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320G5P 문의 드립니다.

김유중   
   조회 4842   추천 0    

저희아파트 MDF실 내에 코콤서버가 있습니다.
 
모델은 HP DL320G5P 모델이고 하드디스크를 보니 SATA 250GB 두개가 있더라고요.
 
배드섹터때문에 코콤에 견적을 보니 하드디스크만 36만원이고 프로그램 세팅까지 포함해서 300만원이 넘는 금액을 달라고 하더라고요.
 
여기서 질문 드립니다.
 
물리적으로 배드가 난 부분을 고스트로 떳을때 정상적으로 떠지면 다른 하드디스크에 그대로 복사해서 사용하면 가능할까요?
 
만약에 복사가 안되면 강제적으로 복사 하는 방법이 있으면 혹시 알 수 있을까요.
 
어찌 하다보니 제가 이 일을 처리하게 되어서 장문의 글을 남기게 됩니다.
 
많은 회원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최동현 2015-06
250기가가 2개인걸 보니 미러링 구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베드난 하드(적새불)을 빼고 같으용량을 교환하면 자동 리빌드 될 것입니다.
그리고 hp 250gb 하드 새것도 몇만원 밖에 안합니다.

만약  레이드 구성이 안되어 있다면 고스트나 미니툴드라이브카피등으로 복사도 가능합니다.
ZSNET5 2015-06
1. G5라면 정품사용안해도 별 문제 없습니다.
2. RAID구성된 거라면 전원끄고 빨간불 들어온 하드 교체하면 지가 알아서 리빌드 해 놓습니다.
3. RAID구성된게 아니라면 말씀하신대로 고스트로 떠 버리면 됩니다. 근데, 지금 말씀하시는것만 보면 아예 저세상 간건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만...

코콤에서 300달라는건 쫌......
단순 디스크 교체로만 보면 좀 과한 금액입니다만, 항상 그렇듯이 말씀하시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고
다른 이유(보통 몇년간 유지보수 계약 안하고 있었는데, 그동안 계속 서비스는 진행해 왔고.....이번이 비용을 보전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을 가능성이 높음)가 있을수도 잇지요..
이지영 2015-06
일반 SATA 디스크로 교체 가능합니다.
보통 섹터카피라 고스트에서는 배드 있으면 같이 카피 됩니다.
일단 배드가 있더라도 동작이 되면 VHD로 이미지로 떠서 가상서버에 띄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샤디 2015-06
답변 감사합니다.

잘 되었으면 좋겠어요 저도 ㅜ.ㅜ
샤디 2015-06
배드 나왔다고 고스트에서 검색되고 그 다음 하드를 읽긴 읽는데 진행이 되지를 않네요
     
ZSNET5 2015-06
그냥 두세요. 베드 있는 영역을 여러차례 읽으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한참 걸립니다.
          
샤디 2015-06
250기가 인데 얼마나 걸릴까요 ???
          
샤디 2015-06
맞습니다. 유지보수비용이 너무 비싸서 계약을 하지 않았습니다.

대략 보면 하드디스크 두개 교체 비용이 개당 336600원이고 OS설치 비용이 80만원 SIP서버?? 설치 비용이 110만원 정도 출장료 20만원 해서 310만원 정도 나오더라고요.
               
디스크 교체는 명목상이고 실제로는 서버 재구성비용이네요.

유지보수계약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네요.

아파트 MDF실의 코콤이라면 홈네트워크 서버일듯합니다. 유지보수계약이 안되어있는것이 더 이상하네요.
관리비에 포함되고, 유지보수비는 각 세대에 부담하는게 일반적일듯합니다만...

해결방법은 지금이라도 유지보수계약을 하는게 나을듯합니다.(담당자와 잘 협의하시는 편이 나을듯합니다.)
샤디 2015-06
뭐 관리사무소는 유지보수 하는편이 좋긴 한데 아무래도 동대표에서 비용이 많이 들어가니깐 캔슬 놓은거같습니다.

저희야 유지보수 해놓으면 문제발생시 부르면 편하지요.

돈 나가시는 입장에서는 그게 고장이 나나?? 생각이 드니깐 안한거같고요.
ZSNET5 2015-06
제 부서도 유지보수 계약로 운영비를 충당합니다.
고객사의 입장에서는 "고장도 안나는데 돈을 왜 내느냐?", "고장났을때 수리비가 유지보수비보다 싸다."라고 말씀들을 하십니다만....그건 "무시된 시간"과 "강요된 무상보증"의 결과물입니다.
고장수리의 우선순위는[ 유지보수고객 - 무상보증대상 - 일반수리요청 - 대금회수가 불가능한 고객사]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본사에서 인원이나 자재등의 계산은 모두 유지보수계약 장비를 기준으로 합니다.
어디든 마찬가지지만 저희도 항상 인원은 모자라기 때문에, 유지보수 고객사는 계약에 따라 4시간 이내 출동을 목표로 하지만, 일반수리 이하는 시간을 잡았다가도 캔슬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유지보수계약사에서 사고가 나서 긴급출동을 해야되면 일반수리는 그냥 캔슬입니다..네...) 심하면 일주일이나 보름도 그냥 홀딩 시킵니다.

수리비청구가 더 힘든 일인데요.. .저는 20만원 이하는 그냥 청구 안합니다. 청구해서 대금 회수하는데 근거 만들고, 서류 만들고, 비싸다는 고객사에 설명하고 등등 하려면 그냥 돈 안받는게 더 이득입니다. 비싸다고 돈 안주려는 고객사는 그냥 한번 서비스 해 주고, 몇십만원이든 몇백만원이든 안주면 안주는대로 그냥 둡니다.

나중에 문제 생기면 어차피 부르게 되어 있고, 그때 선금받고(지난번 미수 포함해서) 가면 되거든요...안불러주면 안불러주는대로 이득입니다. 저는 우량고객사만 가지고 있게 되고, 경쟁업체(?)에는 불량 고객사만 모이게 되는 거니까요..


QnA
제목Page 2794/5731
2015-12   1792962   백메가
2014-05   5267932   정은준1
2011-09   6817   GoodWolf
2022-10   2432   블루영상
2024-05   1926   kimkasa2
2015-05   8449   대한민국
2016-07   3695   백만스물하나
2019-12   3467   늘파란
2016-07   5739   굴다리교
2018-10   3820   리장님
2021-03   3072   여주농민76
2011-10   5852   늘보곰
2018-10   6291   큰고양이
2016-07   5406   샤를레이
2022-10   2328   요를레이
2011-11   7466   심바트
2016-07   4625   Won낙연
2015-06   9569   박현근
2014-02   7008   윈도우10
2019-12   5269   나라사랑
2014-02   5192   김승권
2024-06   2008   불멸의샌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