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18995 |
0 |
2014-05
511899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4406 |
25 |
2015-12
1654406
1 백메가
|
58871 |
위성 통신용 라우터 문의드립니다. (9) |
안테나 |
2017-02 |
5274 |
0 |
2017-02
5274
1 안테나
|
58870 |
전기세 얼마정도 나오세요? (5) |
준호 |
2014-01 |
5274 |
0 |
2014-01
5274
1 준호
|
58869 |
동영상 캡쳐라는걸 해보고 싶습니다. (6) |
도동우 |
2006-01 |
5274 |
5 |
2006-01
5274
1 도동우
|
58868 |
sds2, sc5100 핫스왑 펌웨어 업관련 (2) |
이충희 |
2006-06 |
5274 |
20 |
2006-06
5274
1 이충희
|
58867 |
전송률이 아닌 Access Time(Seek Time?)에 초점을 맞춘다면요?? |
민봉기 |
2006-08 |
5274 |
44 |
2006-08
5274
1 민봉기
|
58866 |
MTRON SSD에 윈도우 설치시 드라이버가 필요한가요? (7) |
인디고 |
2016-11 |
5273 |
0 |
2016-11
5273
1 인디고
|
58865 |
법무법인에서 보내온 nespdf 관련 공문 (11) |
무아 |
2022-03 |
5273 |
0 |
2022-03
5273
1 무아
|
58864 |
컴퓨터 모니터 중에 무반사 모니터가 있을까요? (6) |
Win31 |
2016-09 |
5273 |
0 |
2016-09
5273
1 Win31
|
58863 |
컴퓨터가 5번 중에 1번 10번 중에 1번 켜지는 증상이 왜 그럴까요? (5) |
하수언 |
2008-06 |
5273 |
22 |
2008-06
5273
1 하수언
|
58862 |
147GB, 15K Ultra320 SCSI HDD는 시장에서 유통안됩니까? (9) |
김승룡 |
2007-07 |
5273 |
9 |
2007-07
5273
1 김승룡
|
58861 |
os용 ssd에 os를 재설치하는 경우에 (10) |
2cpumem |
2014-06 |
5273 |
0 |
2014-06
5273
1 2cpumem
|
58860 |
Matrox p750 사용시 에러 메세지에 관한 해결방법 (6) |
왕용필 |
2005-09 |
5273 |
12 |
2005-09
5273
1 왕용필
|
58859 |
478보드인데 wol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도 없고, 바이오스에서 pme 부팅활성화는 되게… (2) |
김건우 |
2015-04 |
5273 |
0 |
2015-04
5273
1 김건우
|
58858 |
sata2 레이드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
컴센스 |
2009-04 |
5273 |
0 |
2009-04
5273
1 컴센스
|
58857 |
최신 부품구입 온라인매장 추천해주실분요~ (4) |
강재원 |
2006-07 |
5273 |
17 |
2006-07
5273
1 강재원
|
58856 |
안텍 480w 열이 많이 나는데요 (8) |
안성현 |
2005-06 |
5273 |
8 |
2005-06
5273
1 안성현
|
58855 |
proxmox 장단점? (4) |
stone92김경민 |
2020-09 |
5272 |
0 |
2020-09
5272
1 stone92김경민
|
58854 |
납연기 제거기 사야할까요) (9) |
gusanaki |
2017-02 |
5272 |
0 |
2017-02
5272
1 gusanaki
|
58853 |
windows에 VMWARE 를 이용할때? |
김정식 |
2006-01 |
5272 |
16 |
2006-01
5272
1 김정식
|
58852 |
플로피에뮬레이터 써보셨나요? (4) |
김건우 |
2017-12 |
5272 |
0 |
2017-12
5272
1 김건우
|
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프로그램 만들때 멀티코어를 사용할수 있게 만들었느냐 아니냐의 차이로 보여집니다.
1개의 코어에만 작업을 처리하라고 지시했는데... 스레드별로 작업을 나누어서 처리하니..
왜 그렇게 처리하나 의문입니다..
쓰레드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CPU 코어 1개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다증쓰레드 프로그램은 처리할 데이터가 작으면 작은 만큰 코어갯수로 나누어 연산을 합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모든 코어의 사용율이 올라 갑니다.
또한 쓰레드 별로 연산갯수가 다를 수 있으므로 모든 코어의 사용율이 다릅니다.
쓰레드를 만들었는데.. 데이터를 디스크에서 읽어 처리할 경우 디스크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늦어서
코어의 사용율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론은 프로그램에서 어떤 알고리즘으로 쓰레드를 구성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