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ID 올림피아드 예상문제 ] 난해한 질문

   조회 4891   추천 0    

1. 실제로 RAID 0의 Volume이 깨지는 경우는 대부분 RAID 0에 참여한 디스크가 HW불량으로 고장나는 경우가 대부분 인지요 ?
아님 RAID 1 대비 레이드 SW나 OS 파티션등 논리적인 부분의 안정성나 더 떨어지는 건지요 (복잡성 증가등)
미러 대비 스트라이프가 물리적 백업 디스크가 없다는 점 외에도 안정성이 부족한 부분이 더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레이드 0 사용시, 레이드 캐쉬는 전혀 필요 없는 건지요 ?
저의 추측은 단지 1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디스크도,
레이드 캐쉬 사용시에 성능상 잇점이 많을 더 같아서요

3. 레이드 0+1 또는 1+0이 성능 및 안정성 차이점가 있는지요 ?

4. 레이드 캐쉬가 디스크의 내장 캐쉬보다 빠른 이유가,
고속의 램 및 고용량의 램을 사용하는 것이 주요 원인 인가요 ?

5. 레이드 캐쉬를 마더보드의 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지요 ?

6. 상용 레이드 카드나 OS에서 캐쉬 히트율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

이상 그 동안 품어왔던 의문점 입니다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독자분의 의견이나 아시는 지식 나눔 부탁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성만 2015-08
1. 백업 생각하시면 쓰지 마세요 0은 컨트롤러가 믿을만 하다면 해볼만은 한데 날릴 각오로 속도 빠르게 하려고 하는 겁니다만 그럴 바엔 SSD 쓰는 게 훨 낫습니다

예전에 15K 6개를 RAID 0으로 써본 적이 있는데 2년간 한번도 깨진 적은 없는데 (Intel RAID controller에 seagate HDD로 했습니다) 그냥 SSD 하나 다는 게 전력 소비 면이나 속도 면에서 나았습니다

2. 필요 없어요

3. 몇 개를 어떻게 묶는냐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RAID 0을 2개씩 할 건지 3개씩 할 건지... 거기다 1을 묶는 거니까요

  RAID 10이 좀 더 안정적일 듯 합니다

  각각의 RAID 1을 0으로 묶으니까 하나의 하드가 망가지더라도 1로 백업이 되니 이론상으로는 여러 개의 하드가 망가지더라도 유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둘 다 볼륨의 반을 백업으로 쓰는 거니 용량 손실이 큰지라 믿을 만한 controller라면 5나 6이 유리합니다

거기다 spare를 두는 게 낫겠죠

4. 당연히 램을 캐쉬로 쓰니 하드하고는 비교가 안되겠죠

5. 없어요

6. 이건 질문이 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4. 하드 디스크에 있는 내장 캐쉬도 램 일거랑 생각 했는데, 아닌지요 ?
          
박문형 2015-08
하드디스크에 붙은 메모리는 캐쉬라기보다는 버퍼라고 보시는게 편합니다.
stone92 2015-08
일단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1. 실제로 RAID 0의 Volume이 깨지는 경우는 대부분 RAID 0에 참여한 디스크가 HW불량으로 고장나는 경우가 대부분 인지요 ?
아님 RAID 1 대비 레이드 SW나 OS 파티션등 논리적인 부분의 안정성나 더 떨어지는 건지요 (복잡성 증가등)
미러 대비 스트라이프가 물리적 백업 디스크가 없다는 점 외에도 안정성이 부족한 부분이 더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 경험상 소프트웨어방식의 Raid0건 Hardware 방식의 Raid0건 디스크 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대부분입니다.
Raid0의 경우 묶여있는 디스크중에 한개만 장애가 발생해도 볼륨에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는 저장하지 않습니다만 시간을 두고 복구해도 되는 서버고
복원할 필요가 없이 단지 속도와 용량위주라면 Raid0도 사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레이드 0 사용시, 레이드 캐쉬는 전혀 필요 없는 건지요 ?
저의 추측은 단지 1개의 디스크로 구성된 디스크도,
레이드 캐쉬 사용시에 성능상 잇점이 많을 더 같아서요
- Raid0 의 경우 복잡한 연산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레이드 캐시를 쓰나 안쓰나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오히려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레이드 컨트롤러는 오히려 더 안좋을 수 있습니다.

3. 레이드 0+1 또는 1+0이 성능 및 안정성 차이점나 있는지요 ?
-디스크 4개로 구성한다면 별차이가 없겠지만 디스크 갯수가 늘어난다면 간단히 이해가 되실겁니다.
01=A+B+C,D+E+F
10=A+B,C+D,E+F
위 상태에서 디스크 한개가 장애가 났다고 가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01의 경우 리빌드를 위해서 3개의 디스크를 이용해야 됩니다. 이 과정중에서 한개가 더 고장이 난다면요?
바로 답이 나오실겁니다. 01을 쓰지 않는 이유입니다.


4. 레이드 캐쉬가 디스크의 내장 캐쉬보다 빠른 이유가,
고속의 램 및 고용량의 램을 사용하는 것이 주요 원인 인가요 ?
- 고속의 램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ROC(raid on chip)이 달려있어 별도의 연산들을 하고
디스크 read/write  에 대한 응답을  컨트롤러에서 대신하므로
cpu를 기다리지 않게 하므로 빠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5. 레이드 캐쉬를 마더보드의 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지요 ?
하드웨어적인 Raid컨트롤러는 구조상 불가능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메모리를 동적으로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결국은 OS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소프트웨어 레이드 중에서 대표적으로 zfs 가 말씀하신 방법을 사용합니다.

6. 상용 레이드 카드나 OS에서 캐쉬 히트율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요 ?
-raid컨트롤러에 따라서  제공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MD3620F  SAN 스토리지의 경우 IO관련 분석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zfs의 경우에도  캐시 히트율을 볼 수 있습니다.
     
명료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3번에 대하여, 조금만 더 첨언을 해 주실 수 있는지요 ?
제가 배경지식이 짧아서, 바로 이해가 안되서요
          
stone92 2015-08
A+B+C가 raid0 이기 때문에 한개가 고장이 났다고 가정해보세요...
결국 데이터는 모두 (D+E+F)에서 가져와서 리빌드를 해야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즉  (A+B+C)==disk1, (D+E+F)==disk2  구조에서 disk1,disk2가 미러링 되는 구조입니다.
               
짧은 답변(좋은 의미) 이지만, 이제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RAID0의 깨질확률은 하드디스크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집니다. 그렇기때문에 RAID0 는 램디스크의 용도와 거의 비슷하게 쓰는경우가 아니라면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면 하드디스크는 언젠가는 죽을것이고 하나가 죽으면 데이터가 다 날라간다고 상상해보세요...

RAID0 의 의미 - RAID 0 (즉 레이드가 아니다), 0 = NO, 1 = YES 에서 왔다고 합니다...

RAID10과 RAID01은 Rebuild 뿐만아니라 성능에서 차이가 납니다. (별의미없는 차이)
쓰기의 경우 RAID10은 RAID01보다 빠르고
읽기의 경우 RAID01은 RAID10보다 빠르다 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어떤식으로 콘트롤러가 작동하느냐에 따라서 다르지만 컨셉을 그대로 따른경우는 그렇다네요... 설명하기 조금 내용이 많습니다...

디스크수가 6개이상일경우 RAID01은 RAID10보다 망가져서 다시 리빌드를 해야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6개의 경우 두배차이납니다)
그럼 RAID01은 언제쓰일까요? 거의 쓰지않는것이 정상입니다. 가끔 유져들의 실수로 10을 만든다는것이 01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합니다. 결론으로는 RAID01은 쓰지 않는것이 맞다고 합니다.
** 이것은 RAID50, RAID60, 등등등에도 똑같이 작용합니다... 아무도 RAID06을 쓰지 않습니다... 왜? 이건 실수하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더복잡하기에)


저는 하다못해 RAID5도 쓰지 말아야 한다에 1표를 던지는 사람입니다만... RAID0은 더더욱... RAID0의 퍼포먼스가 필요하다면 차라리 램디스크를 써야겠지만 너무 무지막지하게 큰파일들을 많이 다루는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면 어쩔수 없이 써야겠죠... 하지만 데이터를 날려도 아무 상관없다의 경우에만입니다.
                         
저는 가상화 시험 용도로 DataStore를 2가지로 구분하여 쓰려고 합니다.
  1. Running VM
  2. Backup of Running VM
1의 용도로 사용하려 합니다. 저의 용도에는 부합되는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5-08
12시간후 또 질문이 나올듯..

쿠쿠쿠
     
저는 문형님이 올리피아드에 참여 하실 줄 알았는데, 관전 중 이셨군요 ~.~
박문형 2015-08
집에 들어온지 20분 되었습니다..

과도한 부하에서는 캐쉬 달린 빠른 콘트롤러가 유리하리라 생각합니다.

콘트롤러가 버틴다는 표현이 맞겠지요..
오프라인 2015-09


QnA
제목Page 2534/5708
2015-12   1675078   백메가
2014-05   5140458   정은준1
2014-12   4899   회원K
2006-09   4899   문추기
2018-10   4899   고질라
2007-02   4899   민봉기
2016-08   4899   제스퍼즈
2007-08   4899   김동민
2006-09   4899   정재훈
2014-07   4899   이이크
2014-09   4899   나비z
2012-05   4899   GoodWolf
2017-11   4899   완두콩
2016-03   4899   isaiah
2016-08   4899   김건우
2013-10   4900   거니네
2013-06   4900   박성만
2015-04   4900   미담
2016-11   4900   타이호
2020-06   4900   행복하세
2016-02   4900   원주늘품
2016-08   4900   izegt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