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117 |
25 |
2015-12
176711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1831 |
0 |
2014-05
5241831
1 정은준1
|
60031 |
NAS 기가비트 망 구성 말인대요. (12) |
방o효o문 |
2013-10 |
9941 |
0 |
2013-10
9941
1 방o효o문
|
60030 |
초보자의 블로그 만들기를 위한 책 추천. (7) |
머라카는데 |
2015-03 |
4648 |
0 |
2015-03
4648
1 머라카는데
|
60029 |
핸폰의 mini hdmi 포트를 핸폰 전원포트에 꽂아서 써야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니 다른… (9) |
김건우 |
2018-07 |
4577 |
0 |
2018-07
4577
1 김건우
|
60028 |
멀티탭..? 전기..? 추천 (4) |
서버같은인생 |
2024-01 |
1454 |
0 |
2024-01
1454
1 서버같은인생
|
60027 |
M1015 케이블을 찾습니다. (8) |
머라카는데 |
2013-10 |
5358 |
0 |
2013-10
5358
1 머라카는데
|
60026 |
HP Microserver g8 쓰시는분께 여쭤봅니다.. (13) |
김현린 |
2015-03 |
4783 |
0 |
2015-03
4783
1 김현린
|
60025 |
Wowza Media Server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지? (4) |
마이코코 |
2011-04 |
10613 |
0 |
2011-04
10613
1 마이코코
|
60024 |
하드디스크용 나사 좀 긴것 세운상가 나가보면 구할수있을까요? (11) |
장동건2014 |
2015-03 |
4878 |
0 |
2015-03
4878
1 장동건2014
|
60023 |
해놀로지 아키텍처가 궁금합니다. (2) |
모어쿨 |
2022-06 |
2089 |
0 |
2022-06
2089
1 모어쿨
|
60022 |
HP Z620에 GTX1060/6GB 그래픽카드 장착해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8) |
초코송이 |
2020-12 |
4669 |
0 |
2020-12
4669
1 초코송이
|
60021 |
미크로틱 hAP ax3 제품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8) |
JBJB |
2024-02 |
2674 |
0 |
2024-02
2674
1 JBJB
|
60020 |
microserver Gen8 esxi 5.5 > 6.0 업데이트 실마리.. (2) |
송진현 |
2017-04 |
3545 |
0 |
2017-04
3545
1 송진현
|
60019 |
일본 옥션 구매 문의 (1) |
여주이상돈 |
2013-11 |
6455 |
0 |
2013-11
6455
1 여주이상돈
|
60018 |
hp6p 윈도7 육십사비트에서못쓰죠? (2) |
김건우 |
2015-03 |
4165 |
0 |
2015-03
4165
1 김건우
|
60017 |
윈도우 OS 버전 및 워크스테이션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3) |
라면스프 |
2020-12 |
4265 |
0 |
2020-12
4265
1 라면스프
|
60016 |
이지메직호스 같은 물호스 어떤가요? 써보신분.. (4) |
무아 |
2016-05 |
4765 |
0 |
2016-05
4765
1 무아
|
60015 |
용산 일요일 ssd구매가 가능할까요? (6) |
송진현 |
2018-08 |
3928 |
0 |
2018-08
3928
1 송진현
|
60014 |
파킹통장 사용하시나요? (11) |
아날로그 |
2024-02 |
1530 |
0 |
2024-02
1530
1 아날로그
|
60013 |
이포트 규격과 사용가능한 레이드 카드는? (4) |
무적쥔장 |
2013-11 |
10493 |
0 |
2013-11
10493
1 무적쥔장
|
60012 |
소규모 회사(10명)의 파일서버와 백업서버 구성에 대해서... (9) |
이충욱blue |
2011-05 |
14125 |
0 |
2011-05
14125
1 이충욱blue
|
윈10 이미지로 신규 설치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인증이 되는지를 확인 하면 되는것이죠?
초기 설정시는 키 넣는 부분은 SKIP하시고
초기 부팅후 자동 인증이 되는지만 확인해 주시면 매우 감사하죠...^^
1. 윈10 Home k x64 iso로 부팅
2. 윈7 설치 되 있는 C: 포멧 후 윈10 설치
3. 시디키 입력란 스킵
4. 두번째 시디키 입력란 스킵
5. [시스템] - "윈도우즈 정품 인증을 받지 않았습니다." 라는 문구 확인
(기본드라이버로 네트워크 아답터 정상 인식 되 있고, 인터넷도 연결 되어 있습니다.)
결론
벤더 pc라도 윈10 업데이트는 최초는 꼭 하자
입니다.
삼성 놋북으로 진행 했습니다.
가지고 있는게 이거 뿐이라서요
모든상황에서 공통사항입니다 기존에 설치된것이 coem이든 oem이든 fpp이든 같습니다 무료 업그레이드 기간중
한번이라도 업그레이드를 했던 라이센스는 10으로 라이센스 갱신되고 MS인증서버에 남습니다
업그레이드이후 클린 설치시 인증은 기존의 라이센스를 따라갑니다
coem은 하드웨어에(메인보드)따라가고 oem도 마찬가지...
fpp는 시리얼을 따라가게됩니다 그러니까 최소 한번의 업그레이드 이후 coem과 oem은
시리얼없이 윈10 설치하고 인터넷 만 연결시켜주면 자동으로 인증되게 됩니다
fpp는 기존 업그레이드 인증받았던 시리얼로 윈10을 설치하면 인증됩니다
질문에 조금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업데이트는 업그레이드를 언급하신것이라고 봐지는데
"업그레이드 신청없이"라는 예기가 윈도우업데이트에서 설치되어 트레이에 표시되는 업그레이드 예약를 말씀하시는거라면
그거 신청 없이 윈도우10 미디어로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제가 전부 그렇게 업그레이드했습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에서 설치 이미지 어러개 만드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각 PC에서 저 링크의 툴로 바로 업그레이드 하셔도 되구요
바로 하는것과 이미지를 미리 만들어서 하는것과의 차이는 설치 파일 다운로드와 이미지 빌드에 걸리는 시간의 차이 뿐입니다 회선속도와 PC의 성능이 어느정도만 되면 그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게 아니라서 굳이 미리 설치 이미지를 미리 만들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