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으로 하스웰 서버 구축좀 봐주세요.

현비니   
   조회 6913   추천 0    

하스웰 4790으로 홈서버 성능 극대화 한다면 견적이 어떻게 되나요?


CPU 인텔 코어i7-4세대 4790 (하스웰 리프레시) (정품) 368,920 351,600 1 368,920 351,600
RAM 삼성전자 DDR3 8G PC3-12800 (정품) 62,300 60,000 2 124,600 120,000
메인보드 ASUS P9D-V STCOM 223,780 219,030 1 223,780 219,030
SSD 인텔 535 Series (120GB) 89,970 87,620 2 179,940 175,240
HDD WD 500GB BLUE WD5000AAKX (SATA3/7200/16M) 50,690 50,200 1 50,690 50,200
케이스 ABKO NCORE 이카루스 USB3.0 블랙 44,500 43,000 1 44,500 43,000
파워 SuperFlower SF-500R14SE Silver Green FX 59,000 57,500 1 59,000 57,500



이런식으로 구성해봤는데.. SSD 레이드0으로 하려고 합니다. 

안정성보다 성능 극대화가 필요합니다. SSD 혹시 삼성으로 하는게 성능면이나 호환성문제에서 나은지요?

그외 메인보드나 지적 할부분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아 그리고 서버 한대에 랜 두개 있는거로 각각 다른 아이피 연결해서 두 아이피 쓸수 있나요? 있따면 그걸 뭐라고 하나요?

100M + 100M 로 하는건 아니고 각각 다른 도메인+아이피로 접속 시키려 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5-05
삼성으로 하면 잘쓰는 사람은 잘 쓰지만 고생 재대로 할수 있습니다.

특히 퍼포먼스 문제로..
와 이건 풀로 돌리는 서버용으로 사용하긴 전력이 노파요 ... 홈서버라기보단 nas용도로 가시는것이라면 저전력을 사용해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하하
슈플 500W를 6만원주고 살 이유가 있나요?
현비니 2015-05
파워는 낮추겠습니다. 메인보드랑 하드는 어떤가요? ^^;;  램은 두개 다는게 나은가요?
서버라기 보다는 게임용 컴퓨터 같아요.. 하하하
서버보다는 개인PC에 맞춘 사양이네요.... 원격관리도 안되고..
일단 용도가 뭔지가 중요합니다.
     
김군 2015-05
+1
     
현비니 2015-05
소규모 커뮤니티 사이트 운영입니다. 초보라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준연 2015-05
서버라는 것이 결국 역할의 문제이기에 특정 부품만 꼭 쓰라는 법은 없습니다만, 적어도 지금의 구성은 서버 목적이라고 볼 수도 없고, 메인보드는 아예 호환도 되지 않는 물건입니다. 에이수스 P9D-V에 코어 i5나 i7는 '원칙적으로' 넣을 수 없습니다. 일단 메인보드에 나머지를 맞추려면 CPU를 제온 E3 1230/1231V3로 바꾸고, 메모리도 일반이 아닌 Unbuffered ECC 모듈로 바꿔야 합니다. ASpeed 그래픽 모듈은 있는 만큼 12x5/12x6 계열일 필요는 없습니다.

예산에 신경을 안쓰고 최대한 CPU의 성능(단, 다중 스레드에 최적화된 것이라는 가정 하에)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면 코어 i7 5820K에 X99 칩셋 메인보드, PC4-17000 DDR4 일반 메모리 네 개(쿼드채널 구성)을 넣으면 됩니다. 물론 쿨러도 따로 사야 합니다. 이것만 해도 거의 예산 전부를 쓰는 것이 문제지만, 코어가 두 개 늘어나고 전반적인 I/O 부담도 줄어들며 메모리 대역폭이 늘어나는 것은 분명한 장점입니다. 그래픽카드는 관리용으로 최소한의 것은 따로 넣어줘야 합니다.

추신: 서버 구축 목적이 불법 사항인 프리서버같은 것이라면 그리 좋은 이야기를 듣지 못할 수는 있습니다. 그 목적이 아니면 조금 더 구체적인 목적을 알려주셔야 뭔가 부품을 더하거나 빼거나, 최악의 경우 아예 예산부터 다시 짜라는 등 방향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적어도 적어주신 것으로는 구체적인 목적을 알기가 어려우며, 그나마 질문의 패턴(?)으로 볼 때 프리서버 구축을 위해 물어보는 분들의 내용과 유사하여 일단 못박을 것은 못을 박습니다만, 그것이건 그게 아니건 서버 하드웨어 구매는 분명한 목적성을 정하고 그에 맞춰 어느 정도의 성능 예상이 끝난 뒤에 해야만 합니다.
김준연 2015-05
하나 더 적으면, 일반적으로 홈서버라고 불리는 물건들은 성능에 그렇게 목을 매달지는 않습니다. 주된 작업이 가정 내부에서의 시스템간 데이터 공유, 데이터 백업, 블로그같은 개인용 소형 웹 페이지 운영, Torrent 다운로드같은 것이기 때문인데, 가정이라는 설치 공간의 제한과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 및 생활에 방해가 되지 않는 소음 문제를 생각하여 크기는 최대한 줄이고 전력 소비량과 소음이 최대한 적도록 성능을 제한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홈서버의 일반적인 목적에 드는 작업이라면 성능에 대한 욕심을 어느 정도 버리고 에너지 소비 효율성 위주, 그리고 쉬운 관리 위주로 부품 구성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지금의 부품 구성은 '집에 두는 서버'는 될 수 있지만 '홈서버'라고 하기에는 너무 거대합니다. 또한 내부망 접속이 아닌 직접 인터넷망에, 그것도 복수의 회선을 연결하는 것은 더욱 홈서버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위에서 정확한 용도를 적어주셔야 한다고 적었는데, 그 용도가 정해져야 보통의 홈서버 수준으로 충분한지, 아니면 제대로 된 타워형 또는 랙마운트 서버를 써야만 하는지 답이 나옵니다.
     
현비니 2015-05
제가 홈서버의 의미를 잘못 파악했네요.. 말씀하신부분 다시 공부해보겠습니다.

구체적인 용도는 게임서버같은건 아니고 일반 유머같은 커뮤니티 웹사이트 운영인데 현재 통큰아이 서버를 사용하다 약정이 끝나서 사무실에서 돌리고 있는데 동접이 200명?(동접에 기준이 좀 애매하지만) 하루 만명정도 접속하는데 서버가 너무 힘들어합니다.  그 사양이 통큰아이(서버호스팅사이트)에서 해준게 i7 870 대탑CPU로 만들어졌던데 당시에는 꽤 쓸만했던것 같습니다.

토렌트 사이트도 아니라 트레픽보단 DB속도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댓글들이 많고 게시물이 많아서요. 딱 여기 2cpu같은 사이트입니다. 그래서 하드속도를 좀 신경쓰는데 그게 맞는건가요?

사무실이라 소음과 전기세는 신경안쓰고 크기도 신경 안쓰고 있습니다.

혹시 시간 되시면 용도 보시고 다시 한번 글남겨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_)
          
김준연 2015-05
이런 서비스는 집에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하드웨어 문제보다는 회선의 신뢰성의 문제가 더 큽니다. 가정용 회선은 대부분 비대칭 속도에 속도 보장이 되지 않으며 포트까지 여러 문제로 막는게 많아 제한이 너무 많습니다. 다운로드 관련 사이트를 운영하는게 아닌 커뮤니티 사이트면 일반적인 IDC의 코로케이션만 받아도 충분합니다. 즉, 100Mbps Shared에 5~10Mbps 보장만 나와도 대부분 문제가 없습니다.

정확한 BMT를 해본 뒤 하드웨어 스펙을 짜야 합니다만, 중고 장터에 나오는 1세대 코어급의 1U 서버에 메모리만 적당히 늘리고, 엔터프라이즈용 SSD처럼 I/O 처리 능력이 뛰어난 SSD를 넣어주면 그런대로 성능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SSD는 아무래도 아직 약간의 신뢰성 문제는 있기에 백업은 자주, 매우 정기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면 회사에서 돌리는 것은 하드웨어 문제보다는 회선의 신뢰성 문제가 있어 추천하지는 않으며, 저렴한 1U 코로케이션이면 월 6만원 전후로 나옵니다.(상면비 포함)
Haku 2015-05
하드비포함 조립형으로 가정에서 쓸만한 NAS 만들기엔 35만원만 하면 적당합니다.
현제 저도 그렇게 해서 만들어 쓰고 있구요.
물론 하드값이 만만치 않습니다만.... ㅠㅠ;;
게지네 2015-05
그냥 적당한 저전력 i5에 인텔 730 SSD만 넣어도 적당할것같은데말입니다...

웹서버 하시는데 그렇게 성능 필요없어요~~
먼저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과연 홈페이지에 해킹이나 장애 발생시 본인이 대처할 수 있느냐이죠...
유동ip도 mac만 안바뀌면 그대로인 유동ip가 있고, 때때로 바뀌는 유동 ip가 있으나 전자 기준에 100Mbps FTTH 라인이라면 실질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실질적으로 동접 200명정도면 최적화만 잘 해놓으면 G3220으로도 커버가 가능합니다.(DB 등 환경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E3-1230v2 기준으로 아파치 400명, innoDB사용시 4~500명, ngnix사용시에는 800명까지 커버 해봤었습니다.(빠릿빠릿하게 사용 가능한 최대값)

서버 운영할거라면 이것저것 붙이실 생각 하지 마시고, 한대를 만들어도 제대로 만드시기 바랍니다. 성능 극대화가 필요한건 동접 2천 넘어가서 E5 또는 E5 듀얼 넣을때나 필요한것이지요..
애초에 ASUS를 넣은것 자체부터가.....
개인적으로 보자면 어설픈 개인PC 조립하느니 ML110 G7 등과 같은 (iKVM 달린)베어본이나 TS140 + 1230v3(AMT) 구매해서 CPU만 바꾸는게 훨씬 나을겁니다.
제대로 조립해서 쓸 생각이라면 ipmi 달린 슈마보드는 기본으로 들어가야하고....

SSD+HDD 하이브리드 RAID나 SSD RAID1로 쓰면 퍼포먼스상에는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개인이 커뮤니티 서버를 운영하겠다고 한다면.. 보안관제, UTM 등까지 생각해야 하기에 단순하게 돌리는건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조병철 2015-05
이건 서버 아닌데요


QnA
제목Page 2814/5730
2014-05   5266958   정은준1
2015-12   1791876   백메가
2023-02   1578   민욱님
2016-09   5300   oise523
2012-07   5930   skkucman
2014-05   4777   미니TM
2024-12   824   Caig
2016-10   4181   쿠르
2020-03   2954   사누스
2024-12   810   pumkin
2009-05   5788   김건우
2015-10   4794   방o효o문
2016-10   4440   하셀호프
2017-11   6327   정상백
2020-03   2835   김상혁2
2021-07   3232   켄틀리12
2017-11   9983   Sakura24
2023-03   1396   김준유
2017-11   4991   Landa
2014-06   3903   미수맨
2021-08   2660   명랑
2009-06   7186   이용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