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SSD+HDD 파티션 구성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꾸벅꾸벅)

yexxnoah   
   조회 18839   추천 0    

안녕하세요? 대각세존입니다.
항상 많은 정보와 도움 2CPU를 통해서 얻어가고 있어서 감사의 말씀부터 전하고 싶습니다.

어제 리눅스 서버 선택에 대해서 질문 글을 올려도 보고 검색도 해보니 많은 분들이 CentOS를 추천해주셔서 CentOS 7 설치를 진행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의 큰 걸림돌이 생겼습니다. 파티션 문제인데요.

예전에 10년전 알짜리눅스를 사용하던 때에는 연습 삼아 설치해본 것이기도 하고
HDD 하나에 설치를 진행해서 그냥  HDD 하나에 /, /boot, /home, /usr, /usr/local, /var, (swap)을 나누어서 설치했었습니다.

인터넷 검색신공을 펼쳐보니
 / 루트 디렉토리
 /boot 부트 이미지가 저장된 디렉토리
 /etc 각종 시스템 설정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가 저장된 디렉토리
 /lib 라이브러리가 저장된 디렉토리
 /usr 실행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usr/local 사용자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는 디렉토리
 /var 메일, 로그 관련 데이터가 저장된 디렉토리
 (swap) 가상 메모리
의 의미를 갖는다는 건 알았는데,

SSD와 HDD를 적절히 어떻게 나눠야될지 모르겠습니다.
윈도우 서버 사용했을 때에는 SSD(C:\) OS용, HDD(D:\) DATA용(사용자 웹 서버 홈 디렉토리)로 사용했었는데
파티션이 많이 나눠지다 보니 완전 멘붕(?) 상태입니다.

선배분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T.T

------------------------------------------
추가내용
현재 서버 하드구성
SSD + SSD (RAID1)
HDD + HDD (RAID1)
으로 되어있고,

서버 사용용도는
사용자별 웹 서버 운영입니다.
------------------------------------------
Samsung GalaxyBook Pro 360
Apple iPhone 15 Pro
Apple iPhone SE 2

Developer, Server Engineer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5-09
Auto...^^

Ssd는 db 영역으로 쓰시고
Hdd는 나머자 영역 할당 하시는게 최적일듯 합니다.
김황중 2015-09
Db영역의 패스는 이라는 질문을 가지실까봐....

Db영역을 ssd로 설정 허실려면
Db설치는 커스터마이징 하여 ssd에 data 영역을 할당 하시면 됩니다.

잘 모르겠다.... 싶으면
Dba를 한명 고용하세요..^^;;;
     
대각세존 2015-09
답변 감사드립니다. DBA를 한명 고용하기에는 지출이 너무 커지네요....TT
ZSNET5 2015-09
SSD에 왕창 다 깔고, HDD는 Home에 마운트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파티션을 나눌 필요 따위는 없습니다.(공격 방지용으로 TMP 파티션을 나누는건 괜찮은 생각임)
그런데, 무정지시스템이 필요한게 아니라면 RAID-1 사용하시는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동형의 디스크가 있으시니 그냥 적당한 시점에 디스크를 복제해 두시는게 더 간편합니다.
RAID-1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디스크 하나가 죽어도 서비스가 계속 되기 때문에...주기적으로 점검해 주지 않으면 문제가 터졌을때는 이미 두개의 디스크가 다 죽어버렸기 때문에 데이터를 살리지 못한다는 겁니다. 장점이 단점이 되는 거죠..
     
대각세존 2015-09
일단 답변 감사드립니다.
/home과 swap은 HDD에 마운트하고, 나머지 /boot, /는 SSD에 마운트하면 될까요?
swap의 경우 SSD에 마운트하면 최고의 성능을 내지만 그만큼 부담이 많이되 금방 뻑(?)이 난다는 글을 본 것 같아서요....
그리고 RAID 같은 경우 몇일 뒤에 외장 하드랙과 HDD 추가구매해서 하루에 2번씩 백업 예정입니다^^
          
2015-09
스왑은 쓸일이 별로 없어야돼요.
서버운영하시면 스왑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만약 사용한다면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어플리케이션설정에 문제가 있는겁니다.
SSD가 워낙 빠르니 SSD 위주로 사용하시고, 윗분말씀처럼 하드디스크는 사용자디렉토리나 백업정도로 사용해야죠.
     
ZSNET5 2015-09
1. 스왑을 하지 않도록 메모리를 늘리는게 해답입니다.
    스왑이 들어가면 당연히 느려지니까요.
    SSD수명은 무시하고, 스왑파티션은 속도가 빠른 미디어에 만드는게 원칙입니다.

2. 레이드를 쓰고 안쓰고는 제가 결정할 문제가 아니고, 단순히 조언드리는 것 뿐입니다.
  수십테라씩 깨 먹고, 돈 몇억 날려먹어본 사람의 조언이니 참고하세요.
빈이79 2015-09
PHP+MySQL 서비스라면...

제 경우도 /home 만 hdd 로 잡고, 나머지 스왑 등은 ssd 로 사용하도록 셋팅합니다.

MySQL data는 기본 설치시 /var/lib/mysql 에 저장되므로, /var 파티션 용량을 신경써주시면 향후 재설정하는 번거로움이 없게 됩니다.
떠돌이늑대 2015-09
데스크탑에서의 SSD는 부팅, 어플리케이션 실행등에서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이지만 서버에서는 자주 부팅을 하는 것도 아니고 어플리케이션을 자주 실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SSD는 DATA 입출력이 많은 쪽으로 하시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대각세존 2015-09
아직 리눅스 서버 운영은 무리인 것 같아서 일단은 WS2012R2 상태에서 사용중인 맥북에 가상화 설치해서 공부 좀 한 뒤 다시 도전해봐야겠습니다. 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2714/5729
2015-12   1788727   백메가
2014-05   5263778   정은준1
2022-12   3154   StaK
2024-08   1477   Sakura24
2015-07   4249   jack33
2021-05   3302   마법사오즈
2024-08   1172   dateno1
2012-03   5450   농구황제
2014-04   4392   엄청난x
2016-08   4739   장현재
2021-05   4701   bangCH
2016-08   5326   박철
2017-09   4031   전직P연구원
2020-01   6371   돈대신몸으로
2014-04   3382   HEUo김용민
2015-08   9387   moby
2016-08   3938   그파
2023-01   1773   주먹밥
2021-05   4239   디지유
2024-09   1351   레나
2015-08   14023   전설속의미…
2015-08   5701   겨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