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하드 증설 방법 문의

   조회 5901   추천 0    

사무실에서  HP DL380p Gen8 E5-2630v2*2 운영중입니다.
2.5베이가 총 16개 있는데 그중 5개를 사용중입니다.
300g *3 를 raid5로 묶어서 빨간모자를 돌리고
1T*2 를 raid1로 묶어서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중입니다.

최근 회사 내부 스토리지 통합을 위해 20명의 인원이 저 서버에 연결되도록 설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입니다.
접속 환경은 구축이 완료되었는데 중요한 스토리지 증설을 앞두고 가장 현명한 방법이 궁금합니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논문 및 데이터들이며, 현재 용량과 누적속도등을 고려하였을때 6~10TB를 고려중입니다.

hp쪽 알아봤는데 돈 천만원은 우습게 넘어가더군요..

1. 스토리지 구성 접근방법이 궁급합니다.
 - 손쉽게 HP판매 업체에 연락해서 스토리지 구입하고 셋팅받는다. (1T에 55만원 부르더군요)
 - 개별구입(해외? 다나와? 중고?)후 꼽아준다.
 - 가격대비 용량깡패 NAS용 SATA를 마구마구 꼽아준다.

2. 총 스토리지 갯수가 13개 입니다. 이아이들을 뭘로 묶어야 가장 효과적일까요?
  20명이 네트워크 폴더로 연결되어 개인PC에서 자료를 수시로 저장 다운하고, 공용폴더를 통해 자료를 주고 받는 용도입니다.
 누적된 데이터의 유실시 관리자인 저는 암매장 당할수도 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5-05
답글이 없기에....

일단 전제 조건이  "누적된 데이터의 유실시 관리자인 저는 암매장 당할수도 있습니다."
위 내용이기에 방법이 없네요.

- 손쉽게 HP판매 업체...
아무래도 암매장 당할 확률이 낮아 집니다.

- 개별구입...
개별구입의 의미에는 구입한 사람에게 책임이 돌아간다가 들어 있습니다...^^

- 가격대비 용량깡패 NAS용...
벤더 서버 서드 파트에 대하여 그렇게 너그럽지 않습니다.
참고로 NAS용은 보통 10K  미만 입니다.
인서트 IO와 아웃풋 IO가 동시에 생기는 경우 72K 디스크들도 아무래도 버벅 거립니다.
가장 좋은 것은 SSD를 사용하는것인데
의외로 벤더 서버의 하드들 가격이 서버보다 비쌀때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서버는 요즘 거의 꽁짜로 나눠주는 수준의 가격이며
이를 채우기 위한 파트(CPU, MEM, HDD)의 가격이 서버의 몇배에 달하는 경우 허다 합니다.



여튼... 제가 생각하는 전제조건에서의 답은
하드의 가격도 중요하긴 하나 잦은 백업및 안정적인 레이드 구성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까이는 하드 용량 무시 못하죠.

참고로 1.2T 보긴 했으나 그이상은 아직 저도 구경 못했네요...^^
11개에서 대충 4개 빼면(Gen8은 Expander이 HP에서는 정식 파트 아닙니다. 내부 구성 확인해 보세요)
그럼 8개에서 3개 빼면...^^;; 대략 6T 나오겠네요.
2개빼면 7T....^^;;


결론적으론 하드의 용량보다는 하드의 레이드 구성에 더 신경써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Gen9 서버중 2U군이 요즘 베이가 25베이로 나옵니다.
익스펜더 장착 가능하고요.
추가서버를 달아주고 용량 내 맘대로 만들어 주는것이
더 최선 아닐까 싶네요....^^


어찌 결정 되시든 칼 않맞기를 기원합니다....^^;;;
     
제스퍼즈 2015-05
1T가 55만원 정도인데 1.2T가 90만원이 넘더라고요.. 2T는 국내 매물도 없다 하고...
nas용 히타치 6T가 30만원정도 하던데.. 이거 너무 차이가 나서 sata방식 조립서버로 3중 백업을 돌릴까 고려중입니다.

신경쓰기 귀찮아서 그냥 돈천주고 6T써야 하나도 고민되고요 ;;
저한테 떨어지는것도 없는데 막상 회사예산 집행하려하니 너무 비싼느낌이 드네요...
답변감사합니다.
강희환 2015-05
1. 스토리지 구성 접근방법이 궁급합니다.
 브랜드 서버에 해당 브랜드의 파트가 아닌 일반적으로 구입한 파트를 넣었을 경우, 인식이 안되거나 워런티가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건 알아보셔야 할 것 같네요.


2. 13개 hdd를 단일 레이드로 하는 것은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용도에 따라서 나누시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1) 보관용 : 업데이트는 거의 되지 않고, 가끔씩 조회
  (2) 작업중 : 업데이트가 수시로 일어남

 위와 같이 데이터의 접근 형태에 따라서 분리하시거나, 혹은,

  (1) 절대로 손실되면 안되는 데이터
  (2) 손실되면 다시 만들수 있지만 비용이 드는 자료
  (3) 손실되도 문제없는 자료

와 같은 식으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서 분리해서 스토리지를 구성하시거나, 아니면 접근하는 사람들 그룹에 따라서 분리하시거나, 혹은 데이터의 가치에 따라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데이터를 분리를 하게 되면 백업 정책을 세우기에도 편하고, 디스크 IO도 분산되서 좋습니다.
백업 서버 비용도 고려하세요. 백업서버는 사양이 좋을 필요가 없을 것 같고, 정책을 잘 세우시면 좋겠네요.
데이터를 분류하고 나면 어떻게 백업해야 할 지 어느정도 감이 올 것입니다.


위에는 일반론이었구요, 여기서부터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네트워크 공유 용도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서버라면, 굳이 그렇게 좋은 비싸고 좋은 하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차피 사무실이면 네트워크 대역폭이 1G 정도 될텐데요. 혹시 혼자서 사용하는 로컬 하드와 동일한 성능을 내길 바라는 것은 아니겠죠?

벤더 서버에다가 2.5인치 HDD로 10TB를 만드려고 하니까 비용이 엄청나게 드는 것이구요.
1U서버 3.5인치 4bay 짜리에 4TB 하드 세개만 꽂아도 12TB잖아요. 비용이 반에 반도 안듭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으로 문제를 해결하시면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요약 결론
1. HP 장비로 하실거면 HP에서 하드 구입하셔서 하시구요.
  일반하드 사서 넣을거라면 그냥 조립서버로 구축하세요. HP 장비에 일반 하드 넣으면 장애시 면피가 안됩니다.

2. 데이터를 분류해서 정리하고 그것에 맞춰서 레이드와 백업 정책을 세우세요.

3. 백업 장비와 백업정책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린드버그 2015-05
+1

특히 3번. 백업만이 살 길이죠. ^^
     
제스퍼즈 2015-05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속도는 웹 회선 속도에 영향을 받으니 스토리지의 물리적인 입출력 속도에 한참 미치지 못할 듯 합니다.
회사 내부에서 삼바 같은 애들로 연결되는것이 아니라.
webDAV로 아예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옵니다.
(회사 내부 사정으로 인해. 80포트만 가능합니다.  관리 프로그램이 다른 인터넷 트래픽은 모두 막아버립니다.)
고로 2~5MB/s가 평균 입출력 속도입니다.

천만원에 육박하는 스토리지 견적을 보고 그냥 webDAV만 돌리는 조립 서버를 하나 돌리는 것도 고려해봐야 겠습니다.
anti2cpu 2015-05
3.5인치 24베이 쓰면 한방에 해결됩니다
박문형 2015-05
일종의 살아있는 폭탄이라고 생각하시고

HP서버가 작업시 장애가 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던지

2차 서버를 구축해서 데이터를 2차 서버쪽으로 복사하고 주 서비스를 2차서버에서 하고

안정화되면 전에 사용하던 HP서버의 스토리지를 늘리던지


HP와 계약이 되어있고 HP쪽에 작업을 의뢰하여도 게네들은 와서 하드나 달아줄 뿐

데이터가 날라가도 게네들은 책임을 안집니다.

데이터 날라가면 안된다는 조건 붙이면 보통 작업을 안하죠.
하늘하늘 2015-05
저 같은 경우 시놀 12베이 NAS에 6TB*12개 RAID6로 사용중입니다.

레이드는 11개만 묶고 1개는 핫스페어로 셋팅해놓고
동일한 NAS 1개를 더 구입해서 HA구성해놨어요. 실 사용 가능 용량 48TB 정도 나오더라구요.

혹시 몰라서 응급교체용 디스크도 2개정도 미리 구입해놨구요.
(몇 천 들더라구요....)

투자하는 만큼 속도와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하늘하늘 2015-05
참.. 완전 동일한 셋팅으로 emc같은 전문 스토리지 업체에 견적을 넣어보니
딱 10배 견적이 나오더군요.........
     
제스퍼즈 2015-05
언제나 예산이 문제지요..ㅎㅎ;
속도는 클라이언트쪽 회선속도부터가 저질이라 개선여지가 없어보이고.
한번 구축해서 왠간하면 신경안썼으면 하는데, 이리저리 걸리는게 많네요..

2u랙 조립서버 하나 껴서 그 아이에다가 돌리는게 현명할까요...
HP서버는 회사 데이터베이서 서버인데 사양도 애매하고 용량도 애매하고...

답변감사합니다.
박문형 2015-05
조립형 스토리지 서버에 들어갈 하드는 아직 레이드콘트롤러들이 6TB급 하드들과는 검증이 안되었습니다.

기껏해야 몇가지 모델의 4TB 하드들이 최고 용량입니다.

그래서 어떤 레이드 제조업체는 4TB도 아직 불안한거 같다고 3TB까지만 사용합니다.


QnA
제목Page 2222/5722
2015-12   1754028   백메가
2014-05   5226561   정은준1
2016-12   5904   노가리강추
2014-02   5904   별해는아해
2008-05   5904   권기준
2005-11   5904   최용석
2005-07   5904   윤현덕
2016-08   5904   캔위드
2016-08   5904   컴박
2005-08   5904   홍현철
2021-08   5904   어꾸기
2005-08   5904   최윤규
2021-07   5904   SLALqHD
2007-10   5904   김동수
2005-07   5904   윤현덕
2005-11   5904   김건우
2017-04   5904   세류성하
2020-12   5904   집구석
2012-06   5904   김건우
2014-11   5904   제상현
2014-01   5904   FullMoon
2007-09   5904   문병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