19번까지 설정
박문형 2015-04
지금 사용하시는 공유기 모델이나 가르쳐 주세요..

제가 볼때는 의미 없는 짓으로 보이고 사설 IP의 대역을 나눌정도가되려면 10층짜리 빌딩에서 모든 층마다
사용할때 구분이 편하도록 하기위해서 나누는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혹시 집에서 IP 256개 이상을 사용하신다면 나눌수 밖에 없고요..
박문형 2015-04
허브가 매니지먼트허브라면 관리를 위하여 IP가 하나 필요합니다.
     
RRRR 2015-04
물런 그정도 규모는 아닙니다. 사설 IP대역 나누는 부분은 호기심에서 물어봤습니다.
지금 작업을 하고 있는게 아니라 가정에 인터넷을 어떤식으로 넣을지 생각해보다가 한질문이였습니다.
친절한 답변감사합니다 !
박문형 2015-04
요즘은 인터넷도 기가가 들어오는지라

그리고

스마트폰등등 무선기기가 많아지기에

고성능 공유기가 의외로 필요로 합니다.
먼저 456.1.0.0/24 대역이라는게 있나요? 255까지만...  ㅎㅎ

그건 그렇고... 진정한 고수님들이 계시기에 저같이 취미생활하는 수준의 지식은 어디다가 내놓지도 못합니다만...

왼쪽의 경우 라우터에서 허브까지의 대역폭이 만약 1기가빗이라고 가정하면 허브 아래있는 기기들이 모두 한번에 라우터에서 트래픽을 땡겨가게되면 허브아래의 기기들이 1기가빗의 대역폭을 나누어 써야합니다. 그리고 허브에 달려있는 기기하나에서 라우터에 따로 달려있는 기기로 트래픽이 있을때에는 다른기기들은 모두 쉬여야합니다 (깡통허브라고 가정할때). 허브에 달려있는 기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에는 분리될것 같은데... 그것은 장비의 수준에 따라서 다를것 같습니다. 그리고 IP 는 허브에 주어지는것이 아니라 허브에 연결된 기기에 주어지고...  위에 언급된것처럼 허브가 매니지드 스윗치면 IP 도 먹고 여러가지 룰도 들어갈 수 있겠죠...

오른쪽의 경우 사설 IP 대역을 두개를 따로 쓰는경우인데 이경우에도 두번째 라우터아래 연결된 기기들은 똑같이 대역폭을 나누어 써야죠. 하지만 다른점은 첫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에서 두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에 접속이 바로되지 않는다는것 (대역이 다르니) 그리고 두번째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들끼리 트래픽이 있을때 첫번째 대역과 완젼 분리가 된다는것이겠는데요...


QnA
제목Page 2836/5729
2014-05   5264226   정은준1
2015-12   1789172   백메가
2019-06   3093   배병렬
2013-07   12883   김장우
2018-04   4740   스캔l민현기
2023-10   2475   의롭게살리라
2013-07   4791   최창현
2016-03   3861   새로운차원
. (5)
2017-02   4379   초보IT
2013-08   13053   김정달
2019-06   5840   muuky
2020-09   6476   Landa
2010-09   7818   김건우
2016-03   4112   무아
2017-02   5432   마나마
2023-10   3635   victor1
2017-02   6134   Sikieiki
2018-05   4439   리틀제리
2016-03   4192   기탄스
2017-02   4505   두cpu
2022-03   2082   이영규
2013-08   16145   성투불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