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2283 |
25 |
2015-12
176228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6596 |
0 |
2014-05
5236596
1 정은준1
|
2205 |
RAID5로 구성된 디스크 재구성 후 데이터 복원 방법? (3) |
Dfens |
2017-05 |
4345 |
0 |
2017-05
4345
1 Dfens
|
2204 |
[해결함]Video 테이프 짤린거 수정 잘하는 업체 있을까요? (9) |
재원 |
2021-01 |
3015 |
0 |
2021-01
3015
1 재원
|
2203 |
LSI - SAS3080X 설치하려고 합니다. (2) |
아름다운노을 |
2011-08 |
6186 |
0 |
2011-08
6186
1 아름다운노을
|
2202 |
회사에서 30명 규모에 NAS 추천 좀 해주세요~ (1) |
하노김상고 |
2017-05 |
3789 |
0 |
2017-05
3789
1 하노김상고
|
2201 |
DC 12V UPS 없을까요? (11) |
dateno1 |
2021-02 |
4697 |
0 |
2021-02
4697
1 dateno1
|
2200 |
도시바 CDU2150A 모니터의 메뉴얼 없나요? |
이범석 |
2014-01 |
4108 |
0 |
2014-01
4108
1 이범석
|
2199 |
Another MySQL daemon already running with the same unix socket....? (5) |
김황중 |
2014-01 |
6224 |
0 |
2014-01
6224
1 김황중
|
2198 |
케이스갈이 하다 망함 2ND CPU 인식불능 도움 요청 (4) |
comduck |
2016-06 |
5154 |
0 |
2016-06
5154
1 comduck
|
2197 |
MegaCAD질문요 (9) |
점순이 |
2011-08 |
7860 |
0 |
2011-08
7860
1 점순이
|
2196 |
오픈프레임 모니터에 맞는 어댑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2) |
배병렬 |
2016-06 |
5211 |
0 |
2016-06
5211
1 배병렬
|
2195 |
스토리지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가 계속 지워집니다.CIFS(AD) (10) |
컴맹주니 |
2019-11 |
3237 |
0 |
2019-11
3237
1 컴맹주니
|
2194 |
파일 전송 속도 차이의 원인들이 뭐가 있을까요?? (4) |
느닷 |
2011-08 |
6490 |
0 |
2011-08
6490
1 느닷
|
2193 |
mini dp에 듀얼링크 dvi 모니터를 쓰려면 (4) |
방o효o문 |
2014-01 |
4664 |
0 |
2014-01
4664
1 방o효o문
|
2192 |
2560x1600 모니터 3대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래픽 추천 좀.. (3) |
장동건2014 |
2015-05 |
4972 |
0 |
2015-05
4972
1 장동건2014
|
2191 |
미크로틱 공유기를 살까하는데요 (공유기 추천 부탁) (10) |
GoverZG |
2022-09 |
2244 |
0 |
2022-09
2244
1 GoverZG
|
2190 |
CPU체감성능 비교. (16) |
방o효o문 |
2014-01 |
5738 |
0 |
2014-01
5738
1 방o효o문
|
2189 |
5600x 핀 vss 하나 부러졌는데 저렴히 가능한곳 있을까요? (14) |
은말 |
2022-09 |
2654 |
0 |
2022-09
2654
1 은말
|
2188 |
전자화폐류에 대하여.. (3) |
송진현 |
2016-06 |
5294 |
0 |
2016-06
5294
1 송진현
|
2187 |
서버 하드 증설 방법 문의 (11) |
제스퍼즈 |
2015-05 |
5912 |
0 |
2015-05
5912
1 제스퍼즈
|
2186 |
<급수정>다이오드 종류인가요?? -> 저항 이라고 합니다.... (7) |
황진우 |
2014-01 |
5605 |
0 |
2014-01
5605
1 황진우
|
1. PCI PassThrough된 VGA Card가 장착된 VM은 VGA Card스펙을 따라갑니다.
2. ESXi 로컬콘솔과의 공유를 말씀하시는 거면, 불가능합니다. PCI 확장노드 단위로 제어가 넘어갑니다(그러니깐 VGA Card가 통체로).
3. 그래픽카드 자체에서 오는 퍼포먼스저하는 없습니다. VM인지라 다른 부분에서 오는 퍼포먼스 저하는 있겠지만요.
4. 둘다 지원합니다. 이건 VGA Card가 지원하는 부분이 아니라 CPU + Motherboard가 지원하는 부분입니다.
PCI PassThrough된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VM은 원격연결을 하면 원격 화면으로 송출되는게 아니라 그래픽카드에 달린 모니터로 화면이 송출됩니다. (그러니깐 원격콘솔의 모니터는 먹통... | 혹은 원격 콘솔용 vGPU를 사용하게 되면 애써 PCI Passthrough한 그래픽카드가 비활성화 상태: VM입장에서 PCI Passthrough된 VGA와 vGPU VGA 두개가 장착된 상태로 나옵니다)
PCI PassThrought는 가상화 되지 않은 실제 하드웨어들 때문에 여러가지 관리부분에서 곤란한 부분이 생깁니다.
예를 들면 VGA PCI PassThrought는 VM용 모니터 신호가 제어콘솔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서버의 VGA output단자에서 나오게 되기 때문에 원격관리가 상당히 곤란해지죠. 옆에 두고 쓰는게 아니라면요. 마찬가지로 사운드카드를 PassThrought로 붙였으면 소리가 서버의 사운드카드 출력에서 나옵니다. 어떤 이유로 USB인터페이스 카드를 pci PassThrought로 붙이면 마찬가지로 해당 USB카드를 이용하시려면 서버의 인터페이스카드의 USB Port에 붙여야합니다.
PCI PassThrought는 가상화 없이 로컬 하드웨어를 VM에 붙여주는 기술입니다.
VGA를 PCI PassThrought하게 되면 해당 VM이 동작할 때 서버의 하이퍼바이저는 VGA를 잃게 됩니다.
그러니깐 마치 해당 그래픽카드가 안달린것처럼 동작합니다.
대신 VM에 해당그래픽카드를 로컬로 달아준거처럼 동작하는 거지요.
때문에 하이퍼바이저가 VGA의 출력에 접근할 수도 제어할 수도 없습니다.
반면 GPU Virtualization은 그래픽카드 자체가 가상화되기 때문에 제어콘솔에서 원활하게 원격 프로토콜을 통해 그래픽출력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AMD의 그래픽카드가 PCI PassThrought에 많이 추천되는 이유는 (이 부분 궁합이 좋아서인지) 그저 잘 붙기 때문이지 특별히 AMD는 PCI PassThrought를 지원하고, NVIDIA는 지원하지 않는 그런건 아닙니다. NVIDIA도 붙을 땐 붙습니다.
(하지만 PCI PassThrought를 사용하실 땐 AMD를 사용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이 외에 GPU PassThrough라고 PCI PassThrough랑은 비슷해보이면서 전혀 다른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저라면 이쪽을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출력포트 가상화를 지원하면서도 마치 실제 독립적인 하드웨어가 달린것처럼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합니다.
이 부분은 불행히도 아직 NVIDIA 독주상태입니다.
NVIDIA GRID K1, NVIDIA GRID K2가 이 부분 전문 그래픽카드입니다.
일부 엔트리급 Quadro도 이 기능을 지원합니다.
VMware에선 VDGA라는 명칭으로 이 기술을 지원합니다.
http://www.poppelgaard.com/vmware-vdga-now-officially-supported
GPU 가상화는
네트워크 가상화 (SRIOV나 VIF)랑 상당히 비슷한 의미로 받아 들여 집니다.
NVIDA Grid K1/K2는 장비 가격이 개인이 부담하기엔 솔직히 부담 스럽네요.
물론 해당 기능은 유튜브랑 감상했습니다만 PiPPuuP님이 답변으로 더욱 확실을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저의 결론은 저의 용도/작업 성격에 따라 AMD 계열 중에서 선택하면 될 거 같습니다.
장문의 친절한 답변에 다시한번 감사 드립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