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4028 |
25 |
2015-12
175402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26561 |
0 |
2014-05
5226561
1 정은준1
|
70018 |
BitLocker를 설정한 USB를 win 7 pro 버전에서 읽고 쓰기가 불가능한가요? (9) |
노가리강추 |
2016-12 |
5904 |
0 |
2016-12
5904
1 노가리강추
|
70017 |
메인보드 부팅 불가 문의 (3) |
별해는아해 |
2014-02 |
5904 |
0 |
2014-02
5904
1 별해는아해
|
70016 |
LCD 모니터 수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 |
권기준 |
2008-05 |
5904 |
19 |
2008-05
5904
1 권기준
|
70015 |
익스플로러 에러 관련 문의입니다. (5) |
최용석 |
2005-11 |
5904 |
7 |
2005-11
5904
1 최용석
|
70014 |
IWILL DH800 에 BIOS UPDATE 하지않고 어원데일 설치시.. |
윤현덕 |
2005-07 |
5904 |
24 |
2005-07
5904
1 윤현덕
|
70013 |
ASR-71605 RAID5 속도저하 문제 (10) |
캔위드 |
2016-08 |
5904 |
0 |
2016-08
5904
1 캔위드
|
70012 |
SAS 포트에 SATA SSD 장착이 가능한가요? (10) |
컴박 |
2016-08 |
5904 |
0 |
2016-08
5904
1 컴박
|
70011 |
이 보드 제품을 구매해도 좋을까요? (6) |
홍현철 |
2005-08 |
5904 |
72 |
2005-08
5904
1 홍현철
|
70010 |
[급히 도움을 청합니다] 갑자기 블루 스크린 뜨더니.... (6) |
어꾸기 |
2021-08 |
5904 |
0 |
2021-08
5904
1 어꾸기
|
70009 |
윈도우2003 로드밸런싱.. (3) |
최윤규 |
2005-08 |
5904 |
6 |
2005-08
5904
1 최윤규
|
70008 |
HP 노트북 재부팅 할 때만 디스크 없다고 뜨면서 부팅이 안되네요. (6) |
SLALqHD |
2021-07 |
5904 |
0 |
2021-07
5904
1 SLALqHD
|
70007 |
듀얼 CPU 인데 하나가 맛이 갔나 봐요 (5) |
김동수 |
2007-10 |
5904 |
4 |
2007-10
5904
1 김동수
|
70006 |
IWILL MPX2 ECC/REG 램 활성 메뉴.. |
윤현덕 |
2005-07 |
5904 |
13 |
2005-07
5904
1 윤현덕
|
70005 |
공유기에 물린 컴퓨터를 어떻게 하면 다른네트워크(작업그룸)에 접근하게 할수있나요? (3) |
김건우 |
2005-11 |
5904 |
3 |
2005-11
5904
1 김건우
|
70004 |
[도움요청] ASUS P5QL SE 개조 제온 E5450 윈도우10 부팅이 엄청 오래 걸립니다. (11) |
세류성하 |
2017-04 |
5904 |
0 |
2017-04
5904
1 세류성하
|
70003 |
서버 부품 교체 시 핫스왑이 가능한 장비와 불가능한 장비 목록을 알고 싶습니다 (9) |
집구석 |
2020-12 |
5904 |
0 |
2020-12
5904
1 집구석
|
70002 |
태블릿 하나 알아보려는데요... (7) |
김건우 |
2012-06 |
5904 |
0 |
2012-06
5904
1 김건우
|
70001 |
T7610에서 메인 SSD 속도 향상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5) |
제상현 |
2014-11 |
5904 |
0 |
2014-11
5904
1 제상현
|
70000 |
그래픽 카드 수리점~ 문의... (5) |
FullMoon |
2014-01 |
5904 |
0 |
2014-01
5904
1 FullMoon
|
69999 |
노트북 보호 필름에 관하여.. (1) |
문병채 |
2007-09 |
5904 |
16 |
2007-09
5904
1 문병채
|
일단 전제 조건이 "누적된 데이터의 유실시 관리자인 저는 암매장 당할수도 있습니다."
위 내용이기에 방법이 없네요.
- 손쉽게 HP판매 업체...
아무래도 암매장 당할 확률이 낮아 집니다.
- 개별구입...
개별구입의 의미에는 구입한 사람에게 책임이 돌아간다가 들어 있습니다...^^
- 가격대비 용량깡패 NAS용...
벤더 서버 서드 파트에 대하여 그렇게 너그럽지 않습니다.
참고로 NAS용은 보통 10K 미만 입니다.
인서트 IO와 아웃풋 IO가 동시에 생기는 경우 72K 디스크들도 아무래도 버벅 거립니다.
가장 좋은 것은 SSD를 사용하는것인데
의외로 벤더 서버의 하드들 가격이 서버보다 비쌀때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서버는 요즘 거의 꽁짜로 나눠주는 수준의 가격이며
이를 채우기 위한 파트(CPU, MEM, HDD)의 가격이 서버의 몇배에 달하는 경우 허다 합니다.
여튼... 제가 생각하는 전제조건에서의 답은
하드의 가격도 중요하긴 하나 잦은 백업및 안정적인 레이드 구성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까이는 하드 용량 무시 못하죠.
참고로 1.2T 보긴 했으나 그이상은 아직 저도 구경 못했네요...^^
11개에서 대충 4개 빼면(Gen8은 Expander이 HP에서는 정식 파트 아닙니다. 내부 구성 확인해 보세요)
그럼 8개에서 3개 빼면...^^;; 대략 6T 나오겠네요.
2개빼면 7T....^^;;
결론적으론 하드의 용량보다는 하드의 레이드 구성에 더 신경써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Gen9 서버중 2U군이 요즘 베이가 25베이로 나옵니다.
익스펜더 장착 가능하고요.
추가서버를 달아주고 용량 내 맘대로 만들어 주는것이
더 최선 아닐까 싶네요....^^
어찌 결정 되시든 칼 않맞기를 기원합니다....^^;;;
nas용 히타치 6T가 30만원정도 하던데.. 이거 너무 차이가 나서 sata방식 조립서버로 3중 백업을 돌릴까 고려중입니다.
신경쓰기 귀찮아서 그냥 돈천주고 6T써야 하나도 고민되고요 ;;
저한테 떨어지는것도 없는데 막상 회사예산 집행하려하니 너무 비싼느낌이 드네요...
답변감사합니다.
브랜드 서버에 해당 브랜드의 파트가 아닌 일반적으로 구입한 파트를 넣었을 경우, 인식이 안되거나 워런티가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건 알아보셔야 할 것 같네요.
2. 13개 hdd를 단일 레이드로 하는 것은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용도에 따라서 나누시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1) 보관용 : 업데이트는 거의 되지 않고, 가끔씩 조회
(2) 작업중 : 업데이트가 수시로 일어남
위와 같이 데이터의 접근 형태에 따라서 분리하시거나, 혹은,
(1) 절대로 손실되면 안되는 데이터
(2) 손실되면 다시 만들수 있지만 비용이 드는 자료
(3) 손실되도 문제없는 자료
와 같은 식으로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서 분리해서 스토리지를 구성하시거나, 아니면 접근하는 사람들 그룹에 따라서 분리하시거나, 혹은 데이터의 가치에 따라서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데이터를 분리를 하게 되면 백업 정책을 세우기에도 편하고, 디스크 IO도 분산되서 좋습니다.
백업 서버 비용도 고려하세요. 백업서버는 사양이 좋을 필요가 없을 것 같고, 정책을 잘 세우시면 좋겠네요.
데이터를 분류하고 나면 어떻게 백업해야 할 지 어느정도 감이 올 것입니다.
위에는 일반론이었구요, 여기서부터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네트워크 공유 용도로 사용하는 스토리지 서버라면, 굳이 그렇게 좋은 비싸고 좋은 하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차피 사무실이면 네트워크 대역폭이 1G 정도 될텐데요. 혹시 혼자서 사용하는 로컬 하드와 동일한 성능을 내길 바라는 것은 아니겠죠?
벤더 서버에다가 2.5인치 HDD로 10TB를 만드려고 하니까 비용이 엄청나게 드는 것이구요.
1U서버 3.5인치 4bay 짜리에 4TB 하드 세개만 꽂아도 12TB잖아요. 비용이 반에 반도 안듭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으로 문제를 해결하시면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요약 결론
1. HP 장비로 하실거면 HP에서 하드 구입하셔서 하시구요.
일반하드 사서 넣을거라면 그냥 조립서버로 구축하세요. HP 장비에 일반 하드 넣으면 장애시 면피가 안됩니다.
2. 데이터를 분류해서 정리하고 그것에 맞춰서 레이드와 백업 정책을 세우세요.
3. 백업 장비와 백업정책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특히 3번. 백업만이 살 길이죠. ^^
일단 속도는 웹 회선 속도에 영향을 받으니 스토리지의 물리적인 입출력 속도에 한참 미치지 못할 듯 합니다.
회사 내부에서 삼바 같은 애들로 연결되는것이 아니라.
webDAV로 아예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옵니다.
(회사 내부 사정으로 인해. 80포트만 가능합니다. 관리 프로그램이 다른 인터넷 트래픽은 모두 막아버립니다.)
고로 2~5MB/s가 평균 입출력 속도입니다.
천만원에 육박하는 스토리지 견적을 보고 그냥 webDAV만 돌리는 조립 서버를 하나 돌리는 것도 고려해봐야 겠습니다.
HP서버가 작업시 장애가 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던지
2차 서버를 구축해서 데이터를 2차 서버쪽으로 복사하고 주 서비스를 2차서버에서 하고
안정화되면 전에 사용하던 HP서버의 스토리지를 늘리던지
HP와 계약이 되어있고 HP쪽에 작업을 의뢰하여도 게네들은 와서 하드나 달아줄 뿐
데이터가 날라가도 게네들은 책임을 안집니다.
데이터 날라가면 안된다는 조건 붙이면 보통 작업을 안하죠.
레이드는 11개만 묶고 1개는 핫스페어로 셋팅해놓고
동일한 NAS 1개를 더 구입해서 HA구성해놨어요. 실 사용 가능 용량 48TB 정도 나오더라구요.
혹시 몰라서 응급교체용 디스크도 2개정도 미리 구입해놨구요.
(몇 천 들더라구요....)
투자하는 만큼 속도와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딱 10배 견적이 나오더군요.........
속도는 클라이언트쪽 회선속도부터가 저질이라 개선여지가 없어보이고.
한번 구축해서 왠간하면 신경안썼으면 하는데, 이리저리 걸리는게 많네요..
2u랙 조립서버 하나 껴서 그 아이에다가 돌리는게 현명할까요...
HP서버는 회사 데이터베이서 서버인데 사양도 애매하고 용량도 애매하고...
답변감사합니다.
기껏해야 몇가지 모델의 4TB 하드들이 최고 용량입니다.
그래서 어떤 레이드 제조업체는 4TB도 아직 불안한거 같다고 3TB까지만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