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328 |
0 |
2014-05
523932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4778 |
25 |
2015-12
1764778
1 백메가
|
27315 |
스위치 허브 로그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설영수 |
2012-11 |
7343 |
0 |
2012-11
7343
1 설영수
|
27314 |
빛을 투과했다가 반사하거나 검게할 필름이 없을까요? (8) |
푸릉이 |
2010-02 |
7343 |
0 |
2010-02
7343
1 푸릉이
|
27313 |
윈도우에서 마우스 매크로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로 돌릴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 |
오상훈 |
2007-01 |
7343 |
41 |
2007-01
7343
1 오상훈
|
27312 |
ESXi 전원 관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2) |
이이크 |
2013-10 |
7343 |
0 |
2013-10
7343
1 이이크
|
27311 |
Disk I/O 측정하는 방법??? (2) |
날개 |
2015-07 |
7343 |
0 |
2015-07
7343
1 날개
|
27310 |
LCD 모니터 백색균일성 문제... 교환사유가 되나요? (6) |
송진홍 |
2016-01 |
7343 |
0 |
2016-01
7343
1 송진홍
|
27309 |
VGA to USB 제품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3) |
프랴 |
2013-10 |
7343 |
0 |
2013-10
7343
1 프랴
|
27308 |
SDRAM 과 DDRRAM 의 성능차이가 궁금합니다, (8) |
정진기 |
2004-11 |
7344 |
5 |
2004-11
7344
1 정진기
|
27307 |
개인용 서버을 어떤걸 구성해야할까요? (8) |
미친초등학생 |
2014-12 |
7344 |
0 |
2014-12
7344
1 미친초등학생
|
27306 |
100% Minimum Adobe color gamut 뜻이 무엇인가요? (21) |
SkyBase |
2016-09 |
7344 |
0 |
2016-09
7344
1 SkyBase
|
27305 |
스카시하드 부팅불가 문제가 있습니다. (2) |
harneui |
2011-01 |
7344 |
0 |
2011-01
7344
1 harneui
|
27304 |
odd와 버닝 프로그램의 궁합이 있을까요? (5) |
장동건2014 |
2011-08 |
7344 |
0 |
2011-08
7344
1 장동건2014
|
27303 |
원래 DVD DL(듀얼레이어)가 일반적인 싱글레이어보다 인식이 늦는게 정상인가요?? (4) |
병맛폰 |
2012-04 |
7344 |
0 |
2012-04
7344
1 병맛폰
|
27302 |
제온 듀얼을 오버한다면 안정적인 방법을 부탁드립니다. (4) |
윤용일 |
2004-08 |
7345 |
3 |
2004-08
7345
1 윤용일
|
27301 |
PCM 2704 USB DAC 음질이 어떤가요? (2) |
NGC |
2017-04 |
7345 |
1 |
2017-04
7345
1 NGC
|
27300 |
엑셀 잘 아시는 분 (4) |
한남규 |
2010-03 |
7345 |
0 |
2010-03
7345
1 한남규
|
27299 |
인텔 SDS2에 적합한 U160 혹은 U320 레이드카드 (3) |
배정한 |
2005-02 |
7345 |
12 |
2005-02
7345
1 배정한
|
27298 |
사진 관리 프로그램 추천 (1) |
나우마크 |
2015-06 |
7345 |
0 |
2015-06
7345
1 나우마크
|
27297 |
인터넷 html 에서 테이블 출력시 선두께 질문 드립니다. (7) |
김제연 |
2016-06 |
7345 |
0 |
2016-06
7345
1 김제연
|
27296 |
모니터 켈리브레이션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스파이더3 연동) (3) |
오준호5 |
2011-07 |
7345 |
0 |
2011-07
7345
1 오준호5
|
다른 조치는 필요없는지 궁금해서요.
일반 전기테이프보다 두껍고 강하죠. 그걸 좀 둘러주시면 됩니다.
그런데... 그정도로 열을 받았다면 멀쩡해 보이는 다른부분도 피복이 열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응급처치 하시고, 왜 그 부분이 녹아서 코어가 노출되었는지 확인을 해 보세요.
한전이나 해당 건물의 전기 인입공사를 한 업체든 어디든 안전점검을 하심이 좋을듯
안전문제이니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주택이고, 2층에만 들어가는 전원선인데, 안정기까지 거리는 10m 정도인데, 2cm만 문제입니다.
절연고무테이프. 사서 발라 보겠습니다.
그러면 다행이지만... 과전류로 인한 소손이면 답 없습니다.
불나기전에 선로교체 하는것 말고는 말이죠....
손상부위를 정상부위만큼 두께가 나오도록 둘러주시고, 외부영향 차단할 수 있도록 양 옆으로 넉넉하게 감아서 살 올려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냥 감지 마시고 살짝 잡아당겨서 늘어나는 느낌으로 감아주심 됩니다.
계량기 출력은 개인이 해야 합니다.
전기전문가에 문의를 하새요,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감전 위험이 있어서, 고무 절연테이프로 감싸고 벽돌 받쳐서 물에 안닫게 해두려구요.
전에 건물주가 용접하다가 불똥으로 태워먹은 느낌입니다.
부근에서 용접하다가 피복을 녹여 먹은거 같은데, 그걸 몇년이나 뒀는지 전선이 조금 열화 됬더라구요.
지금 바꾸기는 그렇고, 다음에 전기 공사할때 바꿔야 할 것 같아요.
그래서 모든 공사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