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로 일단 내/외부망 구성 및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요...방화벽설정을 좀 해야되네요.

김건우   
   조회 6176   추천 0    

vmware로 아래와 같이 일차 구축하구요.

1번vm컴. win2012에 랜1, 랜2 / 하드1, 하드2(share1폴더만들고 공유)

2번vm컴. win2012에 랜1 랜2 / 하드1, 하드2(share2폴더만들고 공유)


위와 같이 해놓고

1번/2번 컴 1번랜은 각각 dhcp

1번/2번 컴  2번랜은 각각 ip는 192.168.1.10 subnet 255.255.255.0  / 게이트웨이no, dns설정 no 

                                          192.168.1.20 subnet 255.255.255.0 / 게이트웨이no, dns설정 no


와 같이 하였고, 192.168.1.xx은 대역폭이 확장된 랜포트2개짜리를 1개로 묶은...그런걸로 설정한 상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용량 화일을 서로 빨리 주고 받게 하기위해서요...


그런데 이때 테스트를 해보니까. 192.168.1.10 과 20 끼리 상호 통신(ping테스트부터 잘안되서)

윈도 방화벽을 다 사용안함으로 하니 그제서야 통신이 잘되네요.

그래서 제가 원하는 바인 192.168.1.10번과 20을 통해

1번컴은 192.168.1.20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share2)를 걸었고

2번컴은 192.168.1.10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share1)를 걸어두었습니다.



(질문1)

그런데 이렇게 하기위해서

방화벽 다 열어두는거보단 필요한것만 좀 열아두려고 하는데요...예를 들면 원격데스크톱이나 필요한 포트(21.80 같은..)등만

하려는데 지금과 같이 ping및 상호통신(데이타교환)하려면 방화벽에 어떤부분을 열어줘야할까요?



(질문2)

또한가지는요

우선은 192.168.1.10과 20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걸기는 했는데

1번컴과 2번컴에서 이미 share1과 share2가 공유되어있으니  꼭 192.168.1.xx로 데이타 상호전송을 한다고 보기가 어려운거

같은데 말이죠. 즉 dhcp 랜에서 봐도 공유폴더가 보이게 되는데 지금 제가 하고자 하는의도에 제대로 적용이 되는건지 모르겠네요.

어떻게 해야 자료전송(특히 대용량전송)을 할때 dhcp를 사용안하고 192.168.1.xx를 (전용으로) 활용하게 할수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강희환 2015-05
(질문1)
ping은 icmp 프로토콜을 열어주시면 됩니다. 윈7 기준으로 '핵심네트워킹' 쪽에 보시면 중간에 ICMP 들어간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을 열어주시면 되요. 윈2012도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비슷하겠죠?

(질문2)
데이터 상호전송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신 의도를 잘 모르겠네요? '192.168.1.xx 쪽으로 데이터 상호전송을 한다고 보기가 어려운 것 같다, 제대로 적용이 되는건지 모르겠다.'고 하셨는데요, 이부분은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해 보시면서 어떤 네트워크 어댑터 쪽으로 사용율이 몰리는지 확인해 보시면 명확하게 보일 것 같습니다.

일단 질문에서 원하시는 것은 공유폴더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dhcp쪽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 192.168.1.xx 로 통신을 하길 원한다.' 라고 보입니다.
dhcp쪽 ip대역 또한 192.168.1.xx 인가요? dhcp쪽과 static 쪽을 다른 네트웍으로 분리하시면 문제는 간단하게 끝납니다.
같은 네트웍으로 꼭 구성해야 한다면, 번거롭지만 라우팅 테이블 추가해서 상대방 static쪽으로 연결할 때에는 자신의 static 어댑터를 이용하도록 설정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두가지 경우 모두 상대방의 192.168.1.xx 에 접속하려면 자신의 192.168.1.xx 네트워크 어댑터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dhcp쪽으로 연결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ip로 연결을 하셔야 되구요. hostname을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김건우 2015-05
답변감사합니다. 그런데..답변주신거에서 제가 추가적으로 질문드릴께요

(1) dhcp쪽 ip대역 또한 192.168.1.xx 인가요? dhcp쪽과 static 쪽을 다른 네트웍으로 분리하시면 문제는 간단하게 끝납니다
--> dhcp쪽은 192.168.0.xxx 입니다. 음..어떻게 보면 이미분리?가 되어있다고 보면될거 같은데요.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드라이버에 걸려진 공유폴더데이타를 송수신할때는 랜2망(192.168.1.xx)으로만 주고받을수 있다는 것인가요?

(2) 그리고 반드시 ip로 연결을 하셔야 되구요.
--> ip로만 연결을 하라고 하셨는데 저같이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해둔 경우는 ip로만 연결한(ftp / sftp 등)것과같이 화일송수신이 되는것인가요?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면 화일선택-> 복사 식으로 화일전송을 하게 되는데요
컴1의 화일을 선택해서 컴1에 192.168.1.xx로 연결된 네트워크드라이브은 share2에 전송하고자할때
dhcp망(192.168.0.xx)을 쓰지 않고 192.168.1.xx망만을 사용하게 된다는 것인가요?
초록마을 2015-05
양쪽 PC의 방화벽 설정에서 139번 해제 하세요... 삼바포트 오픈입니다. 즉 네트웍 파일 공유 포트 입니다.
     
김건우 2015-05
감사합니다. 해보겠습니다.
김건우 2015-05
테스트를 해보니 vm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랜1,2에 모두 트래픽이 일어납니다.

- 테스트내역

vm이 설치된 실제컴에서 vm1의 share1에 8기가어치의 데이타를 카피

vm1에서 vm1에 192.168.1.20으로 걸어둔 vm2의 share2폴더(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데이타 복사


-- 결과

vm1의 작업관리자에서 이더넷상황확인 -> 랜1, 2에 모두 트래픽일어나고 트래픽정도가 비슷함

vm2의 작업관리자에서 이더넷상황확인 -> 랜1, 2에 모두 트래픽일어나고 트래픽정도가 비슷함
김동수P 2015-05
smb3.0 에서는 별다른 설정 없으면 랜카드 다 씁니다. (멀티체널)
route 명령어로 직접 nic별로 설정하거나, 한쪽 랜카드의 서브넷을 아예 나눠놔야 랜카드 하나만 씁니다.
     
김건우 2015-05
route -p add 192.168.1.0 mask 255.0.0.0 192.168.1.1 명령을 각각 실행해줘도 화일전송하면 각각컴의 2개랜에서

모두 트래픽이 일어나는데요? sub를 기본것과 완전다르게 했는데도 말이죠...


QnA
제목Page 2818/5730
2015-12   1790903   백메가
2014-05   5265934   정은준1
2016-12   4525   깜박깜박가
2016-01   4310   정은준1
2013-04   6937   민성일
2017-01   8048   쿰척쿰척
2019-04   2894   무아
2021-12   2445   majegersa
2014-10   8310   장동건2014
2016-01   4734   푸하히
2013-04   7294   윤경식
2019-05   3047   전설속의미…
2020-07   2672   미담
2018-03   4462   윌라멧
2019-05   6610   일국
2023-07   2910   네이스터
2016-02   4482   클라이막스
2019-05   3548   반성만
2010-05   9645   과거지사
2017-01   6177   김건우
2020-08   5561   FreeBSD
2010-06   9016   레인보우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