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접지 ] 제대로 할려면 어케 해야 되는지요 ?

   조회 6480   추천 0    

벽체 전원, 콘센트, 전원 케이블을 고려 해야 될 거 같은데,

보통 최근 가정집 벽체 전원에 2극 구명 말구 쇠붙이가 2개 있던데.. 이거 있으면.. 벽체 전원에서는 접지가 되는 것지요 ?

케이블 및 콘센트도 여기에 연결되는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최종적으로 접지가 되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요 ?


오디오 하시는 분은 극성을 구분하시는 분도 있던데,

컴에서도 의미가 있는 건지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iPPuuP 2015-06
집이 오래되면 그거있어도 안되어있는 경우 있습니다.
http://www.healing9988.com/bbs_shop/read.htm?board_code=sub6_2&idx=215644&cate_sub_idx=0
이런거로 테스트해보셔서 접지 되어있는 콘센트에 접지가 되는 플러그를 꼽으면 됩니다.

오디오 극성말씀하시는건 전원 역상은 교류라 별 의미 없고...
오디오 케이블.... 을 말하시는거라면 극성이 뒤바뀌면 소리가 스피커 뒤로(!)나가게 됩니다.
파형이 사인파 마냥 위로 치솟는것과 아래로 치솟는게 동일하다면 상관이 없는데 소리는 그렇지 않은것도 많은지라...
이건 직접 들어보셔야 "아.. 이런게 뒤로나간다고 표현하는구나"라고 아시게 될거고요.
체험해보시려면 궂이 역상으로 케이블을 납땜할 필요 없이 파형 에디트나 역상처리 가능한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파형을 뒤집어서 플레이 해보시면 될겁니다.
스테레오 쓰시는데 하나만 역상이 되버리면 서로 상쇠가 발생해서 소리가 이상해지기도 하고요.

여하튼 전자기기 전원에서의 접지는...

접지를 요구하는 전기기기들의 접지는 필수입니다.
접지안하면 유도된 전기라든가 여러 전자들이 쌓여 흐르게 되는데 과도하게 쌓이면 스파크가 발생해 내부 부품을 태울 수 있습니다.
혹은 디스플레이 포트나 랜선 등을 타고 다른기기들을 태우기도 합니다.
접지된 플러그 쓰시면 해결됩니다.

이건 제가 직접 경험한겁니다. 맥프로(!)하나랑 PC 하나랑 LG디스플레이 하나를 이걸로 날려먹었습니다.
맥프로는 수리했고 LG는 당시 사용했던 HDMI포트를 포기해야 했습니다, PC는 보드가 나가서 버렸....
이 인간들이 스맛폰 충전한다고 접지 안되는 멀티탭 들고와서 거기에 장비들을 꼽아 썼더군요...
지네 충전기를 거기다 꼽지 왜.... 회사컴퓨터를....
집에 있는 차단기 박스 부터 보세요..
거기에 녹색선의 접지 선이 보이고 다른곳으로 연결이 되어 있다면 벽속 콘서트에 접지가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니면 벽면 콘서트를 나사를 풀어 열어보세요.
녹색선이 따로 연결 되어 있으면 접지가 되었다고 보시면됩니다.
그리고 보통 보드의 접지는 기판 끝선에 서 연결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별도의 접지 하는 곳이 없으면 꼭 안하셔도 됩니다...
역시... 약은 약사에게
컴 및 서버는 2CPU 전문가에게 라는 말이 이해가 갑니다. 꾸벅 꾸벅
catstyle 2015-06
오디오 마니아들은 AS 전원도 극성을 맞춰 꽂으시는데
제 경우 컴퓨터 케이스 뒤쪽을 만지면 찌릿찌릿한 전기가 느껴졌는데
플러그 뽑아 극성 바꿔 꽂으니 해결됐습니다
김석중 2015-06
접지를 하면 손에 찌릿찌릿 전기가 안오고 오디오에 잡음 섞여 들일도 줄어드는데요.

요즘은 다 접지가 되어있지만 옛날 집들은 접지가 안된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사는 곳도 접지가 안되어있는데요.

해결 방법 중 하나는... 비싼 파워를 쓰니 접지를 안해도 전기가 안오더라구요.
땜쟁이 2015-06
컴퓨터 본체에 전선을 연결후
쇳덩이 ex 샷시 등에다 연결하시면 비슷한 효과를 보실수 있으세요


QnA
제목Page 2795/5723
2014-05   5233419   정은준1
2015-12   1759818   백메가
2020-04   2564   머라카는데
2023-04   2262   쌍콤한식
2016-11   5869   삼돌군
2020-04   5815   트렌드
2017-12   3939   타이호
2019-02   4446   캔위드
2023-04   1546   보슬비내리…
2021-09   2566   VSPress
2016-11   8877   보광
2020-05   2850   늘파란
03-30   323   미담
2021-09   3705   perls
2021-10   2477   galaxyfamily
2009-11   7840   푸릉이
2015-12   3832   건약
2020-05   3402   바다늑대
2012-12   10703   김건우
2021-10   7912   골리느닥
2009-11   8438   classiccha
2013-01   5736   하루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